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리주의 - 도덕교육에의 적용 - 주한이네 마을 - 빈 터

 1  공리주의 - 도덕교육에의 적용 - 주한이네 마을 - 빈 터-1
 2  공리주의 - 도덕교육에의 적용 - 주한이네 마을 - 빈 터-2
 3  공리주의 - 도덕교육에의 적용 - 주한이네 마을 - 빈 터-3
 4  공리주의 - 도덕교육에의 적용 - 주한이네 마을 - 빈 터-4
 5  공리주의 - 도덕교육에의 적용 - 주한이네 마을 - 빈 터-5
 6  공리주의 - 도덕교육에의 적용 - 주한이네 마을 - 빈 터-6
 7  공리주의 - 도덕교육에의 적용 - 주한이네 마을 - 빈 터-7
 8  공리주의 - 도덕교육에의 적용 - 주한이네 마을 - 빈 터-8
 9  공리주의 - 도덕교육에의 적용 - 주한이네 마을 - 빈 터-9
 10  공리주의 - 도덕교육에의 적용 - 주한이네 마을 - 빈 터-10
 11  공리주의 - 도덕교육에의 적용 - 주한이네 마을 - 빈 터-11
 12  공리주의 - 도덕교육에의 적용 - 주한이네 마을 - 빈 터-12
 13  공리주의 - 도덕교육에의 적용 - 주한이네 마을 - 빈 터-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공리주의 - 도덕교육에의 적용 - 주한이네 마을 - 빈 터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공 리 주 의
목 차
1.서론 - 과제를 시작하기 전에
2. 본론 - 1)공리주의에 대하여
2) 나의 사례적용
3) 초등교육의 나의 사례 적용
4) 교과서 사례 적용
3. 결론 - 과제를 마무리 하며
1. 서론
이번 과제를 받고 많은 생각이 들었다. 요즘 내가 고민하고 있던 것 들을 다시금 생각 해 보고, 또 그 생각들을 수업시간에 배웠던 다양한 윤리적 관점에 맞추어 생각하게 되었다. 처음 과제를 받았을 때, 이번 과제는 참 재밌을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지금 고민하고 있던 것들에 대해 좀 더 깊게 생각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고, 다양한 윤리적 관점에 맞추어 생각해 뭔가 해결책을 찾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막상 과제를 시작하려고 하니, 내 머릿속 생각도 잘 정리가 되지 않고, 어떠한 사상에 맞추어 생각해야 할지 적용시키는 것도 쉽지 않았다. 생각보다 쉽지 않아, 동기들과 많은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결국 많은 고민 끝에 공리주의로 주제사상을 정하고 과제를 시작하게 되었다.
2. 본론
- 공리주의에 대하여 -
1). 공리주의의 발전 과정
세상의 그 어떤 철학도 어느 순간 한명의 사람이 스스로 깨달아서 갑자기 나타나지는 않는다. 공리주의 사상 역시 마찬가지이다. 공리주의의 사상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면 고대 에피쿠로스학파에서 말하는 쾌락주의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가 말하는 공리주의 이론은, 18세기 초 영구 철학자 허치슨이 “최대다수에게 최대행복을 가져오는 행위가 좋다”는 원칙에서 벤담에 의해 이론이 정립되고 다시 밀에 의해 수정 보안되어 완성되었다.
2). 공리주의 개념 정리
(1) 벤담(Bentham)의 공리주의
벤담은 고전적 공리주의 성립에 산파역을 담당했다. 그는 원래 법학과 철학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평소 정부의 역할과 정의로운 사회제도에 대해 깊이 고민하였다. 그는 흄의 ‘인간본성론’에 깊은 감명을 받은 나머지, 인간은 자신의 행위를 결정할 때 쾌락이나 고통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한다고 생각하고 칸트적인 동기주의를 비판하였다. 그에게 도덕적 판정의 기준은 의무를 이행하려는 동기가 아니라 쾌락을 증진시키는 행위의 결과에 있다고 믿기에 쾌락의 양이 윤리적으로 선한 행위라고 주장하였다. 그의 공리주의 사상의 핵심은 효용의 원리(the principle of utility)에 있다. 효용이란 넓게 해석하면 이익(benefit), 쾌락(pleasure), 선(good), 행복(happiness) 등을 모두 포함하나 근대 경제학에서는 경제적 후생(economic welfare)과 거의 동의어로 사용되고 있다. 공리주의는 이와 같이 사회적 현상의 좋고 나쁨을 각 개인이 느끼는 효용을 가지고 평가한다. 벤담의 공리주의는 두 가지 명제로 요약된다. 첫째, 인간의 행동은 쾌락의 추구와 고통의 회피로 환원될 수 있으며 쾌락이 유일한 선이요 고통이 유일한 악이라는 것이다. 둘째, 공리주의는 단순히 개인의 행복이 아니라 사회전체의 행복증진과 관련된다. 따라서 어떤 행위의 윤리적 정당성은 그 행위의 결과가 사회전체의 행복증진에 어느 정도 기여하느냐에 의하여 판가름된다. 이렇게 볼 때 벤담의 공리주의는 효용을 유일한 도덕적 판단기준으로 삼는 원리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벤담의 공리주의는 쾌락의 양적인 면에서만 차이가 나고 질적인 면에서는 차이가 없다고 주장하였다. 즉, 쾌락의 양이 동일하다면 그 종류는 상관이 없다는 견해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쾌락은 저급한 육체적 쾌락과 고귀한 정신적 쾌락의 차이를 두지 않음으로써 인간에 고귀함에 대한 약점을 가지게 되었다. 그래서 벤담의 공리주의는 국가전체의 목적을 도모할 사명이 있는 법률가의 견지에서는 입법원리로 받아들일 수는 있지만 일반인들의 행위의 원리, 즉 도덕원리로 받아들이기에는 미흡하였다.
(2) 밀(J. S. Mill)의 공리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