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 계량 분석 이혼 부모의 특성이 자녀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1  행정 계량 분석 이혼 부모의 특성이 자녀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1
 2  행정 계량 분석 이혼 부모의 특성이 자녀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2
 3  행정 계량 분석 이혼 부모의 특성이 자녀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3
 4  행정 계량 분석 이혼 부모의 특성이 자녀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4
 5  행정 계량 분석 이혼 부모의 특성이 자녀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5
 6  행정 계량 분석 이혼 부모의 특성이 자녀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6
 7  행정 계량 분석 이혼 부모의 특성이 자녀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7
 8  행정 계량 분석 이혼 부모의 특성이 자녀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8
 9  행정 계량 분석 이혼 부모의 특성이 자녀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9
 10  행정 계량 분석 이혼 부모의 특성이 자녀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10
 11  행정 계량 분석 이혼 부모의 특성이 자녀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11
 12  행정 계량 분석 이혼 부모의 특성이 자녀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12
 13  행정 계량 분석 이혼 부모의 특성이 자녀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13
 14  행정 계량 분석 이혼 부모의 특성이 자녀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14
 15  행정 계량 분석 이혼 부모의 특성이 자녀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15
 16  행정 계량 분석 이혼 부모의 특성이 자녀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16
 17  행정 계량 분석 이혼 부모의 특성이 자녀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17
 18  행정 계량 분석 이혼 부모의 특성이 자녀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18
 19  행정 계량 분석 이혼 부모의 특성이 자녀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19
 20  행정 계량 분석 이혼 부모의 특성이 자녀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행정 계량 분석 이혼 부모의 특성이 자녀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혼 가정 자녀의 사회적 적응 연구

이혼 부모의 특성이 자녀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목 차
Ⅰ. 서론
1. 문제제기
2. 선행연구 고찰
3. 기존논문 소개
4. 기존 논문에 대한 문제점
Ⅱ. 연구 방법
1. 연구의 데이터
2. 연구 모형
1) 기존 논문
2) 우리의 논문
3. 변수의 정의
Ⅲ. 분석 결과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회귀 분석 결과
Ⅳ. 결론
Ⅰ. 서론
1. 문제 제기
1990년 이후, 한국사회의 이혼율은 급격히 증가했고, 이와 더불어 이혼가정의 자녀수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2003년도에 조이혼율은 3.5이며 인구 1000명에 대한 이혼건수를 측정하는 지표가 조이혼율로서, 1970년에는 0.4였다.
, 결혼대비 이혼율은 54%에 달한 바 있다(통계청, 2005). 1990년에서 2004년 동안 가장 높은 이혼율을 보여준 연령대는 남녀 모두 30세~34세와 35~39세이며, 평균이혼 연령은 남성 42.1세, 여성 38.6세로 나타나는데, 이는 곧 자녀가 있는 부부의 이혼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서구의 연구들은 이혼가정의 자녀들이 그렇지 않은 가정에 비해 발달 및 적응의 측면에서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인다고 지적한다. 이혼가정의 자녀들이 심리사회적 적응, 자아개념에서 낮은 수준을 보이며(Amato & Keith 1991), 공격성이나 행동장애와 같은 문제행동이 나타날 가능성이 더욱 높다(Peterson & Zill 1986). 또, 학업성취나 지적능력이 더 낮으며(Downey 1994), IQ를 통제한 상태에서도 이혼가정의 자녀는 학업상의 문제를 더 많이 경험한다(Guidubalide et al 1989).
한국에서도 최근에 부모의 이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대부분의 연구들에서 이혼가정의 자녀들은 양친가정에 비해서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적이 낮고, 비행성향과 공격성은 높다(오승환 2001; 이삼연 2002; 홍순혜 2004)는 등의 부정적인 효과를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이혼이 아동 및 청소년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국내 연구가 드물다는 점에서, 김영희 · 손정연(2005)은 자녀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 결핍요인과 양육부/모가 수행하는 부모행동요인이 우리나라의 경우 어떠한 구조적인 관계를 가지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혼 편부 또는 편모가족에 따라 자녀의 적응 실태 및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한 연구가 없기 때문에 이혼가정을 편부가족과 편모가족으로 나누어서 사회적 적응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팀은 김영희 · 손정연의 연구를 바탕으로 좀 더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논문을 선정한 계기는 다양한 전공을 가진 팀원들의 관심사와 부합하였기 때문이다. ‘자녀의 적응’을 학교성적과 학교에서의 문제로 측정한다는 점에서는 교육학적인 이해를 증진할 수 있으며(교육학과), 문제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요인으로 이혼가정의 구조와 가족특성에 착안한다는 점에서 가족학적인 지식이 필요할 것이다(가족학과). 또, 가족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경제생활을 중요하게 살펴본다는 점에서는 경영학적 관심사를 모두 포괄할 수 있었다.
이러한 관심사를 바탕으로 본 논문을 발전시켜 나가는 과정에서 이혼가정 자녀들의 사회적 적응을 설명력을 높일 수 있는 요인을 추가적으로 발견했으며, 새로운 변수를 생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는 이혼가정 자녀들의 사회적 적응을 설명할 수 있는 요인을 찾아보고, 그 설명력을 높이고 통계적으로 적합한 모델을 찾는 과정을 통해서 이혼 가정과 관련한 여타 연구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2. 선행연구 고찰
연구 문제와 관련해서 원 연구에서는 크게 이혼 가정 자녀의 사회적 적응과 이혼한 양육부/모의 성별에 따른 양육행동 및 자녀 적응의 차이, 두 가지로 관련 연구를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발전시킨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혼가정의 자녀들의 적응이 낮은 원인을 규명하는 연구에서는 요인은 첫째가 경제적 결핍으로 인한 점이다. 가족의 해체로 인한 소득감소는 학업이나 정서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며(Carlson & Corcoran 2001), 가족의 이혼은 가정의 경제수준을 저하시키고, 이것이 부모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주어 자녀의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홍순혜 2004). 둘째는 양육부/모의 양육행동과 같은 가족의 상호작용 과정으로 이혼가정 자녀의 부적응을 설명한다. 이혼한 부/모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부적절하게 부모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Hilton et al. 2001), 이러한 부모행동이 자녀의 적응 및 발달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혼가정 사이에서도 이혼모가 높은 수준의 온정과 효율적인 훈육을 제공하는 경우는 질 낮은 훈육을 제공하는 이혼가정의 자녀들에 비해서도 문제행동을 덜 나타내고, 보다 높은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를 보였다(Peterson & Zill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