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사 이원록론

 1  육사 이원록론-1
 2  육사 이원록론-2
 3  육사 이원록론-3
 4  육사 이원록론-4
 5  육사 이원록론-5
 6  육사 이원록론-6
 7  육사 이원록론-7
 8  육사 이원록론-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육사 이원록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육사(陸史) 이원록론
Ⅰ.작가의 생애와 문학 활동 김봉군 외(1988). 『한국현대작가론』. 민지사
임월남(2006).「이육사 시 연구」.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wrap container content
육사(陸史) 그의 호는 대구 형무소에 구속되었을 때 수인 번호 64(또는 264)를 취음, 표기한 것이라 한다.
는 1904년 경북 안동군 도산면 달천동에서 아은공 이가호와 김해 허씨 길 사이에 6형제 중 둘째로 태어났다. 육사의 집안은 친가와 외가가 모두 강렬한 항일투쟁의분위기를 갖고 있었다. 특히 친가로 보면 육사는 퇴계의 14대 손이며 형조참판을 역임한 바 있는 사은 이구운의 6대손으로, 뿌리 깊은 유가의 전통아래에서 자랐다. 그는 어려서 조부에게서 한문을 배웠고 어머니로부터 눈물을 흘리지 말라고 배워왔는데, 이는 그의 성격 형성의 모태가 되었다. 그는 이후에 좌절의 고통 속에서도 패배주의와 지적 허무주의에서 벗어나고자 했는데, 이는 어릴 때부터의 정신적 뿌리인 선비정신이 뒷받침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육사가 7살이 되던 해 경술국치를 맞게 되어 일제의 식민 통치와 3.1운동 속에서 소년기를 보낸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거치면서 육사는 민족정신을 자각하고 항일정신을 형성하게 되었다. 12세에는 보문의숙을 다니며 신학문으로 견문을 넓혔다. 18세에는 안일양과 혼인하고 이듬해 백학학교, 교남학교 등에서 공부한다. 20세에는 약 1년간 일본에서 유학했다.
22살(1925년)에 의열단에 가입하여 본격적으로 항일운동에 가담한다. 극단적 투쟁방법의 일환으로 의열단에 가입한 것이나, 조선은행 대구지점 폭파사건 등에 연루되어 검속된 것, 중국의 사회주의 사상가이자 문학가인 노신에게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볼 때 사회주의적 성격도 엿볼 수 있다. 그의 사회주의적 지향성은 일제 강점기 시대상황에 따른 비판의식의 발로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해도 좋을 것이다.
1930년 조선일보 기자로 활동하면서 청년지도에도 힘썼는데 이 무렵에 처녀작 「말」을 발표했다. 1937년에는 신석초, 윤곤강, 김광균 등과 더불어 시 동인지「자오선」을 발간하였으며, 이 때 「청포도」「광야」와 같은 작품을 남겼다. 이러한 작품을 통해 조국 광복의 소망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 지식인으로서의 고뇌 등을 표현하였다.
육사가 주로 활동한 기간은 1930-1944년 이었는데, 이 시기는 일제의 민족 말살기로 우리 민족 최대의 암흑기에 해당하는 기간이다. 이 시기에 일부 지식인들은 친일을 하거나 순수문학을 지향하지만, 육사는 남성주의적 대결정신과 강인한 대륙적 풍모를 보여주면서 현실을 강렬한 시어 속에 응축시킨다.
생전에 17회 이상 투옥되었는데, 1943년에 북경에서 모친과 백형의 소상에 참석하기위해 귀국했다가 일경에 피랍되어 광복을 눈앞에 두고 결국 1944년 1월 41세의 나이로 북경 감옥에서 생을 마친다.
Ⅱ. 작품 경향 김봉군 외(1988). 『한국현대작가론』. 민지사
1. 시어
이육사 시어의 특징은 ① 강렬성, ② 전통성, ③ 수식성, ④ 광활성, ⑤ 다양성(한자어, 서구식 외래어, 신어, 방언, 어미의 활용 기교) 등으로 요약된다. 육사의 상상력을 자극한 시어들로 빈도가 높은 명사는 꽃, 짐승, 새, 나무, 보석, 하늘, 땅, 바다, 고향, 죽음 등에 관계되는 것들이다. 그리고 ‘정녕, 마침내, 차라리, 꼭, 끝끝내, 진정, 아예’ 등 선택이나 결심을 결행하는 부사어들은 ‘단도직입적이며 명쾌한 역동적 이미저리의 형성’에 결정적으로 기여한다. 그리고 ‘~언만, ~망정, ~했나’ 등 다양한 활용 어미를 구사하여 시의 함축미와 여운, 어조와 분위기, 명령과 의지에 결부된 시의 강건성 등 변화의미 형성에 기여했다. 또한 한자어(청포, 천고, 옥야 천리)와 고유어(은쟁반, 모시 수건), 서구식 외래어(뮤즈, 사라센, 보헤미안)까지 복합적으로 활용한다.
이러한 육사의 시어 선택은 육사시의 주제와도 상통하는데 낱말 선택의 강렬성과 의지와 결단을 촉구하는 부사어의 애용, 돈호법, 어미의 다양한 활용 등을 통하여 저항적, 대결적이며 격정적, 남성적인 자세를 드러내는 데 몫을 다하고 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