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복] 조선시대 복식사

 1  [조선의복] 조선시대 복식사-1
 2  [조선의복] 조선시대 복식사-2
 3  [조선의복] 조선시대 복식사-3
 4  [조선의복] 조선시대 복식사-4
 5  [조선의복] 조선시대 복식사-5
 6  [조선의복] 조선시대 복식사-6
 7  [조선의복] 조선시대 복식사-7
 8  [조선의복] 조선시대 복식사-8
 9  [조선의복] 조선시대 복식사-9
 10  [조선의복] 조선시대 복식사-10
 11  [조선의복] 조선시대 복식사-11
 12  [조선의복] 조선시대 복식사-12
 13  [조선의복] 조선시대 복식사-13
 14  [조선의복] 조선시대 복식사-14
 15  [조선의복] 조선시대 복식사-15
 16  [조선의복] 조선시대 복식사-16
 17  [조선의복] 조선시대 복식사-17
 18  [조선의복] 조선시대 복식사-18
 19  [조선의복] 조선시대 복식사-19
 20  [조선의복] 조선시대 복식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선의복] 조선시대 복식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들어가며...


Ⅱ. 본론

ⅰ) 남자 복식

ⅱ) 여자 복식


Ⅲ. 결론 - 마치며...
본문내용
I. 서론- 들어가며....

한 시대의 복식은 그 시대의 사회, 문화뿐 아니라 정치, 경제, 종교 등을 표현하게 된다. 따라서 의례와 절차를 중시한 유교정신은 복식문화에도 영향을 미쳐 조선시대에는 의례복과 평상복의 구분이 우리나라 역사상 그 어느 시대보다 분명하였다. 그리고 유교에 의한 관료주의 사회 정비를 위해 조선시대 최고의 법전인 경국대전에 관료제도와 함께 관등에 따른 복식제도를 엄격히 명시하여 복식을 통한 왕과 신하, 지배층과 일반 백성의 신분차를 분명히 하였다. 또한 유교적 미의식이 확립되어 과장과 허세를 피하고 소박한 성격의 문화가 자리 잡게 됨에 따라 조선시대 예술작품은 자연주의적 성격을 강하게 띠었고, 이러한 점은 당시 남녀 복식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II. 본론 - ⅰ) 남자 복식

1.조선시대 왕복(王服)

조선왕조 사회에는 지배계층인 양반과 중인,상민,천민으로 구분되는 엄격한 신분제도가 있었다. 신분에 따라 관직,납세,군역,형벌 등이 차별되고, 의식주 생활양식에 차등이 생겼다.
이는 복식에 엄격한 계층분화를 가져오고, 강렬했던 양반의식과 왕조적인 상하질서의식은 그것을 더 엄격하게 하였다.
이 같은 신분복식은 왕복,백관복,서리복과 상층지배계급의 부녀(婦女)인명부복으로 집약되고 있으며, 이들 복식은 법제와 정령, 관습에 의하여 규제되고 있었다.
왕복은 대례,제복에 속하는 것이 면류관, 곤복이고, 조복에 속하는 것이 원유관, 강사포이고, 상복에 속하는 것이 익선관, 곤룡포이다. 이 밖에 국난을 당했을 때 전립에 융복을 착용하였고, 평상시에는 편복을 입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