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통계 분석론] 문제 대응, 스킬 사용, SES가 성인의 비형식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

 1  [교육 통계 분석론] 문제 대응, 스킬 사용, SES가 성인의 비형식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1
 2  [교육 통계 분석론] 문제 대응, 스킬 사용, SES가 성인의 비형식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2
 3  [교육 통계 분석론] 문제 대응, 스킬 사용, SES가 성인의 비형식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3
 4  [교육 통계 분석론] 문제 대응, 스킬 사용, SES가 성인의 비형식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4
 5  [교육 통계 분석론] 문제 대응, 스킬 사용, SES가 성인의 비형식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5
 6  [교육 통계 분석론] 문제 대응, 스킬 사용, SES가 성인의 비형식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6
 7  [교육 통계 분석론] 문제 대응, 스킬 사용, SES가 성인의 비형식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7
 8  [교육 통계 분석론] 문제 대응, 스킬 사용, SES가 성인의 비형식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8
 9  [교육 통계 분석론] 문제 대응, 스킬 사용, SES가 성인의 비형식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9
 10  [교육 통계 분석론] 문제 대응, 스킬 사용, SES가 성인의 비형식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 통계 분석론] 문제 대응, 스킬 사용, SES가 성인의 비형식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문제 대응, 스킬 사용, SES가
성인의 비형식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
Ⅰ. 서론
평생교육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매년 평생학습도시를 선정하여 평생교육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으며 여러 평생교육연구물들에서도 참여실태에 대한 조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세부분야의 통계 자료는 여전히 부족하며, 여기에서 다루려는 문제 대응 특성과 스킬의 사용, SES가 평생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도 미미한 실정이다. 다만,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비형식교육 참여도 증가한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보고되어 있다(이희수 외, 2002; 이광현&홍지영, 2009). 본 논문에서는 OECD 국제 성인역량조사(PIAAC: Program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를 기반으로 하여, 문제 대응과 스킬 사용, SES가 성인의 비형식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모형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모형 및 연구 가설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사회경제적 지위(SES)와 학습에 대한 문제 대응 전략, 일상에서의 스킬 사용이 비형식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관련 이론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연구의 기본 개념적 틀을 구축하였다. 기본 가설은 대응 전략과 스킬 사용, SES 세 요인 간에는 개념적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형성적 지표(formative indica-tor)인 SES는 비형식교육 참여에 직접 영향을 미치거나 대응 전략 및 스킬 사용을 매개로 간접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때 나타나는 모든 관계 관계에서 긍정적 영향이 나타날 것으로 가정하였고, 따라서 SES가 높고 대응 전략과 스킬을 자주 사용할수록 비형식교육 참여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가설 모형은 다음의 [그림 1]과 같다.
그림 1. 연구모형
2. 표본과 조사대상
본 연구는 OECD 국제 성인역량조사(PIAAC)의 표본을 사용하였다. PIAAC은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평가로, 24개국 5억9천6백만 명의 16~65세 성인을 대표로 하여 15만5천 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언어능력, 수리력 및 컴퓨터 기반 문제해결력을 측정하였다. 연구에서 사용한 표본은 한국 성인으로, 표본설계는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표본추출을 하였고 883조사구 8,830가구별 1명의 적격가구원을 무선적 추출하였다[그림 2]. 응답률은 75%이며, 최종 6,776명이 한국 자료에 포함되었다[표 1].
1단계 추출
883조사구추출
확률비례계통추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