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초등학교 국어 듣기 말하기 교과서 분석 및 수업설계 보고서

 1  교육학 초등학교 국어 듣기 말하기 교과서 분석 및 수업설계 보고서-1
 2  교육학 초등학교 국어 듣기 말하기 교과서 분석 및 수업설계 보고서-2
 3  교육학 초등학교 국어 듣기 말하기 교과서 분석 및 수업설계 보고서-3
 4  교육학 초등학교 국어 듣기 말하기 교과서 분석 및 수업설계 보고서-4
 5  교육학 초등학교 국어 듣기 말하기 교과서 분석 및 수업설계 보고서-5
 6  교육학 초등학교 국어 듣기 말하기 교과서 분석 및 수업설계 보고서-6
 7  교육학 초등학교 국어 듣기 말하기 교과서 분석 및 수업설계 보고서-7
 8  교육학 초등학교 국어 듣기 말하기 교과서 분석 및 수업설계 보고서-8
 9  교육학 초등학교 국어 듣기 말하기 교과서 분석 및 수업설계 보고서-9
 10  교육학 초등학교 국어 듣기 말하기 교과서 분석 및 수업설계 보고서-10
 11  교육학 초등학교 국어 듣기 말하기 교과서 분석 및 수업설계 보고서-11
 12  교육학 초등학교 국어 듣기 말하기 교과서 분석 및 수업설계 보고서-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학 초등학교 국어 듣기 말하기 교과서 분석 및 수업설계 보고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초등학교 국어
듣기말하기 교과서 분석
및 수업설계 보고서
1-2-3. 생각을 전해요
- 목 차 -
Ⅰ. 듣기말하기의 중요성
Ⅱ. 듣기말하기 교육 내용 구성의 원리
Ⅲ. 단원 분석(1-2-3.생각을 전해요)
Ⅳ. 교수학습 과정안(교사용 지도서)
Ⅴ. 교수학습 과정안(재구성)
Ⅵ. 토론
Ⅶ. 참고문헌
Ⅰ. 듣기말하기의 중요성
국어교육으로서의 언어활동은 가정, 사회 , 학교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그 중에서 말하기와 듣기는 인간의 의사소통으로 맨 먼저 학습되고 이루어지는 언어 행위가 될 것이다. 이러한 말하기는 음성 언어에 의한 의사소통 행위로써 일상 언어 행위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일상의 언어 행위에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가 차지하는 시간적 비중에 대한 조사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Rankin 은 학생들이 하루 동안의 언어 활동 중 듣기에 45%, 말하기에 30%, 읽기에 16%, 쓰기에 9%의 시간을 보내고 있다고 조사 발표하여 말하기 듣기의 중요성을 크게 각성시킨바 있다. Nicholas와 Stivens은 미국의 일상 시민을 대상으로 평상시 의사소통 행위를 조사하였는데 듣기에 42%, 말하기에 32%, 읽기에 15%, 쓰기에 11%의 시간을 소비하고 있었다고 하였다. (김규선, 1994)”
Rankin의 논의에서 알 수 있듯이 일상의 언어생활에서 사람들은 문자언어 행위보다 음성 언어 행위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의사소통이 대부분 음성언어를 사용하는 말하기와 듣기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을 정도이다. 그런데 우리나라 국어과 교육이 시작된 이해, 학교에서는 음성 언어인 말하기의 중요성을 말하면서도 말하기 교육보다는 읽기나 쓰기 교육을 더 중요하게 다루어 왔고, 교육 시간도 이들 문자 언어 사용 교육에 더 많이 투입하여 왔다. 그 이유는 첫째, 학교에서 교육의 내용으로 다루는 지식이 대부분 문자언어로 교과서에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지식을 배우기 위해서는 음성 언어보다는 문자언어가 더 소용된다는 점이고 둘째는 말하기 듣기는 출생 후 일상의 공동생활에서도 자연스럽게 습득이 되나, 읽기나 쓰기는 공식적인 지도에 따른 학습에 의해서만 습득된다는 인식 때문이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 정보와 지식의 생산과 소비의 양이 증가하고 소멸의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모든 정보와 지식을 독서와 작문으로만 처리하기가 어렵게 되었다. 이에 발맞추어, 라디오와 텔레비전과 같은 대중매체가 정보와 지식을 음성언어로 보급하기 시작하였다. 뿐만 아니라, 복잡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형식이 발달되었다. 이과 같은 생활에 적응하려면 주어진 문제 상황에서 자신의 생각을 체계적으로 조직하여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다른 사람과 의사를 소통하는 능력을 발달 시켜야 한다.
국어과 교육의 궁극적 목적이 학생들의 언어사용 기능 신장에 있고 학교에서의 언어사용 기능 교육이 일상 및 공식적 언어생활과 결코 괴리될 수 없는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고 한다면 말하기 듣기 교육은 학교 국어과 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학교에서의 국어과 교육에서 나아가 가정, 사회, 학교 전반에 걸친 국어 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유능한 사회인을 양성하고 개인적으로 행복한 삶을 누리도록 하는데 있다고 볼 때 학교 교육의 완성은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큰 몫을 하기 때문이다.(교육부, 1998)
Ⅱ. 듣기말하기 교육 내용 구성의 원리
교육과정 내용 구성은 곧 교과서 내용 구성이 된다. 그리고 교과서 내용 구성은 곧바로 학생들의 학습 내용의 순서와 절차 또는 방법을 의미한다.
언어활동 영역의 교육과정과 수업은 교사 중심의 교수 활동보다는 학생 중심의 학습 활동을 중심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그 이유는 언어활동 영역의 교육 과제는 교사가 학생들에게 지식이나 원리 또는 개념들을 주입식으로 전달해 주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로 하여금 자기 자신의 이해의 폭을 넓히고 정보를 전달하고 기록하고 보고하고 성찰해 보고 평가하는 방법을 지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말하기와 듣기를 배우는 이유는 자기 자신과 주변에 대하여 말하고 듣기 위함이다.
둘째, 말하기듣기 교육과정은 언어 사용의 결과보다는 언어 사용의 과정을 중심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는 달리 말하면 말하기의 산출 과정과 듣기의 이해 과정을 중심으로 학생들이 직접 경험하고 연습할 수 있는 교육 내용으로 구성함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제5차와 제6차 말하기듣기 과정에서 학생 활동 중심으로 언어 지도를 하였으나, 크게 성공하지는 못하였다. 그 이유는 학생 중심의 활동이 자칫 맹목적인 활동으로 흘러가는 경향이 많았기 때문이다. 학생의 언어활동은 그 언어활동의 과정을 점검하고 조정하는 과정 중심이 동반될 때에 비로소 효과를 가져 오게 되는 것이다.
셋째는 교실에서 일어나는 언어 표현 또는 이해의 교수-학습이 타 교과의 학습과 실제 생활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학습 내용의 실제성을 강조해야 한다. 대부분의 교사나 학생들은 국어 수업에서 가르치고 배우는 언어 기능이 다른 교과의 학습이나 실제 생활에서의 언어활동에 유용하게 확산 전이되기를 바란다. 언어활동은 비단 교실 내에서의 국어과 수업에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순간순간 삶 자체가 바로 언어생활이고 활동이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말하기듣기 수업은 다른 어느 교과보다 그 교육 효과가 더 즉시적으로 그리고 실제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교과이고, 또 그렇게 나타나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과 수업에서의 내용이 실제 생활에서의 언어활동과 유사하게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