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의 이론과 실제 - 가평군 구비문학 조사보고서

 1  구비문학의 이론과 실제 - 가평군 구비문학 조사보고서-1
 2  구비문학의 이론과 실제 - 가평군 구비문학 조사보고서-2
 3  구비문학의 이론과 실제 - 가평군 구비문학 조사보고서-3
 4  구비문학의 이론과 실제 - 가평군 구비문학 조사보고서-4
 5  구비문학의 이론과 실제 - 가평군 구비문학 조사보고서-5
 6  구비문학의 이론과 실제 - 가평군 구비문학 조사보고서-6
 7  구비문학의 이론과 실제 - 가평군 구비문학 조사보고서-7
 8  구비문학의 이론과 실제 - 가평군 구비문학 조사보고서-8
 9  구비문학의 이론과 실제 - 가평군 구비문학 조사보고서-9
 10  구비문학의 이론과 실제 - 가평군 구비문학 조사보고서-10
 11  구비문학의 이론과 실제 - 가평군 구비문학 조사보고서-11
 12  구비문학의 이론과 실제 - 가평군 구비문학 조사보고서-12
 13  구비문학의 이론과 실제 - 가평군 구비문학 조사보고서-13
 14  구비문학의 이론과 실제 - 가평군 구비문학 조사보고서-14
 15  구비문학의 이론과 실제 - 가평군 구비문학 조사보고서-15
 16  구비문학의 이론과 실제 - 가평군 구비문학 조사보고서-16
 17  구비문학의 이론과 실제 - 가평군 구비문학 조사보고서-17
 18  구비문학의 이론과 실제 - 가평군 구비문학 조사보고서-18
 19  구비문학의 이론과 실제 - 가평군 구비문학 조사보고서-19
 20  구비문학의 이론과 실제 - 가평군 구비문학 조사보고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구비문학의 이론과 실제 - 가평군 구비문학 조사보고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가평군 구비문학 조사보고서
목 차
Ⅰ.서론
1. 연구사
2. 연구목적 및 방법
3. 지역선정 이유
Ⅱ.본론
1. 사전조사
1) 가평군 소개
가. 위치, 지형
나. 연혁
다. 산업
라. 행정과 인구
마. 교통관광
바. 사회문화
2) 항아리바위 소개
3) 용추계곡 소개
4) 자라섬 소개
5) 남이섬 소개
6) 가평군의 6.25 관련비 소개
7) 가평군의 구비문학
2. 현장조사
1) 구연자 자료
2) 항아리 바위와 개미고개 이야기
3) 자라섬 이야기
4) 용추계곡
5) 남이섬 이야기
6) 한석봉 이야기
7) 호랑이 민담
8) 6·25 이야기
9) 서낭당 이야기
10) 산신령 이야기
Ⅲ. 결론
Ⅳ. 일지
Ⅴ. 소감
Ⅵ. 참고문헌

서론
1.
연구사
이응백·김원경·김선풍(1988),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구비문학이라는 용어와 그 개념이 명확하게 정립되고 연구 또한 본 궤도에 오른 것은 1960년대 이래의 일이다. 그전에도 민속학적 관점에서 설화, 민요, 민속극 등에 관한 조사와 연구가 있었으며, 그 중 어느 분야에 대한 강의가 국문학과에 개설되기도 하였다. 또한, 기록문학의 원천이자 소재가 되는 구비문학의 자료를 주로 문헌에서 찾아 다루는 작업도 민속학이 아닌 국문학이 맡아서 국문학 연구의 출발과 더불어 시작되었다. 그러나 1961년에 와서야 비로소 ‘구비문학론’이라는 이름의 강의가 처음으로 개설되었다.
그 뒤 1967년에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에서 나온 《한국문화사대계》에서는 ‘구비문학사’가 등장해서 국문학사를 서술하는데 구비무학도 뚜렷한 한 영역을 차지하게 되었다. 구비문학에 대한 전반적인 체계화는 1971년에 나온 한국구미문학회의 《구비문학개설》에서 이루어졌다. 이 책은 구비문학에 관한 총론과 각론을 두루 구비했는데, 총론에서는 개념과 연구의 관점, 구비문학에서 기록문학으로의 이행, 구비문학의 현지조사를 다루었고, 각론에서는 설화민요무가판소리민속극속담수수께끼를 균형 맞추어 서술하였다. 구비문학의 자료조사는 지역이나 분야에 따라서는 이미 상당히 이루어지기는 했으나, 전국적인 규모로 계획된 전반적인 조사는 1979년 이래 출간된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의 《한국구비문학대계》에서 이루어졌다.
2.
연구목적 및 방법
구비문학이라는 단어 자체는 말로 구전되는 문학, 즉 이야기들을 정의하고 있어 현장조사가 반드시 필요하다. 현장조사는 우리가 지금까지 배운 이론적인 지식들과 학습들을 바탕으로 직접 몸으로 겪어볼 수 있는 기회이기 때문에 실제적인 학습을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다.
우리 조는 사전조사를 통해 가평군과 가평군에서 전해지고 있는 설화에 대하여 알아보고 현장조사를 통해 생동감 있는 이야기를 채록하여 기존 문헌들에 기재되어 있는 이야기와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비교해 보기로 하였다. 또한 가평군 내에서도 서로 멀리 떨어진 장소를 선정해서 가평군내에서도 같은 이야기를 가지고도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해보기로 하였다.
3.
지역선정 이유
지역선정을 하기에 앞서 《한국구비문학대계》를 참고하여 현장조사를 하기에 가장 적합한 지역을 하나씩 추천하는 시간을 가졌다. 각자 추천한 지역들을 바탕으로 회의를 한 결과 가평군으로 의견이 모아져 우리 조는 경기도 가평군을 조사지역으로 선정하였다.
가평군은 6·25전쟁의 격전지로서 그것을 증명해주는 여러 비도 세워져있었고 하나의 이야기를 가지고도 여러 형식의 이야기가 구전되고 있었다. 또 남이섬이라는 현존하는 장소에 대한 이야기도 존재하였고, 실존했던 인물들에 대한 이야기, 여러 지형에 얽힌 이야기들이 존재하고 있기에 구비문학 조사지역으로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