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사] - 조선 전기 애정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연구 - 주생전 중심

 1  [고전문학사] - 조선 전기 애정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연구 - 주생전 중심-1
 2  [고전문학사] - 조선 전기 애정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연구 - 주생전 중심-2
 3  [고전문학사] - 조선 전기 애정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연구 - 주생전 중심-3
 4  [고전문학사] - 조선 전기 애정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연구 - 주생전 중심-4
 5  [고전문학사] - 조선 전기 애정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연구 - 주생전 중심-5
 6  [고전문학사] - 조선 전기 애정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연구 - 주생전 중심-6
 7  [고전문학사] - 조선 전기 애정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연구 - 주생전 중심-7
 8  [고전문학사] - 조선 전기 애정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연구 - 주생전 중심-8
 9  [고전문학사] - 조선 전기 애정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연구 - 주생전 중심-9
 10  [고전문학사] - 조선 전기 애정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연구 - 주생전 중심-10
 11  [고전문학사] - 조선 전기 애정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연구 - 주생전 중심-11
 12  [고전문학사] - 조선 전기 애정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연구 - 주생전 중심-12
 13  [고전문학사] - 조선 전기 애정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연구 - 주생전 중심-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사] - 조선 전기 애정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연구 - 주생전 중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조선 전기 애정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연구
-「주생전」을 중심으로-
목 차
I. 서론
  1. 문제제기
  2. 연구사 검토 및 연구방법
II. 작가 권필의 생애
  1. 방외인의 삶
  2. 불안정한 시대
III. 「주생전」 의 외적분석
  1. 중국배경
  2. 장르관습
2.1. 재자가인(才子佳人)
2.2. 부지소종(不知所終)
IV. 「주생전」 의 내적분석
 1. 애정의 양상과 낭만성
  2. 비극적 결말
V. 결론

I. 서론
1. 문제제기
우리나라의 소설은 서사문학에서 비롯되었지만, 본격적인 소설의 시대는 조선 초기 김시습의 한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이 열었다. 「금오신화」는 조선 전기소설(傳奇小說)의 대표적인 형태로써 단단히 자리를 잡게 된다.
전기소설이란 사대부들에 의해서 한문으로 기술된 단편적 형식의 허구적인 서사양식을 말한다. 전기(傳奇)는 ‘기이한 것을 전한다’는 뜻으로 본래 당대(唐代)의 작품명에서 나온 것이다. 그 후 당대 소설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게 된 전기소설은 사실소설(寫實小說)에 대립되는 용어로써 주로 초현실적이고, 비현실적인 세계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전기소설 [傳奇小說] (한국현대문학대사전, 2004.2.25.)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7178&cid=263&categoryId=1043
전기소설은 봉건사회 속의 사대부, 혹은 귀족계층의 인물을 주인공으로 하여 그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현실을 반영하고 있으며, 사건 전개에 있어서 신이(神異), 즉 비현실적, 환상적 요소나 낭만적 성격을 드러낸다. 이 소설에 등장하는 환령(幻靈)이나 초월적 세계와 같은 비현실적 요소는 인간적 욕구가 사회적 모순이나 인생의 유한성 때문에 좌절되기를 거부하는 비극적 정서와 현실 속에서 쉽게 실현될 수 없는 사회적 이념을 비유적 역설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기능을 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조선 전기의 한문소설 [朝鮮前期-漢文小說] (한국현대문학대사전, 2004.2.25.)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33699&cid=263&categoryId=1043
그런데 이와 같은 특징들은 17세기에 들어서서 점차 환상적이고 비현실적인 성격이 약화되고 현실적인 측면이 강화되기에 이른다. 그리하여 탄생한 작품이 바로 「주생전(周生傳)」이다. 「주생전」은 1593년, 권필(權)이 지은 한문소설로 「최척전」, 「운영전」과 함께 17세기 초의 주요 작품으로 꼽힌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촉주(蜀州)에 사는 주생(周生)은 누차 과거에 실패하자 벼슬이 인생의 전부가 아님을 깨닫고 재물을 팔아 강호를 유람한다. 전당에 이르자 기생 배도(俳桃)를 알게 되어 백년가약을 맺고 배도가 드나드는 노승상(盧丞相) 집에 갔다가 탁월한 학식을 인정받아 승상의 아들 국영(國英)을 가르치게 된다. 또 주생은 승상의 딸 선화(仙花)와도 사랑을 맺게 되나 배도에게 발각되어 헤어지고 배도는 세상을 떠난다. 장씨의 중매로 선화와 정혼했으나 그때 임진왜란이 일어나 종군, 두 사람은 인연을 맺지 못하고 만다는 내용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주생전 [周生傳]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2893&cid=40942&categoryId=32876
현전하는 「주생전」의 이본으로는 문선규본과 북한본이 있다. 문선규본은 김규경이 소장하고 있던 한문본을 필사한 것으로, 이를 활자화한 것이 문선규 역 ≪화사주생전서대주전≫(통문관, 1961)이다. 김규경본은 현재 소재를 알 수 없다. 북한본은 리철화가 국역하여 원문과 함께 수록한 것으로 「주생전」 연구에 있어서 매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주생전 [周生傳] (한국현대문학대사전, 2004.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