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조의 경제 구조 삼봉 정도전 생애 조선경국전 조선경국전 소개

 1  조선 왕조의 경제 구조 삼봉 정도전 생애 조선경국전 조선경국전 소개-1
 2  조선 왕조의 경제 구조 삼봉 정도전 생애 조선경국전 조선경국전 소개-2
 3  조선 왕조의 경제 구조 삼봉 정도전 생애 조선경국전 조선경국전 소개-3
 4  조선 왕조의 경제 구조 삼봉 정도전 생애 조선경국전 조선경국전 소개-4
 5  조선 왕조의 경제 구조 삼봉 정도전 생애 조선경국전 조선경국전 소개-5
 6  조선 왕조의 경제 구조 삼봉 정도전 생애 조선경국전 조선경국전 소개-6
 7  조선 왕조의 경제 구조 삼봉 정도전 생애 조선경국전 조선경국전 소개-7
 8  조선 왕조의 경제 구조 삼봉 정도전 생애 조선경국전 조선경국전 소개-8
 9  조선 왕조의 경제 구조 삼봉 정도전 생애 조선경국전 조선경국전 소개-9
 10  조선 왕조의 경제 구조 삼봉 정도전 생애 조선경국전 조선경국전 소개-10
 11  조선 왕조의 경제 구조 삼봉 정도전 생애 조선경국전 조선경국전 소개-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선 왕조의 경제 구조 삼봉 정도전 생애 조선경국전 조선경국전 소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조선 왕조의 경제 구조

Ⅰ. 머 리 말
Ⅱ. 삼봉 정도전 생애와 『조선경국전』
1. 이상을 꿈꾸었던 디자이너, 정도전
2.『조선경국전』
3.『삼봉집』권13,「조선경국전」‘부전’-경리(과전법 평가)
Ⅲ.『세종실록』
1.『세종실록』 편찬 경위
2.『세종실록』권75, 세종 18년 10월 정묘 4번째기사:공법
Ⅳ. 맺 음 말
참 고 문 헌 & 출 처
Ⅰ. 머 리 말
14세기 말 당시 한반도를 지배하고 있던 나라 고려는, 안으로는 기존의 귀족 세력인 권문세족과 그에 반발하는 신진 사대부들이 대립하여 정치가 혼란하였고, 밖으로는 홍건적과 왜구의 약탈과 원나라에서 명나라로 이어지는 원명교체기의 혼란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 무렵 고려의 북방에서 이성계는 이민족의 침입을 여러 차례 물리치고 명성을 얻어 중앙 정계에서 힘을 발휘하고 있었다.
그 무렵 고려 조정은 철령위 문제로 밖으로는 명나라와, 안으로는 친원파와 친명파가 대립하고 있었다. 그에 따라 고려는 요동을 정벌하기 위해 최영을 중심으로 요동 정벌군을 편성하였다. 이때 우군 도통사를 맡았던 이성계는 좌군 도통사 조민수와 상의하여 평양에 있던 최영에게 회군을 청했다. 그러나 회군 요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이성계와 조민수는 1388년 음력 5월 20일 군사를 수도로 돌려 쿠데타를 일으켰다(위화도 회군). 이성계는 쿠데타로 정권을 잡아 최영 세력을 숙청하고 우왕을 폐위한 뒤 창왕을 왕위에 올렸다. 동시에 정도전 등 신진 사대부들과 손잡고 과전법과 같은 전제 개혁 등 여러 가지 개혁을 단행하였다.
이듬해에는 창왕을 다시 폐하고 공양왕을 왕위에 올렸다. 소위 폐가입진(廢假立眞) 가왕(假王)을 몰아내고 진왕(眞王)을 세운다는 말로, 1388년 고려 말 이성계 등이 창왕을 폐위하고 공양왕을 옹립한 사건.
으로, 우왕과 창왕이 공민왕의 자식이 아닌 신돈의 자식이므로 폐하고, 진짜 고려 왕 씨를 왕으로 삼는다는 뜻이다. 그리고 사전개혁(私田改革) 사적인, 개인의 땅을 개혁하다. 보통 사전개혁이라고 하면 고려 말 이성계가 위화도회군에 성공해서 권력을 차지하게 되자 그 일파가 고려의 토지제도를 뜯어고친 것을 말한다.
을 단행하고 과전법(科田法)을 공포하였다. 전제 개혁으로 인하여 이성계·정도전·조준 등은 막대한 과전을 받게 되었으나, 권문세족들은 농장을 몰수당함으로써 경제적 토대가 붕괴되었다. 한편 공전(公田)의 증대는 국가의 수입을 증대시켜 새로운 왕조 조선의 경제적 기초를 확립케 했다.
본 발표문에서는 조선의 개국하는 과정에서 정도전의 역할과 지위 그리고 사회적으로 행해졌던 그의 업적과 당시 시대상황을 알아보고, 삼봉 정도전이 주도하였던 개혁정치 그리고 주장하였던 사상, 그리고 정치이론들과 세종의 민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아울러 『삼봉집』13권에 있는『조선경국전』부전 경리,『세종실록』18년 10월 정묘 4번째 기사를 해석하고, 조선 후기 실학자(경세치용 학파)들이 주장하는 토지제도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Ⅱ. 삼봉 鄭道傳과 『朝鮮經國典』
1. 이상을 꿈꾸었던 디자이너, 정도전
정도전은 이색(李穡) [李穡, 1328~1396] 고려 말의 문신·학자. 삼은(三隱)의 한 사람이다. 정방 폐지, 3년상을 제도화하고, 김구용·정몽주 등과 강론, 성리학 발전에 공헌했다. 위화도 회군 후 창왕을 즉위시켜 이성계를 억제하려 했다. 조선 태조가 한산백에 책봉했으나 사양했다.
의 문하에서 그는 성리학적 충효사상(忠孝思想)과 예학(禮學)을 배웠다. 그중에서 특히 맹자(孟軻)의 성선설(性善說)과 역성혁명론에 주목하였다. 그러나 부패한 사회의 현실을 보면서 맹자의 성선설에는 다소 회의적인 견해를 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