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배경론] 허균의 작품을 통해 본 도교사상

 1  [한국문학배경론] 허균의 작품을 통해 본 도교사상-1
 2  [한국문학배경론] 허균의 작품을 통해 본 도교사상-2
 3  [한국문학배경론] 허균의 작품을 통해 본 도교사상-3
 4  [한국문학배경론] 허균의 작품을 통해 본 도교사상-4
 5  [한국문학배경론] 허균의 작품을 통해 본 도교사상-5
 6  [한국문학배경론] 허균의 작품을 통해 본 도교사상-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문학배경론] 허균의 작품을 통해 본 도교사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허균의 작품을 통해 본 도교사상
목차
-허균의 작품에 반영된 도교사상-
Ⅰ. 서론
Ⅱ. 허균의 도교사상에 대한 관심
Ⅲ. ‘남궁선생전’과 ‘장생전’에 나타난 도교사상
Ⅳ. 결론
허균의 작품을 통해 본 도교사상
Ⅰ. 서론
도교는 노장의 설에다 신선 사상을 근저로 하고 당시에 성했던 음양오행설, 불교의 인과 응보, 불살생의 교리를 혼합하고 유교의 권선징악적 윤리설을 종합해 놓은 것이다. 최삼룡, 「한국문학과 도교사상」, (세문사, 1990) p.8.
중국의 도교가 정식으로 우리 나라에 들어온 것은 삼국시대 말기로 그 이후로 지금까지 여러 방면에 걸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교사상은 직접적으로 드러나 있다기보다 한의학, 문학, 예술, 전통적 과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 그 사상적 내용이 숨어 있다. 이 중 문학작품 속에 숨겨져 있는 도교 사상을 찾으려하며 조선시대의 대표적 문인인 허균의 작품을 그 대상으로 삼으려 한다.
허균은 도교에 깊은 관심을 드러내었으며 그 자신을 스스로 신선이라 여길 만큼 도교에 심취해 있었다. 이런 그의 성향이 문학 작품에도 반영되었을 것이라 생각되어 그의 문학 작품중 전 형식에 해당하는 장생전과 남궁선생전을 중심으로 도교사상의 문학적 수용의 형태를 살펴보려 한다.
따라서 우선 작자 허균의 개인적인 도교사상에 대한 관심을 시작으로 이러한 도교사상에 대한 관심이 문학작품에 어떠한 형태로 수용되어 반영되었는지의 순서로 알아보겠다.
Ⅱ . 허균의 도교사상에 대한 관심
허균(1569~161)은 조선시대의 혁명가며 기인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그가 소설을 비롯한 방대한 양의 시문을 통해 사회 개혁의 혁신적 의지를 천명하고 독창적인 종교, 문학사상을 피력하였던 것에서 볼 수 있다. 박삼서, 「한국문학과 도교사상」, (국학자료원, 1998) p.294.
그러나 이러한 소설과 시문을 내용을 살펴보면 현실적 인물을 주인공으로 하지만 작품 속의 배경은 현실이 아닌 이상향을 그린 도교적 배경이 나온다거나 주인공이 도술이나 방술, 단학 등을 행 하기도하며 영생의 삶을 사는 신선적 면모를 보여준다. 이러한 것은 그가 도교사상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유학자인 허균이 어떻게 그 당시 배척하던 종교였던 도교에 관심을 두었었는지 살펴보자.
허균이 살았던 당시의 조선은 잇단 사화와 반정에 이은 동서분당과 임병양란 등의 전쟁의 회오리로 인해 사회적 혼란이 가중되면서 많은 선비들이 벼슬길로 나아가지 못하거나 아니면 스스로 나아가지 않고 현실의 삶을 떠나 산 속으로 은거해 학문적 수양에 힘쓰기도 하고 방외인으로 살며 신선적 삶을 추구하는 경향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것은 부당한 현실에 대한 하나의 대응 방식으로 유자로서의 이상이 현실과 부합될 때는 현실에서의 삶이 가능하지만, 그 꿈이 실현되지 못할 때는 현실에서 물러나 자연에 은거해 신선적 삶을 살려는 태도가 나타난다. 허균 역시도 벼슬길에 여러 번 나아가긴 하나 유난히 그 벼슬길에서 고난이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