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인지적 관점 인지적 자기조절 관점

 1  현대 인지적 관점 인지적 자기조절 관점-1
 2  현대 인지적 관점 인지적 자기조절 관점-2
 3  현대 인지적 관점 인지적 자기조절 관점-3
 4  현대 인지적 관점 인지적 자기조절 관점-4
 5  현대 인지적 관점 인지적 자기조절 관점-5
 6  현대 인지적 관점 인지적 자기조절 관점-6
 7  현대 인지적 관점 인지적 자기조절 관점-7
 8  현대 인지적 관점 인지적 자기조절 관점-8
 9  현대 인지적 관점 인지적 자기조절 관점-9
 10  현대 인지적 관점 인지적 자기조절 관점-10
 11  현대 인지적 관점 인지적 자기조절 관점-11
 12  현대 인지적 관점 인지적 자기조절 관점-12
 13  현대 인지적 관점 인지적 자기조절 관점-13
 14  현대 인지적 관점 인지적 자기조절 관점-14
 15  현대 인지적 관점 인지적 자기조절 관점-15
 16  현대 인지적 관점 인지적 자기조절 관점-16
 17  현대 인지적 관점 인지적 자기조절 관점-17
 18  현대 인지적 관점 인지적 자기조절 관점-18
 19  현대 인지적 관점 인지적 자기조절 관점-19
 20  현대 인지적 관점 인지적 자기조절 관점-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 인지적 관점 인지적 자기조절 관점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현대 인지적 관점
(인지적 자기조절 관점, 도식, 귀인, 연결주의 관점)
목 차
1, 인지적 자기조절 관점········p. 3
1) 인지적 관점 ··················p. 3
2) 주요주제 ··················· p. 3
3) 기초가정 ··················· p. 4
2. 세계에 대한 경험을 표상하기 ··· p. 5
1) 세상, 사람, 자기를 보는 틀 ··········· p. 5
2) 도식과 도식의 발달 ··············` p. 5
3) 도식의 효과 ··················`p. 10
4) 의미기억, 일화기억 및 스크립트 ·········p. 11
5) 사회적 도식·················· p. 15
6) 실체도식과 증가도식·············· p. 21
7) 귀인 ····················· p. 22
8) 기억의 사용과 활성화··············p. 33
3. 정신적 조직에 대한 연결주의 관점·p. 35
1) 정보처리에 대한 초점··············p. 37
2) 정서······················p. 37
3) 이중 처리과정 모형···············p. 37
4) 성격에 대한 관점················p. 43
현대 인지적 관점
1. 인지적 자기조절 관점
1) 인지적 관점
인간 정신과 행동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연구해온 현대 심리학 역시 도도한 역사의 흐름인 시대정신(zeitgeist)의 영향을 받으면서 발달해 왔다. 다윈(charles Darwin, 1809~1982)이 1859년 발표한 ‘종의기원’(The Origin of Species)은 인간 연구를 위한 심리학에도 엄청난 관점의 변화를 초래하였다. 그러한 시대사조 속에서 프로이트는 본능이론에 바탕을 둔 정신분석을 확립하여 인간 이해의 폭을 확장하였다. 이러한 프로이트의 영향을 기점으로 19세기말에서 1960년대까지 보편적으로 인정하는 심리학의 시대적 주류는 제1, 2, 3세력인 정신역동주의, 행동주의, 인본주의이다.
심리학의 제4세력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주류 심리학에서 수용하는 입장은 인지과학이다. 시대정신에 따른 과학자들의 학문적 주장이 중요하다는 입장에 근거하여 쿤(Khun, 1970)은 세 단계인 발달 단계, 정상과학(패러다임) 단계, 과학적 혁명 단계에 의해 과학발달이 이루어진다고 주장하였다. 쿤이 주장한 과학발달이 불연속적으로 혁명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패러다임론에 따라 많은 심리학자들은 1960년대부터 인지혁명이란 말을 사용하며 인지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왔다. 아무튼 인지심리학은 인지과학과 현대의 정보처리 혁명을 일으킨 괴물단지인 컴퓨터의 발달과 밀접하게 관련되며 합리주의와 구성주의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인지적 관점은 개인이 자신의 환경을 관찰하고 지각하고 평가하고 해석하는 정신과정 혹은 인지과정에 초점을 두는 방식이다. 인지란 말은 개인이 주변 세계에 대해 갖는 생각 혹은 아이디어를 의미한다. 역사적으로는 경험론보다 인간의 생각을 강조한 플라톤의 이성론에 뿌리를 두고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현대 심리학의 다양한 학파 중에서 행동주의적 입장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성격이론이 인간의 정신 및 정신과정을 연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인지적 관점을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인지적 관점에 속한 것으로 분류한 성격이론가들은 전통적으로 인간에 대한 논의를 할 때 사용하는 3가지 체계인 정서, 인지, 행동 중에서 인지의 중요성을 가장 강조한다. 즉 이들은 개인의 감정이나 행동이 인지 혹은 생각에 의해 통제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에 일차적으로 관심 및 연구, 상담 및 심리치료의 주요한 초점을 인지에 맞추며 감정이나 행동은 부차적인 주제가 된다.
2) 주요주제
인간의 신경계는 계속해서 의사소통을 하고 있는 조그만 세포들의 광대하고도 정교한 연결망(network)이다. 신경계는 우리가 깨어있든 잠들어 있든 일생 동안 한곳에서 다른 곳으로 정보를 전달한다. 이 연결망은 수 십년에 걸쳐 많은 것들에 비유되어 왔다. 수압관 조직, 전화선 연결망, 관료적 사무절차, 지난 30년간의 컴퓨터에 대한 비유가 바로 그것이다. 컴퓨터에 대한 비유는 특정한 정신과정과 경험들을 조직화하고 그것들을 패턴으로 저장하는 컴퓨터의 기능과의 유사성을 말한다. 또한 컴퓨터로 움직이는 로봇은 많은 복잡한 행동들을 나타내기 때문에 목표를 달성하려는 행위로 가득 차 있어 인간은 컴퓨터보다는 로봇에 비유하는게 더 나을지도 모른다.(Batson, 1990).
이런 은유를 성격에 관련시킨 이론들은 오랜 역사를 가진 이론들만큼 잘 발달되어 있지는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사고방식은 성격에 대해 최소한 몇 가지 시사점은 가지고 있다.
사회인지적 이론들이 행동주의와 특질심리학이라는 두 주류로부터의 차별화에 중점을 둔 데 비해, 80년대부터 나온 인지적 성격이론들은 사회인지이론의 맥을 이어가면서 정보처리적 인지심리학에 중점을 두었다. 인지주의에서는 인간이 자극에 반응하는 수동적 존재가 아니라 능동적 정보처리자이며 감정개입이나 피로 같은 외적요인에 방해받지 않으면 사고, 이성 자체는 합리적이라고 전제하였다. 그러나 문제해결, 추리, 판단 등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연구결과가 쌓이면서 합리성 관점이 심각한 도전을 받기 시작하였다. 인지적 효율성을 제약하는 내적, 외적 한계들이 점점 드러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대부분의 정보처리는 제한된 시간 내에 이루어져야 하며 우리는 자료수집이 충분하지 않아도 빨리빨리 판단결정하고 행동해야 한다. 따라서 이미 알고 있는 것-세상과 사람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론, 배경지식 등-에 들어맞는 자료에만 관심을 기울이기 쉽다. 능동적 정보처리란 ‘주어진 것을 넘어감(going beyond the given)’인데 이때 논리적 규칙이나 절차를 따르지 못하는 것이다. 게다가 우리는 정보처리자로서 보편적, 개인적 결함과 오류도 잘 알지 못한다. 기존지식, 태도나 동기 등이 입력-처리-출력의 모든 단계에 개입하므로 정보처리자는 ‘제 눈의 안경’으로 정보를 선택, 왜곡하는 정보변형자인 셈이다. ‘성격’이 정보처리 구조와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예컨대 ‘입력’에서 어떤 자극에 또는 자극의 어떤 부분에 주의하느냐 하는 것은 지각자의 세계관, 자기개념, 욕구와 동기 등에 달려있다. ‘출력’내지 인출도, 있는 것이 그냥 나오는 것이 아니라 재구성인 경우가 많다. ‘처리’는 말할 것도 없다. ‘지정의’를 나눌 때 성격이 ‘정의’뿐 아니라 ‘지’에도 포괄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인지심리학 연구주제는 개념적 사고에서 문제해결로, 그리고 최근에는 추리, 판단, 결과과정으로 초점이 바뀌어왔고(이정모, 2001), 이 추세는 인지적 접근의 성격이론 및 연구에도 반영된다. 개념적 사고 연구에서 중심이 된 범주와 도식은 성격에서 자기도식 이론 및 연구로 나타났고 최근에는 목표, 문제해결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
3) 기초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