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과학과 교육과정의 개정의 특징과 방향

 1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과학과 교육과정의 개정의 특징과 방향-1
 2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과학과 교육과정의 개정의 특징과 방향-2
 3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과학과 교육과정의 개정의 특징과 방향-3
 4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과학과 교육과정의 개정의 특징과 방향-4
 5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과학과 교육과정의 개정의 특징과 방향-5
 6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과학과 교육과정의 개정의 특징과 방향-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과학과 교육과정의 개정의 특징과 방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과학과 교육과정의 개정의 특징과 방향

1.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과 필요성
2.교육과정의 특성
3.교육과정의 개정 중점
4.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1.과학과 교육 과정 개정의 배경과 필요성
과학과 교육 과정이란 학교 교육 현장에서 실현되는 과학 교육의 목표 내용과 방법, 평가에대한 공통적, 일반적 기준으로서, 19450년 이후 우리 나라의 교육 과정은 여섯차례 개정되었다. 해방 후에는 각 교과별로 가르칠 주제를 열거하는 수준의 교수 요목이 사용되었으나, 제 1차 교육 과정기는 우리 실정에 알맞은 교육 과정의 체제와 기틀이 처음으로 마련된 시기였다. 제 2차 교육 교육과정기는 국가의 과학 기술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과학 교육을 강화할 필요성이 잇다는 판단에 따라 과학의 기초적인 주요 내용을 정선하여 지도한 시기였다. 제 3차 교육과정기는 미국의 과학 교육 개혁 사상에 크게 영향을 받아 학문 중심 또는 탐구 중심의 과학 교육 이념이 우리 나라의 과학 교육에 큰 영향을 끼쳤던 시기이다. 이 시게는 각급 학교 과학과의 단원 수는 줄어들었지만, 학습량이 증가되었고 학습 내용의 주순도 높아져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한 시기였다. 제 4차 교육과정기에는 지식의 학문성뿐만 아니라 유용성면에서 적합하도록 교육 내용을 정선하고 그 수준을 적정하게 유지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리고 지나친 학문 중심의 교육 사조 따라 교육 과정이 이루어져서, 내용이 어렵고 학습 부담이 많았으며 일상 생활과 거리가 있는 과학 자가 될 몇 사람을 위한 과학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따라서 제 5차 교육과정기는 ‘모든 이를 위한 과학’이라는 가치 아래 1980년대 초에 미국에서 일기 시작한 과학 기술 사회 교육 사조의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이 시기부터 교육 현장에서의 현실적인 문제와 사회적 필요성, 즉 경제적인 발전, 민주화의 정착, 정보화사회의 도래, 국제경쟁력 및 교류의 증대 등에 대한 내용이 반영되기 시작하였다. 6차 교육과정은 시대적 변화에 대처할 수 있도록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고, 생활인으로서 필요한 과학적 탐구 활동을 통하여 과학 기본 개념의 이해, 과학적 사고력의 신장, 그리고 자기의 생각과 타인의 견해를 비교하여 바르게 판단하고 옳은것을 받아들이려는 긍적적인 태도를 길러주는 데 역점을 두고 개정되었다. 또한 통합과학 교육의 필요성을 한층 더 부각시켜, 공통과학 과목을 신설하였다.
많은 변화가 예견되는 21 세기를 대비하여 더 새로운 시도가 필요하다는 사회적 요구에 따라 교육 내용과 운영 방법의 개선과 검토가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1995. 5. 31 대통령 자문 기구인 교육 개혁 위원회에서 공식적으로 제기한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하는 신교육 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 개혁 방안’에 의하여 제 7차 교육과정 작업이 시작되었다.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과를 통합과학으로 재편성하면서도 통합 과학적인 교수-학습방안을 모색하려는 노력이 현재까지 제시되고 있지 않다. 제 7차 교육과정이 이미 고시된 현시점에서, 과학 교과의 통합 학교 교육은 과학 교육 과정의 계획 단계에서는 강조되었으나 통합과학교육의 시행과 관련된 선행 논문을 보면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통합과학교육이 제대로 실현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의 본성과 7차 교육과정의 성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수 있다.
1.제 7차 교육과정 과학 교과의 통합적 운영의 개념을 설정
즉, 과학 교과의 통합적 운영이란 과학 교과의 교수-학습 현장에서 과학 각 분야 간 구분을 확실히 하는 것 보다는, 과학의 본성과 과학 교육의 목표를 고려했을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요소를 중심으로 상호 연관성을 강조하는 수업을 의미한다.
2.통합적 운영의 기본 방향 및 접근 방법으로 지식(과학적 지식), 과학 발달의 원리(과학에 대한 지식),STS(과학-기술-사회의 상호 관련성),탐구(과정과 기능)등 네가지를 제시하였다. 지식 중심의 통합이란 과학 전반에 걸쳐서 중요하다고 인정되는 과학적 지식 혹은 개념을 중심으로 통합하는 것이고, 과학 발달의 원리를 고려한 통합은 과학에 대한 지식, 과학사적 과정, 과학의 역동성 등의 과학의 본성을 중심으로 통합하는 것을 말한다. STS 중심의 통합은 과학의 기술 및 사회와의 상호 관련성을 다루면서 문제 해결 및 의사결정 과정을 중시하는 방법을 의미하며, 탐구 중심의 통합은 모든 과학에 공통적인 기본 탐구 기능과 과정을 중심으로 교육과정 조직하는 것을 뜻한다.
3.과학 교과 통합적 운영의 접근 방법이 실제로 구현되는 방안으로서 통합적 운영 모듈을 예시적으로 개발하였다. 7차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 중에서 다양한 분야의 주제를 선택하여, 과학 교과 통합적 운영의 기본 방향 및 접근 방법에 따라 14가지의 모듈을 개발하였다.
제 7차 교육과정 과학 교과의 통합적 운영 방안에 대항 기본 개념 및 접근 방법, 그리고 계시 모듈까지 비교적 구체적으로 제시했으며,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개념 정립, 통합과학 교과서와 모듈개발, 통합과학교수-학습 방안 모색 및 계속 교육에의 활용들에 도움이 될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