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한국고전시가작가연구] 가곡원류의 이본과 그 특징

 1  [논문] [한국고전시가작가연구] 가곡원류의 이본과 그 특징-1
 2  [논문] [한국고전시가작가연구] 가곡원류의 이본과 그 특징-2
 3  [논문] [한국고전시가작가연구] 가곡원류의 이본과 그 특징-3
 4  [논문] [한국고전시가작가연구] 가곡원류의 이본과 그 특징-4
 5  [논문] [한국고전시가작가연구] 가곡원류의 이본과 그 특징-5
 6  [논문] [한국고전시가작가연구] 가곡원류의 이본과 그 특징-6
 7  [논문] [한국고전시가작가연구] 가곡원류의 이본과 그 특징-7
 8  [논문] [한국고전시가작가연구] 가곡원류의 이본과 그 특징-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논문] [한국고전시가작가연구] 가곡원류의 이본과 그 특징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가곡원류』의 이본과 그 특징
~ 목 차 ~
1. 서론
2. 『가곡원류』의 이본 검토
3. 『가곡원류』의 전개와 유통
4. 결론
1. 서론
△ 『歌曲源流』(국립국악원 소장본)
19세기 말 가곡 문화의 중심에는 『歌曲源流』라고 일컬어지는 가집이 위치하고 있다. 朴孝寬, 安玟英을 중심으로 편찬된 『歌曲源流』는 『海東歌謠』 『靑丘永言』과 함께 3대 시조집으로 일컬어지는데, 이후 여러 異本 가집들로 전승되었다.
『歌曲源流』가 지니는 의미는 매우 크다. 무엇보다 이것이 聲樂譜 가집이라는 점에서 그러하다. 700여 수 이상의 노래마다 악보를 그렸는데, 이는 우리 가곡사상 유일하다 할 수 있다. ‘연음표’라 불리는 부호를 노래 가사 옆에 그려넣음으로써, 사설집과 악보집을 겸할 수 있게 되어 있다.(신경숙, 19세기 서울 우대의 가곡집, 『歌曲源流』, 『고전문학연구』35집, 한국고전문학회, 2009, 2쪽.)
또한 가곡은 끊임없이 파생곡을 만들며 大曲化해왔는데, 『歌曲源流』는 새로운 곡까지 수렴하며 가장 많은 악곡을 담아내었다. 그리고 모든 작품은 이 악곡순서에 따라 정연한 체계로 배치되는 편집형태를 갖추었다. 게다가 이렇게 巨作임에도 불구하구, 단시일에 빠르게 확산되며 수종 이본을 만들어낸 가집이기도 하다. 신경숙, 19세기 서울 우대의 가곡집, 『歌曲源流』, 『고전문학연구』35집, 한국고전문학회, 2009, 2쪽.
『歌曲源流』에 대한 연구는 국문학 연구 초기에서부터 꾸준히 이루어졌다. 대략적 흐름을 살펴보자면 조윤제 조윤제, 『歌曲源流』, 『조선어문』5, 조선어학회, 1932. ; 역대가집편찬의식에 대하여, 『진단학보』3, 진단학회, 1935.
와 이병기 이병기, 序文, 『증보 가곡원류』(함화진 편), 종로인문사, 1943.
등에 의해 기본적인 정보와 서지 사항들이 제시되었고, 심재완 심재완, 가곡원류계 가집연구, 『영남대학교 논문집』1집, 영남대학교, 1967; 『시조의 문헌적 연구』, 세종문화사, 1972.
에 의해 14종의 가곡원류 이본 가집들이 정리되면서 연구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이후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歌曲源流』에 대한 정리와 분석이 시도되어 다각적 측면에서 깊이 있는 논의 여러 가지 논의들이 있겠지만, 대표적인 논의를 들자면 다음과 같다.
신경숙, 조선후기 여창가곡의 연구.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1994.; 황충기, 『가곡원류에 관한 연구』, 국학자료원, 1997; 신경숙, 『歌曲源流』의 소위 ‘관습구’들 어떻게 볼 것인가?, 『한민족어문학』41집, 한민족어문학회, 2002.; 문주석, 가곡원류 연구, 영남대 박사학위논문, 2005.; 황인완, 『歌曲源流』의 이본 계열 연구,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2007.; 강경호, 가곡원류계 가집의 편찬 특성과 전개 양상 연구,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2011.
가 이루어지고 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