[북한이탈주민 연구] 경험되는 북중 경계지역과 이동경로 - 북한이탈주민의 경계 넘기와 초국적 민족 공간의 경계 확정

 1  [북한이탈주민 연구] 경험되는 북중 경계지역과 이동경로 - 북한이탈주민의 경계 넘기와 초국적 민족 공간의 경계 확정-1
 2  [북한이탈주민 연구] 경험되는 북중 경계지역과 이동경로 - 북한이탈주민의 경계 넘기와 초국적 민족 공간의 경계 확정-2
 3  [북한이탈주민 연구] 경험되는 북중 경계지역과 이동경로 - 북한이탈주민의 경계 넘기와 초국적 민족 공간의 경계 확정-3
 4  [북한이탈주민 연구] 경험되는 북중 경계지역과 이동경로 - 북한이탈주민의 경계 넘기와 초국적 민족 공간의 경계 확정-4
 5  [북한이탈주민 연구] 경험되는 북중 경계지역과 이동경로 - 북한이탈주민의 경계 넘기와 초국적 민족 공간의 경계 확정-5
 6  [북한이탈주민 연구] 경험되는 북중 경계지역과 이동경로 - 북한이탈주민의 경계 넘기와 초국적 민족 공간의 경계 확정-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북한이탈주민 연구] 경험되는 북중 경계지역과 이동경로 - 북한이탈주민의 경계 넘기와 초국적 민족 공간의 경계 확정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 들어가며
2. 경계, 국경, 문화적.언어적 커뮤니티: 문화적 자원으로의 북.중 경계지역
3. 탈북자의 이동: 일상에서 경험되는 경계
4. 강화되는 국경: 탈북자의 경계넘기
5. 이주의 과정: 초국적 민족 공간의 확장
6. 남한으로의 이주 이후 경험되는 경계
7. 나가며
1. 들어가며
- 본 논문은 북한주민의 이주가 동북아의 정치 지형 내에서 혹은 국내 정치용으로 정치화되는 것을 경계하면서, 이들의 이주의 성격과 원인을 정치적인 것 혹은 경제적인 것으로 구분하는 이분법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문화적인 맥락 내에서 재구성. 그리고 국경이라는 정치지리학적 경계의 작동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일상의 경계의 선을 따라 북한이탈주민 이동의 동학을 포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북.중 경계지역이라는 공간과 이 공간 속에서 오랫동안 형성되어 온 초국적 경험을 주목하면서 이를 바탕으로 문화적 맥락 내에서 이들의 월경이 경계넘기의 일환이었는지 혹은 민족적 연결 고리들을 이어가는 경계만들기는 아니었는지 탐구.
- 북한주민의 이주성격과 원인을 정치적 경제적 요인으로만 설명하기에 풀리지 않는 의문
ㅇ 고난의 행군부터 시작된 북한 주민의 이동인원 30만-100만 중 대부분 사람들이 남한으로의 이주를 선택하기보다 중국에 체류하거나 북한으로 돌아가기를 반복하는 점.
ㅇ 대량 탈북사태 이후 대다수 북한 주민이 남한으로 이주를 감행하기보다 중국에 체류하고 있다는 점.
ㅇ 북한 주민이 북한 정권의 폭압이나 극한의 경제난을 피하기 위해 이주를 감행한 것이라면 북한 전역에 걸쳐 이주가 발생해야 하는데, 이주민 대부분을 함경북도 출신이라는 점.
ㅇ 북한 이탈주민 중 많게는 70%까지 차지하는 여성의 비율에 대한 문화적 규명이 필요하다. 기존의 연구는 북한 여성이 인신매매 주직에 의해서 팔려나가게 되면서 여성의 수가 급증하였다는 것이 일반적인 해석인데 반해 북.중경계지역의 문화 지리적 측면과 경제난 이후 북한 여성의 생활경험세계가 확장되면서 이주가 가능했다는 가능성을 본다.

이상에서 북한 주민의 이주가 북.중 경계지역이라는 민족문화 공간이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즉 북한 주민의 경계넘기는 타국으로의 이주이기 전에 일상생활이 깊게 작동해온 커뮤니티 내의 이동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하고 싶은 말
[북한이탈주민 연구] 경험되는 북중 경계지역과 이동경로 - 북한이탈주민의 경계 넘기와 초국적 민족 공간의 경계 확정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