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관찬사서의 변천과 조선사편수회

 1  근대 관찬사서의 변천과 조선사편수회-1
 2  근대 관찬사서의 변천과 조선사편수회-2
 3  근대 관찬사서의 변천과 조선사편수회-3
 4  근대 관찬사서의 변천과 조선사편수회-4
 5  근대 관찬사서의 변천과 조선사편수회-5
 6  근대 관찬사서의 변천과 조선사편수회-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근대 관찬사서의 변천과 조선사편수회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근대 관찬사서의 변천과 조선사편수회
-목차-
1. 서언
2. 근대 관찬 사서의 변천
3. 조선사편수회의 성립과 발전
4. 조선사편수회의 역사편찬
5. 결어
1. 서언
조선사편수회는 일제강점기에 일본이 식민 통치의 일환으로 조선 역사를 편찬하기 위하여 설치한 한국사 연구기관으로 역사교육을 통해 한국인의 민족의식을 말살하고 일본민족의 우월성을 입증하고자 1922년 창설하였다. 또한 조선사편수회의 구성은 조선총독부 정무총감을 위원장으로 하고 일본한국의 학자 몇 명을 위원 또는 고문으로 하였으므로 이 단체는 친일적, 반애국적 행위의 결정체라 할 수 있었다.
조선사편수회에 대하여 살펴보는 일은 일제 식민지하에서의 왜곡된 우리의 역사인식의 실체를 파악하고 이의 회복에 어느 정도 기여하리라 생각되므로 본문에서는 근대 관찬 사서의 흐름과 근대 관찬 기관의 대표격이라 할 수 있는 조선사편수회의 성립에서 발전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기관에서 이루어진 역사편찬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2. 근대 관찬 사서의 변천
일제는 조선 합병 이후 조선 내에서 조선사연구를 계속하였다. 이들은 일본의 연구방법을 이용하면서 식민지배를 위하여 한국의 역사. 지리. 법제. 풍속 등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조선인에게 민족의식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역사책 반포를 금지시키면서 한국사를 왜곡하여 재구성하려고 하였다. 일제는 1915년 중추원에 편찬과를 두어 조선반도사 편찬에 나섰다. 그 목적은 조선인 동화에 있었다. 그 뒤 3.1운동이 일어나고 일제가 1922년 조선총독부에 조선사편찬위원회를 설치함으로써 반도사 편찬사업은 일단 중단되었다.
조선사편찬위원회는 1925년 조선사편수회로 바뀌어, 조선사 편찬 10개년 계획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1931년에서 37년 사이에 35책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의 [조선사]가 완성되었다. 이 책은 역사책이 아니라 사료집이었으나, 일제에게 유리한 사료만 등재하여 이 책을 가지고 연구한다면 일제의 의도에 따르지 않을 수 없게 되었고, 더욱이 일반인은 원사료보다 이 책을 이용하기 쉬웠으므로 이 책이 조선사 연구에 미치는 영향을 컸다.
한편 조선사편찬위원회가 발족되면서 그 직원이 중심이 되어 조선사학회를 만들었는데 여기서 [조선사대계] 5권을 펴냈다. 이 책은 단군 조선 부정, 한사군에 대한 자세한 설명, 일본의 신라정복 등의 내용으로 객관성을 잃은 서술이었다.
조선사학회는 또 그 뒤, [조선사학]이라는 논문집을 발간했는데, 발간사에서 국사의 일부가 된 조선사를 위해서라고 연구목적을 밝히는데서 그 의도를 알 수 있다.
3. 조선사편수회의 성립과 발전
1920년대 일제의 정책은 수탈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본격적으로 우리민족을 분열시키고, 역사를 단절시키는 수준에까지 나갔다. 일본은 자생왕조라는 허구의 합리화 이외에도, 당시 3·1항쟁으로 고조된 한국인의 독립의식을 희석시킬 고차원의 식민지 문화정책의 일환으로 더욱이 역사 왜곡을 자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