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영 - 생애 & 문학사적 의의

 1  오세영 - 생애 & 문학사적 의의-1
 2  오세영 - 생애 & 문학사적 의의-2
 3  오세영 - 생애 & 문학사적 의의-3
 4  오세영 - 생애 & 문학사적 의의-4
 5  오세영 - 생애 & 문학사적 의의-5
 6  오세영 - 생애 & 문학사적 의의-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오세영 - 생애 & 문학사적 의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오 세 영 (吳世榮)
Ⅰ. 오세영의 생애 (1942~ )
1942년 전라남도 영광(靈光)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해주(海州)이다. 인간 존재의 실존적 고 뇌를 서정적·철학적으로 노래하는 중견시인이자 교육자이다.
1960년 전주 신흥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5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 했다. 1968년 동대학 대학원 국어국문학에 진학해 석사학위(1971) 및 문학박사학위(1980)를 취 득했다. 충남대학교(1974~1981)와 단국대학교(1981~1985)에서 국문학을 강의했다. 1985년부터 서울대학교에서 현대문학(현대시)을 강의했으며,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버클리캠퍼스(1995~1996) 에서 한국현대문학을 강의했다. 2005년 현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1968년 박목월(朴木月)에 의해 시 《잠깨는 추상》이 《현대문학》에 추천되어 시인으로 등단했다. 첫시집 《반란하는 빛》(1970)에서 알 수 있듯이 모더니즘에 심취해 있던 초기에는 기교적이며 실험정신이 두드러지는 시들을 발표했다. 첫 시집 출간 후 언어의 예술성에 철학을 접목시키는 방법론적 문제로 고민하던 시인은 동양사상, 특히 불교에 관심을 기울이게 된다. 이후 불교적 상상력을 기반으로 사물의 인식을 통해 존재론적 의미를 파악하는 데 주력함으로써, 현대문명 속에서 아픔을 느끼는 인간정서를 서정적으로 형상화하는 시적 변모를 모색한다. 이러한 변화는 생에 관한 서정적 인식을 노래한 두 번째 시집 《가장 어두운 날 저녁에》(1983)와 존재의 실존적 고뇌를 무명(無名)이라는 동양적 진리를 통해 탐구한 세 번째 시집 《무명연시(無名戀詩)》(1986)를 통해 엿볼 수 있다. 이 시기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연작시 《그릇》을 들 수 있다.
1970년 첫시집을 펴낸 이래 2005년 열세 번째 시집 《시간의 쪽배》를 펴낸 시인은 절제와 균형이 미덕인 동양적 중용의 의미를 형상화함으로써, 형이상학적이면서도 삶의 체취가 느껴지는 개성적인 작품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한국시인협회상(1983), 녹원문학상(평론부문, 1984), 소월시문학상(1986), 정지용문학상(1992), 편운문학상(평론부문, 1992), 공초문학상(1999), 만해시문학상(2000) 등을 수상했다.
저서에 시집 《반란하는 빛》 《가장 어두운 날 저녁에》 《모순의 흙》(1985) 《무명연시》 《불타는 물》(1988) 《사랑의 저쪽》(1990) 《신의 하늘에도 어둠은 있다》(1991) 《꽃은 별을 우러르며 산다》(1992) 《어리석은 헤겔》(1994) 《벼랑의 꿈》(1999) 《적멸의 불빛》(2001) 등이 있다. 이 밖에 평론집 《한국낭만주의 시 연구》(1981) 《20세기 한국시 연구》(1987) 《한국현대시의 해방》(1988) 《상상력과 논리》(1991) 《문학연구방법론》(1993) 등이 있고, 산문집 《꽃잎우표》(2000)와 시론집 《시의 길 시인의 길》(2002)이 있다.
Ⅱ. 작품경향
1. 깨어진 사랑, 빛나는 자유
오세영 시인의 시는 존재의 상처와 유한성에 대한 자각에서 태어난다. 박호영은 무명(無明)에서 적멸(寂滅)에 이르는 길에서 그의 시가 본질적인 깨달음에 도달하지 못한 무명(無名)의 상태를 드러냄으로써 존재가 근본적으로 지향해야 할 바람직한 삶의 방향을 암시적으로 제시하고 있다고 보았다. 그는 『무명연시』의 시인의 말에서 시의 위대성을 결정짓는 관건은 철학이며, 그 철학은 추상적 관념으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 사물로 존재하는 것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의 시는 이렇게 존재를 지향하는 가운데서 싹튼다.
깨진 그릇은
칼날이 된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