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3대 경제권과 한국기업 유치현황

 1  중국의 3대 경제권과 한국기업 유치현황-1
 2  중국의 3대 경제권과 한국기업 유치현황-2
 3  중국의 3대 경제권과 한국기업 유치현황-3
 4  중국의 3대 경제권과 한국기업 유치현황-4
 5  중국의 3대 경제권과 한국기업 유치현황-5
 6  중국의 3대 경제권과 한국기업 유치현황-6
 7  중국의 3대 경제권과 한국기업 유치현황-7
 8  중국의 3대 경제권과 한국기업 유치현황-8
 9  중국의 3대 경제권과 한국기업 유치현황-9
 10  중국의 3대 경제권과 한국기업 유치현황-10
 11  중국의 3대 경제권과 한국기업 유치현황-11
 12  중국의 3대 경제권과 한국기업 유치현황-12
 13  중국의 3대 경제권과 한국기업 유치현황-13
 14  중국의 3대 경제권과 한국기업 유치현황-14
 15  중국의 3대 경제권과 한국기업 유치현황-15
 16  중국의 3대 경제권과 한국기업 유치현황-16
 17  중국의 3대 경제권과 한국기업 유치현황-17
 18  중국의 3대 경제권과 한국기업 유치현황-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의 3대 경제권과 한국기업 유치현황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중국의 3대 경제권과 한국기업 유치현황
Ⅰ.서론
Ⅱ. 중국의 3대 경제권
1. 중국의 지원정책
2. 3대 경제권의 기반 산업
Ⅲ. 주강삼각주
1. 발전시기와 산업 현황
2. 발전 가능성
3. 문제점과 방안
Ⅳ. 장강삼각주
1. 발전시기와 산업 현황
2. 발전 가능성
3. 문제점과 방안
Ⅴ. 환발해 경제권
1. 발전시기와 산업 현황
2. 발전 가능성
3. 문제점과 방안
Ⅵ. 한국 기업
1. 한국기업의 3대 경제권 진출 현황
2. 한국기업의 산업 기반
3. 한국기업의 발전 전망
Ⅶ. 결론
Ⅰ.서론
중국은 1978년 11월 제 11기 중앙위원회 3차 전체회의를 통해 개혁개방정책을 공식화 했다. 당시 개혁개방의 총 설계사로 불리 우는 등소평은 당시 문화대혁명으로 인해 피폐해진 절대 빈곤의 중국을 살릴 길은 개혁개방이라고 굳게 믿으며, 중국 경제 발전에 필요한 엄청난 자금, 관리 기술, 생산 설비 및 인재 등을 도입하기 위해 개혁개방 정책을 국시로 삼고, 서방 세계로의 문을 서서히 열기 시작한다.
이로부터 20여 년간의 개혁개방정책의 실천으로 중국은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룩하였으며, 2003년에는 세계 최대의 외자유치국, 세계 3대 수출국, 세계 4대 교역국 등 화려한 수식어들은 중국의 거대한 경제대국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도 남음이 있다.
2000년 이후 서부지역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중국의 경제권을 떠받들고 있는 지역은 동부 해안을 따라 형성된 3개의 경제권역이다.
중국에서는 북경과 천진을 중심으로 한 환발해 지역, 상해와 절강성·강소성·안휘성을 묶는 장강삼각주 지역, 광동성의 주강삼각주 지역을 ‘3대 경제권역’으로 부른다. 이들 3대 경제권역은 중국 경제를 떠받드는 지지대이면서, 성장을 이끌어내는 동력원이다.
개혁 개방 이래, 장강삼각주와 주강삼각주 경제의 발전은 매우 신속하고, 중국 경제성장이 가장 활발한 지역이다. 주강/장강 삼각주 지역은 경공업을 위주로 정책과 지리적 우위에 힘입어 낮은 원가를 기반으로 산 산업 클러스터를 형성한 반면, 환발해 지역은 비록 설비제조업 발전을 중시하고 있지만 구조가 비슷한 점이 최대 힘든 문제로 떠올랐다. 그러나 북경/천진/하북 지역의 후발우위가 강하기 때문에 경제 성장방식 전환이라는 시점에서 글로벌 서비스업 이전의 기회를 잡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첨단 과학연구소를 대거 확보한 경쟁력을 충분히 살려 빈해신구와 조비전 공업단지를 발전시킴으로써 중국 경제 성장을 견인하는 ‘제3의 성장엔진’으로 발돋움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각 경제권역의 발전시기와 산업 현황, 대외 무역 시장, 발전할 가능성을 알아보고 이곳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현황과 산업기반, 발전 전망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Ⅱ. 중국의 3대 경제권
1. 중국의 지원정책
중국은 1978년 12월 ‘사회주의 현대화노선’을 공식적으로 채택한 이래 시장 기능 활성화를 위한 대내경제개혁과 경제특구 설치 등의 대외 개방정책을 추진한 결과 경제효율과 경제성장 측면에서 상당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