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지역 경제 살리기 문화 도시로서의 발전 방향 섬유도시 대구 역사

 1  대구 지역 경제 살리기 문화 도시로서의 발전 방향 섬유도시 대구 역사-1
 2  대구 지역 경제 살리기 문화 도시로서의 발전 방향 섬유도시 대구 역사-2
 3  대구 지역 경제 살리기 문화 도시로서의 발전 방향 섬유도시 대구 역사-3
 4  대구 지역 경제 살리기 문화 도시로서의 발전 방향 섬유도시 대구 역사-4
 5  대구 지역 경제 살리기 문화 도시로서의 발전 방향 섬유도시 대구 역사-5
 6  대구 지역 경제 살리기 문화 도시로서의 발전 방향 섬유도시 대구 역사-6
 7  대구 지역 경제 살리기 문화 도시로서의 발전 방향 섬유도시 대구 역사-7
 8  대구 지역 경제 살리기 문화 도시로서의 발전 방향 섬유도시 대구 역사-8
 9  대구 지역 경제 살리기 문화 도시로서의 발전 방향 섬유도시 대구 역사-9
 10  대구 지역 경제 살리기 문화 도시로서의 발전 방향 섬유도시 대구 역사-10
 11  대구 지역 경제 살리기 문화 도시로서의 발전 방향 섬유도시 대구 역사-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대구 지역 경제 살리기 문화 도시로서의 발전 방향 섬유도시 대구 역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대구 지역 경제 살리기
-문화 도시로서의 발전 방향-
- 목 차 -
Ⅰ. 쟁 점
Ⅱ. 도 입
Ⅲ. 본 론
Ⅲ-1. 섬유도시 대구의 역사와 현황
1. 섬유도시 대구의 역사
2. 섬유도시 대구의 현황
Ⅲ-2. 문화도시로의 발전방안
1. 다른 나라의 문화도시로서의 성공사례
2. 대구 문화 행사의 실태와 문제점 분석
3. 대구의 비전과 발전 방향
Ⅳ. 결 론
Ⅰ. 쟁 점
ⅰ. 대구 섬유산업의 침체
ⅱ. 문화도시로서의 발전방안
Ⅱ. 도 입
현재 대구의 섬유산업은 침체기에 빠져있다. 대구의 기반산업이었던 섬유산업이 침체기에 빠짐으로써 대구의 성장가능성은 불가능해 보인다. 섬유도시로서의 대구의 역사와 배경, 현재 상황과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고 대구의 문화도시로서의 발전방안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Ⅲ. 본 론
Ⅲ-1. 섬유도시 대구의 현황과 문제점
1. 섬유도시 대구의 역사
수공업 위주의 대구 섬유공업은 1905년 공장제 섬유공업시대를 맞이했다. 달성동과 비산동 일대 공장설립이 활기를 띄게 됐고 1920년대 달성공원 부근에는 20여개의 직물공장이 생겨났다. 또한 공장에서는 1917년부터 여공 채용을 시작했으며 동양모시의 거래가 활발해지자 포목상이 번창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대구섬유업은 1918년에서 1920년 사이 일본인들에 의해 세워진 제사공장의 설립으로 명주시대의 도래를 맞이하게 됐다. 대구 명주의 명성이 보부상에 의해 전국 각지에 전해지자 타 공장들도 생산제품을 명주로 전환했을 뿐 아니라 돈 많은 지주들도 공장을 설립, 1943년까지 호황을 누렸다. 착실한 성장을 해오던 대구섬유업계는 1942년 일제의 기업합병정책으로 수난기에 접어들었다. 섬유업체의 정비가 시급하다며 기업합병을 설득했으나 설득에 실패한 일제는 경찰력을 동원했고 이때의 기업합병으로 달성동 비산동 일대 직물공장이 전멸하고 침산동에 위치한 군소 직물공장들이 살아남아 후일 침산동 섬유단지를 형성하게 된다.
2. 섬유도시 대구의 현황
국내 섬유산업의 경쟁력 약화와 지속적인 불황여파로 대구지역의 간판급 섬유업체들이 속속 문을 닫고 있다. 대구지역 주종산업인 섬유산업의 급속한 침몰과 국내 섬유산업이 동반 추락 하고 있다. 최근 들어 지역 섬유업계 최대기업인 동국직물과 (주)갑을의 몰락과 지역 섬유업계의 가장 모범적인 중견업체인 (주)삼아, 동성교역(주), (주)대홍의 섬유산업 대폭축소에 이어, 1970-80년대 지역 간판 직물업체인 신라섬유(주)와 효성그룹계열로 지역을 대표하는 염색업체인 동양염공(주)가 사업 중단 또는 완전정리를 결정하여 지역 섬유업계를 경악시키고 있다. 50여 년의 역사를 갖고, 폴리에스텔 화섬 수출업체로서 오랜 동안 지역 섬유업계에서 최고의 명성을 누려왔던 코스닥 등록업체인 신라섬유(주)는 지속적인 재고 누적과 경영손실로 지난달 가공부의 생산을 중단시킨데 이어, 제직부도 하청체재로 전환하여 주력 섬유산업을 대폭 축소시키고 있다. 또한 73년 설립되어 30여 년간 지역 최대수준의 가공업체인 동양염공(주)도 고품질 폴리에스텔과 스파덱스 염색가공의 명성을 포기한 체, 장기불황과 적자누적으로 이달 말 사업을 완전 정리한다. 밀라노프로젝트 마무리와 제2단계 밀라노프로젝트 최종적인 입안을 앞둔 중대한 시기에 한국섬유의 생산거점인 섬유도시 대구지역의 간판급 섬유업체들이 줄줄이 무너지는 도미노현상의 절대절명의 위기에 처해 있다. 특히 비교적 우리가 아직 가장 경쟁력이 있다고 보는 염색가공 분야가 대형 우수 가공업체들의 대거 사업포기로 무너지고 있어, 앞으로 고품질, 고부가와 기능성, 차별화로 경쟁력 확보의 돌파구 마련에도 걸림돌이 되고 있어 우려를 금할 수 가 없다. 최근 들어 지역 업계는 기술개발 노력부족과 해외 수출마케팅 능력 미흡 등의 불황요인과 함께, 지속적인 섬유산업 불황심화에도 불구하고 마땅한 대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각 조합, 연구소, 단체들 간의 이해 마찰로 한 목소리를 제대로 내지 못하는 안이한 대처로 위기에 처한 지역섬유산업이 표류하고 있다는 절망감이 확산되고 있다.
Ⅲ-2. 문화도시로서의 발전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