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7 장 국어 생활의 실제

 1  제 7 장 국어 생활의 실제-1
 2  제 7 장 국어 생활의 실제-2
 3  제 7 장 국어 생활의 실제-3
 4  제 7 장 국어 생활의 실제-4
 5  제 7 장 국어 생활의 실제-5
 6  제 7 장 국어 생활의 실제-6
 7  제 7 장 국어 생활의 실제-7
 8  제 7 장 국어 생활의 실제-8
 9  제 7 장 국어 생활의 실제-9
 10  제 7 장 국어 생활의 실제-10
 11  제 7 장 국어 생활의 실제-11
 12  제 7 장 국어 생활의 실제-12
 13  제 7 장 국어 생활의 실제-13
 14  제 7 장 국어 생활의 실제-14
 15  제 7 장 국어 생활의 실제-15
 16  제 7 장 국어 생활의 실제-16
 17  제 7 장 국어 생활의 실제-17
 18  제 7 장 국어 생활의 실제-18
 19  제 7 장 국어 생활의 실제-19
 20  제 7 장 국어 생활의 실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제 7 장 국어 생활의 실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제 7 장 국어 생활의 실제
1. 한글 맞춤법
문자로서의 한글의 역사는 훈민정음의 창제와 더불어 시작된다. 갑오경장(1894)을 계기로 공식적인 국문으로 전환되면서, 비로소 국어 문자 생활의 전반에 등장하게 되었다. 경술국치로 인하여 ‘국문’이라는 명칭은 다시 ‘언문’으로 바뀌게 되었지만, 이 시기에 ‘한글’이라는 명칭이 생기게 되었다. 한글을 가지고 우리말을 적는 방식은 두 가지가 있다. ‘꼰니피 모두 떠러져씀니다’처럼 ‘표음주의 표기’가 있고, ‘꽃잎이 모두 떨어졌습니다’처럼 ‘형태주의 표기’가 있다.
1933년 10월에 조선어학회가 ‘한글 마춤법 통일안’을 제정하여 발표할 때까지는 표음주의 표기를 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한글의 장점을 제대로 살릴 수 없다는 생각이 확산되면서, 형태주의 표기에 의한 뜻을 밝혀 적는 방식이 정착되었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한글 맞춤법’도 1933년 10월에 조선어학회가 마련한 형태주의적인 ‘한글 마춤법 통일안’에 기초를 두고 있다. 한글 맞춤법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1)한글 맞춤법의 구성
일러두기
제 1장 총칙
제 2장 자모
제 3장 소리에 관한 것
제1절 된소리
제2절 구개음화
제3절 ‘ㄷ’소리 받침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