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이론연구 - 중국 고전 시학의 이해 - 중국 고전시학에서의 용사(用事)의 개념과 현대 시론에서의 인유와 패러디의 의미

 1  고전문학이론연구 - 중국 고전 시학의 이해 - 중국 고전시학에서의 용사(用事)의 개념과 현대 시론에서의 인유와 패러디의 의미-1
 2  고전문학이론연구 - 중국 고전 시학의 이해 - 중국 고전시학에서의 용사(用事)의 개념과 현대 시론에서의 인유와 패러디의 의미-2
 3  고전문학이론연구 - 중국 고전 시학의 이해 - 중국 고전시학에서의 용사(用事)의 개념과 현대 시론에서의 인유와 패러디의 의미-3
 4  고전문학이론연구 - 중국 고전 시학의 이해 - 중국 고전시학에서의 용사(用事)의 개념과 현대 시론에서의 인유와 패러디의 의미-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이론연구 - 중국 고전 시학의 이해 - 중국 고전시학에서의 용사(用事)의 개념과 현대 시론에서의 인유와 패러디의 의미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중국 고전시학에서의 용사(用事)의 개념과 현대 시론에서의 인유와 패러디의 의미
용사는 중국의 고전 시학에서 시문(詩文) 창작 시 전고(典故)나 사실을 인용하고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즉, 시작(詩作)에서 신화전설역사 속의 이야기 및 경서(經書)자서(子書)민요속언 중의 어구를 활용하여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이미지를 선명하게 하는 방식이다. 격률과 글자수에 제약이 심한 중국 시가에서 적절하고 합당한 용사를 사용하면 ‘적은 문자로 많은 뜻을 포괄하는’ 효과를 내게 된다. 또한 독자들도 인용된 사실과 전고를 통해 풍부한 상상 작용을 전개할 수 있다.
이 작시법은 공자의 ‘술이부작(述而不作) - 선왕의 도를 서술하여 전하되 사실에 없는 것을 짓지 않는다는 말, 곧 공자가 자신의 의미의 창시자가 아니라 이것의 계승자라고 한 것’이 시사하듯 원전(또는 과거)을 언제나 본받아야 할 규범으로 생각하는 보수주의의 산물로 보기도 한다. 더구나 중국 한시를 전범으로 숭상하는 우리 한시의 전통에서는 이 용사의 작시법이 강조되었다. 따라서 용사는 모방의 측면을 강조한 나머지 독창성과 창조성을 훼손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유협이 언급했듯이 “옛것을 빌어서 현실을 설명하는 기법”으로 정의되는 것처럼 용사는 시의 사실성을 확보하는 장치로서 의의를 띤다. 말하자면 근거 없는 것을 노래하지 않는다는 태도다. 용사는 시의 사상이나 정서의 근거로서 그리고 당대 삶을 비판하고 해석하는 근거로서 독창성과 창조성의 훼손을 보상할 수 있다.
시가 창작 중의 전고의 활용에 대해 중국의 역대 시론가들은 다양한 주장을 제시하였는데, 크게 전고 활용을 반대한 주장과 전고의 활용을 긍정적인 입장에서 수용하고 그것의 방법적인 측면을 검토한 이론으로 나뉜다.
먼저 전고의 활용을 반대한 이들로는 종영(鐘嶸) 《시품서(詩品 序》에서 시가는 자신의 진솔한 성정을 표현해야 하는 것이기에 ‘직접 찾음’에서 비롯되어야 하며 전고의 인용을 중시해서는 안 된다고 말하였다.
송대(宋代)의 장계(張戒) 《세한당시화(歲寒堂詩話)》에서 전고의 사용의 “시인 중의 한 폐단이다(乃詩人中一害)”라고 비판하였다.
명대(明代) 의 호응린(胡應麟) 전고의 과다한 사용이 성정의 자연스러운 표현에 장애가 되어 시가(詩歌) 예술의 와넌성과 통일상을 파괴함을 지적하여 ‘전고 쓰기를 좋아하나 오히려 전고에 부림당하는(好用事而爲事使)’ ‘전고의 장애(事障)’를 지적하였다.
청대(淸代)의 유희재(劉熙載) “난삽함, 피상적임, 많음, 융통성 없음, 이러한 유는 모두 용사의 장애이다.(晦也, 膚也, 多也, 板也, 此類皆障也)”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