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6장 국어와 민족 문화 13

 1  제 6장 국어와 민족 문화 13-1
 2  제 6장 국어와 민족 문화 13-2
 3  제 6장 국어와 민족 문화 13-3
 4  제 6장 국어와 민족 문화 13-4
 5  제 6장 국어와 민족 문화 13-5
 6  제 6장 국어와 민족 문화 13-6
 7  제 6장 국어와 민족 문화 13-7
 8  제 6장 국어와 민족 문화 13-8
 9  제 6장 국어와 민족 문화 13-9
 10  제 6장 국어와 민족 문화 13-10
 11  제 6장 국어와 민족 문화 13-11
 12  제 6장 국어와 민족 문화 13-12
 13  제 6장 국어와 민족 문화 13-13
 14  제 6장 국어와 민족 문화 13-14
 15  제 6장 국어와 민족 문화 13-15
 16  제 6장 국어와 민족 문화 13-16
 17  제 6장 국어와 민족 문화 13-17
 18  제 6장 국어와 민족 문화 13-18
 19  제 6장 국어와 민족 문화 13-19
 20  제 6장 국어와 민족 문화 13-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제 6장 국어와 민족 문화 13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제 6장 국어와 민족 문화
1. 국어의 특질
- 언어를 두 가지 기준에 따라 분류한다.
① 언어의 구조적 특징에 근거하는 기준 → 언어의 유형 분류
② 언어의 기원과 역사에 근거하는 기준 → 언어의 계통 분류
1.1. 국어의 유형론적 특질
① 음운 특질
- 국어 자음
/ㄱ ,ㄲ, ㅋ /, /ㄷ, ㄸ, ㅌ/, /ㅂ, ㅃ, ㅍ/, /ㅈ, ㅉ, ㅊ/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가 셋씩 짝을 이루어 분화되어 있다.
- 음절끝 위치에서 자음들이 모두 파열되지 않는다.
- 다른 언어에서는 쓰이지만, 국어에서는 쓰이지 않는 음운
국제 음성 기호로 [f, v]로 표시하는 순치 마찰음
유성음과 무성음이 변별되지 않는다.
- 자음이나 모음뿐만 아니라 말소리의 길이나 높이가 있다.
- 환경에 따라서 말소리가 바뀐다.
‘국민’을 /궁민/으로 발음한다.
음절의 첫소리나 끝소리에서 두 개 이상의 자음이 발음되지 않는다.
→‘흙’, ‘값’ 등이 각각 /흑/, /갑/으로 발음된다.
→‘로인’(老人)을 /노인/으로, ‘녀자’(女子)를 /여자/로 발음한다.
p. 360
탐구 문제 - 국어의 음운 특질
◇ 달, 딸, 탈
◇ 자다, 짜다, 차다
국어의 자음 체계는, 특히 파열음 계열에서 영어, 독어, 불어 등과 같은 인도 유럽 계통의 언어가 이중 체계(二重體系)로 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삼중 체계(三重體系)로 되어 있다. 국어의 자음 체계는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로 삼중 체계로 나뉠 수 있다. [ㄱ,ㄲ,ㅋ], [ㄷ,ㄸ,ㅌ], [ㅂ,ㅃ,ㅍ], [ㅈ,ㅉ,ㅊ]이 있다. 그러나 인도, 유럽어의 자음 체계는 이중체계로서 울림소리, 안울림소리로 나뉘어져 있기 때문에 국어의 자음 삼중 체계에 따른 단어들을 잘 구별해서 발음하지 못한다.
◇ 우리말과 인구어(印歐語)의 파열음 비교
: 인구어의 경우, 파열음은 울림소리와 안울림소리의 두 갈래의 대립을 통해 다른 음운을 형성하는 이중 체계로 되어 있다. 예) pay-bay : 안울림소리 /p/ 와 울림소리 /b/ 로 대립된다.
우리말의 파열음 삼중 체계는 인구어에서는 변별적인 음운 대립이 되지 못하고, 반대로 인구어의 울림소리와 안울림소리의 이중 체계는 한국어에서는 변별적 음운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예)영어의 Korean, train, piano 에 있는 [k] [t] [p]를 각각 [ㅋ][ㅌ][ㅍ]의 거센소리로 발음해도 영어화자들은 이 발음을 각기 다른 단어로 인식하지 않는다.
② 어휘 특질
- 국어의 어휘는 고유어와 외래어로 구성되어 있다.
한자어 : 오랫동안 중국에서 들어와 사용되고 있다.
국어의 어휘 체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고유어가 표현하지 못하는 어휘의 빈자리를 대신해 줄 수 있다.
이미 존재하는 고유어를 위축시켜 버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