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경영] 포스코(POSCO) 해외진출전략- 인도시장진입

 1  [국제경영] 포스코(POSCO) 해외진출전략- 인도시장진입-1
 2  [국제경영] 포스코(POSCO) 해외진출전략- 인도시장진입-2
 3  [국제경영] 포스코(POSCO) 해외진출전략- 인도시장진입-3
 4  [국제경영] 포스코(POSCO) 해외진출전략- 인도시장진입-4
 5  [국제경영] 포스코(POSCO) 해외진출전략- 인도시장진입-5
 6  [국제경영] 포스코(POSCO) 해외진출전략- 인도시장진입-6
 7  [국제경영] 포스코(POSCO) 해외진출전략- 인도시장진입-7
 8  [국제경영] 포스코(POSCO) 해외진출전략- 인도시장진입-8
 9  [국제경영] 포스코(POSCO) 해외진출전략- 인도시장진입-9
 10  [국제경영] 포스코(POSCO) 해외진출전략- 인도시장진입-10
 11  [국제경영] 포스코(POSCO) 해외진출전략- 인도시장진입-11
 12  [국제경영] 포스코(POSCO) 해외진출전략- 인도시장진입-12
 13  [국제경영] 포스코(POSCO) 해외진출전략- 인도시장진입-13
 14  [국제경영] 포스코(POSCO) 해외진출전략- 인도시장진입-14
 15  [국제경영] 포스코(POSCO) 해외진출전략- 인도시장진입-15
 16  [국제경영] 포스코(POSCO) 해외진출전략- 인도시장진입-16
 17  [국제경영] 포스코(POSCO) 해외진출전략- 인도시장진입-17
 18  [국제경영] 포스코(POSCO) 해외진출전략- 인도시장진입-18
 19  [국제경영] 포스코(POSCO) 해외진출전략- 인도시장진입-19
 20  [국제경영] 포스코(POSCO) 해외진출전략- 인도시장진입-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제경영] 포스코(POSCO) 해외진출전략- 인도시장진입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POSCO의 현황
1.1. POSCO의 역사
1.2. POSCO의 현재 위상
1.3. 경영실적 및 재무성과

2. 해외 진출의 이유
2.1. 시장 환경의 변화
2.2. Key supply의 확보
2.3. 경쟁 심화와 규모의 경제

3. 진출 국가 및 Entry Mode 선정
3.1. 진출 국가 선정
3.1.1. 시장성장성
3.1.2. 경쟁자
3.1.3. 국가위험도
3.1.4. 정부관계
3.1.5. 공급
3.1.6. 노동력
3.1.7. SOC
3.2. Entry Mode 선정
3.2.1. M&A의 부적합성
3.2.2. GFI의 부적합성
3.2.3. Joint Venture와 그 대상자

4. 인도 시장 진입의 의미와 과제
4.1. 인도 시장 진입의 의미
4.1.1. Global Efficiency 달성
4.1.2. Regional Flexibility 달성
4.1.3. Local Responsiveness
4.2. Up-Coming Challenges
본문내용
Executive Summary

현재 철강 산업은 철광석 공급 업체의 대형화와 철강 수요자의 대형화에 따라 산업 내에서 교섭력이 약화됨에 따라 수익성 악화라는 난관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주 유럽에서는 M&A를 통한 대형 철강사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전략적 제휴를 통해서 이러한 난관을 극복하려 하고 있다.
이러한 전세계 철강 산업의 수익성 악화와 철강사들의 대형화라는 추세 속에서 현재 세계 5위의 조강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POSCO 역시 생산 규모를 증대시켜야 하는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동시에 주요 생산 시설이 한국 내에 집중되어 있어, 글로벌 기업으로서 성장하기 위해 해외 시장으로의 확장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POSCO는 글로벌 기업이 갖추어야 할 요건인 Global Efficiency, Regional Flexibility, Local Responsiveness를 달성하기 위하여 향후 새로운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1. POSCO의 현황

1.1. POSCO의 역사
포스코(POSCO)는 1968년 4월 1일에 “포항종합주식회사”라는 상호로 창립되어, 1970년 4월 1일에 포항에 일관제철소 착공에 들어갔다. 이후 설비 준공을 마쳐 1981년 2월 8일에 850만톤의 조강연산 능력을 보유하게 되었다. 그러나 선진국들은 경기 침체로 인해 철강의 수요가 감소한 반면, 한국은 급속한 경제 성장으로 인해 철강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여 이를 충당할 만한 제철소의 건립이 필요하였다. 결국 POSCO는 1985년 12월 5일 광양제철소 설비 착공에 들어간 후 지속적인 확장을 통해 1990년 12월 4일 3기 설비 준공을 마치면서 1,750만톤의 조강연산 능력을 보유하게 되었다. 그 후 지속적인 확장을 통하여 1999년 3월 2,800만톤의 조강연산 능력을 갖게 되었다.
참고문헌
1. 보고서 및 논문 자료
[1] 임정성. 저성장 체제 진입 우려와 철강 산업에 미치는 영향, 철강보 제29권10호, 2003.10
[2] 박경서. 중국 자동차산업의 성장과 철강업계의 대응, 철강보 제 29권 제 8호, 2003.8
[3] 임정성. 동아시아 FTA형성시 철강산업에 미치는 영향, POSRI 경영 연구소 제3권 제1호, 2003
[4] 박현성. 미래 철강 산업의 주도권 결정 요인과 한국 철강 산업의 주도권 확보 가능성, POSRI 경영 연구소 제3권 제1호, 2003
[5] 남시경. 민영화 정책이 세계 주요 철강사에 미친 파급영향 고찰, POSRI 경영 연구소 제3권 제2호, 2003
[6] 탁승문. 세계 자동차 산업의 구조변화가 철강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과제, POSRI 경영 연구소 제4권 제1호, 2004
[7] 수석 연구원. 세계 주요국의 2003년 경제·철강산업 동향 및 2004년 전망, 철강보, 2004
[8] 나병철, 세계 철강업계의 통합화 전개 방향 및 경쟁구도 변화 가능성에 관한 분석, POSRI 경영 연구소 제3권 제1호, 2003
[9] 김진한, 정대기. 세계 철강산업의 기술변화와 경쟁력, POSRI 경영 연구소 제1권 제2호, 200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