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육학 개관

 1  한국어교육학 개관-1
 2  한국어교육학 개관-2
 3  한국어교육학 개관-3
 4  한국어교육학 개관-4
 5  한국어교육학 개관-5
 6  한국어교육학 개관-6
 7  한국어교육학 개관-7
 8  한국어교육학 개관-8
 9  한국어교육학 개관-9
 10  한국어교육학 개관-10
 11  한국어교육학 개관-11
 12  한국어교육학 개관-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어교육학 개관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국어교육학 개관
목 차
1. 머리말
2.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2.1.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의 개념
2.2. 한국어교육의 필요성
3. 한국어교육학의 성격과 분야
3.1. 한국어교육학의 성격
3.2. 한국어교육학의 분야
4.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4.1. 한국어교육의 현황
4.1.1. 재외동포에 대한 한국어교육
4.1.2. 외국인에 대한 한국어교육
4.2. 한국어교육의 과제
5. 한국어교육의 지향점
6. 맺음말
참고문헌
1. 머리말
최근 한국어교육학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어교육학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한국어교육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초석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 바람직한 일이다.
그러나 이러한 외적인 성장은 한국어교육 분야의 학문적 성장이 병행되지 않을 경우 지속되기 어렵다. 한국어교육의 발전을 위한 노력이 빛을 발하기 위해서는 한국어교육의 학문적 정체성 확립이 무엇보다 긴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한국어교육 현황을 점검하여 한국어교육학으로의 학문적 발전 방향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에 이번 장에서는 한국어교육학이란 무엇인지 개념정리와 한국어교육학의 성격, 한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및 지향점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2.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한국어교육학이 무엇인지에 대한 개념을 밝히기 앞서 정확히 짚고 넘어가야 할 개념정리가 있다. 바로 국어와 한국어의 차이이다. 쉽게 표현을 하자면 국어가 ‘내 떡’이라면 한국어는 ‘시루떡’ 같은 것이다. 나에게 주어진 떡은 누구에게나 ‘내 떡’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시루떡’은 한국전통 고유의 떡이다.
이를 풀어서 다시 설명하자면, 국어란 한 국가의 중추를 이루는 민족어로 한 국가가 그 공공성을 헌법 등으로 규정한 언어이다. 또한 국어는 정치적으로는 한 국가의 국가어이고 그 국민에게 있어서는 자국어를 말하는데 원래 외국어에 대비한 자기 쪽의 명칭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에 반해 한국어는 한국인이 사용하는 형태상 교착어, 계통상 알타이어족에 속하는 언어이다. 우리나라 내에서는 한국어와 국어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으나 ‘내 떡’보다 ‘시루떡’이 상대방의 더 정확한 의미이해에 도움을 주는 것처럼 대외적인 의미에서는 국어보다는 한국어로 명칭 하는 것이 더 적절할 것이다. 이 장에서는 국어란 무엇이고 한국어란 무엇이며, 한국어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자.
2.1.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의 개념
학자들의 분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지구상에는 약 3000~5000개 정도의 언어가 있다. 물론 우리가 사용하는 국어도 이 많은 종류의 언어에 포함된다. 한국에서 태어나고 한국에서 자라난 우리 국민들은 일반적으로 공교육 기관을 통해 국어 교육을 받게 된다. 국어 교육의 주된 목표는 한국 국민들을 주요 대상으로 하여 국어의 효율적인 사용과 표현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에 있다고 할 것이다. 여기서 제7차 교육 과정에서 제시한 국어과 교육 목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국어생활 과목은 우리가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언어적 교양과 실천 능력을 길러주는 과목이라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국어생활’은 학생들이 장차 영위하게 될 직업의 유형과 관계없이 한 사람의 바람직한 한국인으로서 살아가는 데 필요한 국어 소양을 길러주는 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이 과목에서는 언어와 인간의 삶과의 관계를 이해하게 함으로써 품위 있는 국어생활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국어의 규범을 익혀 바른 언어생활을 하게하고, 전통적인 국어문화를 이해하여 계승, 발전시키게 하며, 국어의 아름다음을 깨닫고 문학과 함께 하는 삶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심미적인 국어생활을 향유할 수 있는 자질을 길러줌과 동시에 국어를 사랑하는 태도를 기르는 데 주안점을 둔다.” 라고 되어 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