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사] 조위한의 최척전 - 시대를 바라보는 민중의 시선

 1  [고전문학사] 조위한의 최척전 - 시대를 바라보는 민중의 시선-1
 2  [고전문학사] 조위한의 최척전 - 시대를 바라보는 민중의 시선-2
 3  [고전문학사] 조위한의 최척전 - 시대를 바라보는 민중의 시선-3
 4  [고전문학사] 조위한의 최척전 - 시대를 바라보는 민중의 시선-4
 5  [고전문학사] 조위한의 최척전 - 시대를 바라보는 민중의 시선-5
 6  [고전문학사] 조위한의 최척전 - 시대를 바라보는 민중의 시선-6
 7  [고전문학사] 조위한의 최척전 - 시대를 바라보는 민중의 시선-7
 8  [고전문학사] 조위한의 최척전 - 시대를 바라보는 민중의 시선-8
 9  [고전문학사] 조위한의 최척전 - 시대를 바라보는 민중의 시선-9
 10  [고전문학사] 조위한의 최척전 - 시대를 바라보는 민중의 시선-10
 11  [고전문학사] 조위한의 최척전 - 시대를 바라보는 민중의 시선-11
 12  [고전문학사] 조위한의 최척전 - 시대를 바라보는 민중의 시선-12
 13  [고전문학사] 조위한의 최척전 - 시대를 바라보는 민중의 시선-13
 14  [고전문학사] 조위한의 최척전 - 시대를 바라보는 민중의 시선-14
 15  [고전문학사] 조위한의 최척전 - 시대를 바라보는 민중의 시선-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사] 조위한의 최척전 - 시대를 바라보는 민중의 시선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시대를 바라보는 민중의 시선 -

- 시대를 바라보는 민중의 시선 -
Ⅰ. 서론
- 평범한 사람들의 시선에서 바라보는 역사
Ⅱ. 본론
1. 역사적 배경
2. 작가의 삶
3. 작품분석
① 전개방식과 에 부재하는 고전소설의 구성 요소
② 생동감 넘치는 인물들
③ 배경이 가지는 의미
4. 의 감상과 해석
① 역사와 문학의 사이에 있는
② 과 조선 후기의 불교신앙
③ 을 향유했던 민중들
Ⅲ. 결론
- 의 문학사적 의의
참고문헌
< 차례 >
Ⅰ. 서론
- 평범한 사람들의 시선에서 바라보는 역사
오랜 시간 동안 기록(記錄)은 역사를 남기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수단이었다. 특히 서양 문물이 들어와 사진이나 영상이 보급되기 전까지, 기록이 역사에서 가지는 위치는 절대적이었다. 고고학이 발달되기 전까지 역사는 오로지 선조들이 남긴 공식적인 문헌이나 신변잡기적인 수필과 편지들을 통해 추론될 뿐이었다. 때로는 그마저도 정사(正史)와 야사(野史)로 엄격하게 구분되어 공신력을 가진 역사가나 사관에 의한 기록만이 진실한 역사로 인정되고 사적인 기록들은 신뢰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하였다. 또한 근대화가 이루어지기 전까지 문자를 이용하여 글을 읽고 쓸 줄 아는 능력을 가진 사람들은 사대부와 같이 높은 신분을 가진 계층으로 한정되어 있었고 후대의 사람들은 그들의 시선에서 바라본 기록만으로 역사를 기술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민간에서는 사대부 가문에서와는 조금 다른 형식의 역사가 전해지고 있었다. 그것은 입에서 입으로, 부모에게서 아이에게로, 마치 옛날이야기와 같은 형식으로 전달되었다. 그들이 인식하지도 못하는 사이에 그것은 민중의 정신과 세상을 반영한 문학으로 자리 잡았다. 그것은 시간이 지나면서 와전되기도 하고 잊히기도 했지만 종이와 붓은 가지지 못한 생명력을 가진 역사였다. 사대부들은 그것을 한낱 저잣거리의 소문이나 야담(野談), 야사(野史)로 치부해버렸지만 그것이 세월을 뛰어넘는 힘을 가질 수 있었던 것은 그것을 향유했던 백성들이 이야기 안에 담긴 주제의식에 깊이 공감했기 때문이다. 일반 백성들은 자신들과 비슷한 인물들이 겪는 이야기 속에서 동질감과 인간미를 느끼고 그것이 주는 특별한 감동을 체험했을 것이다.
문학은 작가의 세상을 반영하고 독자에 의해 새롭게 해석된다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조위한(趙緯韓, 1567-1649)의 은 사대부가 기록한 민중의 이야기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또한 대부분의 고전소설에서 나타나는 유교적 주제의식에서 벗어나 전쟁으로 인해 비참하게 살아가는, 다소 시국에 대해 비판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시대적 상황을 다루고 있다는 점도 독특하다고 생각하였다. 더 나아가 실화를 바탕으로 하여 지어진 소설이라는 점, 그 배경이 조선은 물론이고 일본과 중국, 안남(安南)까지 이어져 평범한 시대였다면 경험할 수 없었던 인생을 다루고 있다는 점 또한 매우 흥미로웠다. 이와 같은 특징은 동시대의 다른 고전소설에서는 찾기 어려운 내용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 작품이 탄생하던 17세기 당시 동아시아의 정세를 알아보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작가의 허구적 세계가 아닌, 실제 있었던 사건을 배경으로 한 작품인 만큼 사실성도 문학성 못지않게 중요하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작자 조위한의 생애를 통해 그가 최척의 이야기를 기록으로 남긴 이유를 추론해보고 본격적으로 작품을 살펴본 뒤 이 후대의 작품에 미친 영향과 그 문학사적 의의를 살펴보면서 마무리 지을 것이다.
Ⅱ. 본론
1. 역사적 배경
1590년,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 1534-1582)의 뒤를 이은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 1536-1598)가 군사적 실권을 잡고 영주들을 굴복시킴으로서 일본은 전국시대를 끝내고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는 듯하였다. 그러나 이로 인해 많은 무사들이 일자리를 잃고 떠돌거나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은 이들이 분란을 일으키면서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관백(關白)을 거쳐 태정대신(太政大臣)에 오른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그들의 불만을 해소하고 자신의 야망을 실현시키기 위해 해외로 눈을 돌렸다. 명나라를 정복하여 그 땅을 무사들에게 나누어주고 자신은 천자가 되겠다는 계획을 세운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1592년 조선에게 명나라로 가는 길을 빌려달라는 문서를 보냈고(征明假道), 조선이 이를 거부하자 끝내 부산에 쳐들어와 임진왜란(壬辰倭亂)을 일으켰다.
전국시대가 끝난 지 얼마 되지 않아 체계적인 군사조직을 갖추고 있던 일본과 달리 조선과 명나라는 오랜 평화로 인해 군사적으로 해이해진 상태였다. 특히 조선의 경우에는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직전에 통신사를 보내 직접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만나 일본의 사정을 파악하여 대비할 수 있는 기회까지 있었다. 그러나 붕당 정치의 논리에 휩쓸린 선조는 일본의 낌새가 심상치 않다는 서인 황윤길(黃允吉, 1536-?)의 주장 대신 아무 걱정도 할 것이 없다는 동인 김성일(金誠一, 1538-1593)의 손을 들어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