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치원의 사산비명 연구

 1  최치원의 사산비명 연구-1
 2  최치원의 사산비명 연구-2
 3  최치원의 사산비명 연구-3
 4  최치원의 사산비명 연구-4
 5  최치원의 사산비명 연구-5
 6  최치원의 사산비명 연구-6
 7  최치원의 사산비명 연구-7
 8  최치원의 사산비명 연구-8
 9  최치원의 사산비명 연구-9
 10  최치원의 사산비명 연구-10
 11  최치원의 사산비명 연구-11
 12  최치원의 사산비명 연구-12
 13  최치원의 사산비명 연구-13
 14  최치원의 사산비명 연구-14
 15  최치원의 사산비명 연구-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최치원의 사산비명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최치원의 사산비명 연구
< 목 차 >
1. 들어가며
2. 최치원의 삶과 사산비명
3. 사산비명의 내용 분석
4. 사산비명의 문체 분석
5. 사산비명에 나타난 신라관
6. 나가며
1. 들어가며
四山碑銘은 신라 말기 孤雲 崔致遠(857-?)에 의해 撰述된 ① 智異山雙谿寺眞鑑禪師碑銘幷序, ② 曦陽山鳳巖寺智證大師寂照塔碑銘幷序, ③ 崇巖山聖住寺大朗慧和尙白月光塔碑銘幷序, ④ 初月山大崇福寺碑銘幷序를 가리킨다. 언제부터인가 이 碑銘들이 네 산에 있다고 해서 四山碑銘으로 불리어진 것이다. 이 사산비명은 모두 왕명에 의해 지어졌는데, 이 가운데 眞鑑禪師碑銘, 智證大師碑銘, 朗慧和尙碑銘은 高僧大德들에 대한 각각의 墓碑銘이고, 崇福寺碑銘은 因山移寺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사산비명은 이는 최치원의 文華를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작품의 예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이를 통해 신라의 정치, 사회, 문화, 경제 등등의 제반을 밝히는 데에 없어서는 안될 소중한 사료이다. 그런데도 사산비명은 역대 문인들에게 별다른 관심을 끌지 못했었다. 최치원의 문학작품을 다소 왜곡하여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기존의 논의들을 종합하여 최치원이 사산비명을 짓게 된 배경과 사산비명의 찬술과정에 대해 논할 것이다. 또한 그것이 담고 있는 내용과 문체적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사산비명이 가지는 문학적 특징을 확인할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최치원이 중국의 모화사상에 빠져 있다는 왜곡된 평가에 대해 반론의 여지를 남겨두는 것으로 논의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2. 崔致遠의 삶과 四山碑銘
1) 崔致遠의 삶
최치원의 생애는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三國史記』 列傳 崔致遠條 및 관련 기록을 통해 그의 생애를 재구성해낼 수밖에 없다.
그의 家系는 아버지가 肩逸이라는 것 이외에는 별로 알려진 것이 없다. 그러나 최치원이 眞聖女王에게 時務十餘條를 지어 올리자 왕이 阿을 제수했다 “八年春二月 崔致遠進時務十餘條 王嘉納之 拜致遠爲阿”(『삼국사기』 권11, 신라본기 진성왕조).
고 하므로 이를 통해 그의 신분이 六頭品에 속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母系는 거의 알 수 없으나, 『삼국사기』에 “母兄인 浮圖 賢俊과 定玄師와 함께 道友를 맺고 속세를 떠나 살다가 終老했다” “與母兄浮圖賢俊及定玄師 結爲道友 棲遲偃仰 以終老焉.”(『삼국사기』 권46, 열전 최치원조).
고 하니 형이 승려였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이처럼 최치원의 가계는 대대로 육두품이었다. 최치원은 서기 857년(憲安王 원년)에 태어났는데, 그의 출생지는 ‘沙粱部’일 가능성이 높다. 『삼국사기』 열전 최치원조에 그렇게 기록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이곳이 崔氏 賜姓地 『삼국사기』 권1, 新羅本紀 第一 儒理尼師今條. 참조.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