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메이션연구] `마녀배달부 키키`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거쳐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 나타난 통과의례 연구

 1  [애니메이션연구] `마녀배달부 키키`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거쳐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 나타난 통과의례 연구-1
 2  [애니메이션연구] `마녀배달부 키키`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거쳐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 나타난 통과의례 연구-2
 3  [애니메이션연구] `마녀배달부 키키`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거쳐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 나타난 통과의례 연구-3
 4  [애니메이션연구] `마녀배달부 키키`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거쳐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 나타난 통과의례 연구-4
 5  [애니메이션연구] `마녀배달부 키키`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거쳐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 나타난 통과의례 연구-5
 6  [애니메이션연구] `마녀배달부 키키`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거쳐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 나타난 통과의례 연구-6
 7  [애니메이션연구] `마녀배달부 키키`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거쳐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 나타난 통과의례 연구-7
 8  [애니메이션연구] `마녀배달부 키키`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거쳐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 나타난 통과의례 연구-8
 9  [애니메이션연구] `마녀배달부 키키`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거쳐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 나타난 통과의례 연구-9
 10  [애니메이션연구] `마녀배달부 키키`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거쳐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 나타난 통과의례 연구-10
 11  [애니메이션연구] `마녀배달부 키키`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거쳐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 나타난 통과의례 연구-11
 12  [애니메이션연구] `마녀배달부 키키`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거쳐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 나타난 통과의례 연구-12
 13  [애니메이션연구] `마녀배달부 키키`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거쳐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 나타난 통과의례 연구-13
 14  [애니메이션연구] `마녀배달부 키키`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거쳐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 나타난 통과의례 연구-14
 15  [애니메이션연구] `마녀배달부 키키`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거쳐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 나타난 통과의례 연구-15
 16  [애니메이션연구] `마녀배달부 키키`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거쳐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 나타난 통과의례 연구-16
 17  [애니메이션연구] `마녀배달부 키키`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거쳐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 나타난 통과의례 연구-17
 18  [애니메이션연구] `마녀배달부 키키`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거쳐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 나타난 통과의례 연구-18
 19  [애니메이션연구] `마녀배달부 키키`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거쳐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 나타난 통과의례 연구-19
 20  [애니메이션연구] `마녀배달부 키키`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거쳐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 나타난 통과의례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애니메이션연구] `마녀배달부 키키`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거쳐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 나타난 통과의례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통과의례의 의미
3. 와 , 의 구조의 유사함과 차이점
4. 감독의 철학과 가치관
5. 결론
본문내용
프랑스의 민속학자이며 또한 인류학자인 반 게넙(Arnold van Gennep)이 장소·상태·사회적 지위·연령 등의 변화에 따른 의례를 가리키기 위해 1908년 처음으로 사용한 용어로서 추이의례(推移儀禮)라고도 한다. 반 게넙 이후 인류학자들은 어떤 개인이 새로운 지위·신분·상태를 통과할 때 행하는 여러 가지 의식이나 의례를 총칭할 때 통과의례라는 말을 사용한다. 사람의 일생은 끊임없이 여러 단계나 상태를 통과하는데, 특히 중요한 것은 출생·성인(成人)·결혼·죽음이다. 반 게넙과 그 밖의 인류학자들의 설(說)에 의하면 통과의례의 대부분은 3개의 연속된 부분이나 단계로 나뉘며, 각 부분은 일정한 순서에 따라 생긴다고 하는 특징을 가진다. 그것은 예전의 상태나 지위에 있던 자의 죽음과, 새로운 단계에서 생(生)에 대한 적응을 위한 준비와 새로운 생의 전개이며, 이 3부분 또는 단계는 의례 속에서 각각 상징적으로 표현된다.

제1단계는 개인의 분리·격리를 나타내고, 흔히 죽음이라는 형식을 취한다. 개인은 종래의 묵은 생활 양식에서 완전히 분리되어야 하며, 그래서 일정 기간 다른 사회 성원에서 사회적으로, 때로는 육체적으로 격리된다. 이 동안에 단식이나 극도의 절식(節食)을 포함한 터부가 요구된다. 죽음이라는 극한 상황을 나타내기 때문에 터부도 가혹해진다. 제2단계는 추이·조정(調整)을 표현하며, 이 동안에 개인과 다른 사회 성원의 관계는 예전 지위의 관계가 아니며, 완전히 새로운 지위에서 맺는 관계도 아닌, 중간적 성격을 띤다.
참고문헌
헬렌 매카시, 조성기 역, 『일본 애니메이션의 거장 미야자키 하야오』 , 인디북, 2004.
키리도시 리사쿠, 남도현 역, 『미야자키 하야오論』 , 써드아이, 2002.
박인하, 『박인하의 아니메 미학 에세이』 , 바다출판, 2003.
한창완, 『저패니메이션과 디즈니메이션의 영상전략』 , 도서출판 한울, 2003.
시미즈 마사시, 이은주 역, 『미야자키 하야오 세계로의 초대』 , 좋은책만들기, 2004.
아놀드 반겐넵, 전경수 역, 『通過儀禮』 , 을유문화사, 1994.
노안영, 『성격 심리학 : 인간 이해 및 성장을 위한』 , 학지사, 2003.
보도 섀퍼, 유영미 역, 『열세살 키라 : 삶의 지혜를 찾아가는 성장 동화』 , 을파소, 2004.
조병진, 생활연극 네트워크
한용환, 『소설학 사전』, 고려원, 1992.
Jeng Rousset, Forme et Signification, Paris:Corti,1962.
이재실, 「Henri Bosco의 작품의 신화적 구조에 관한 연구」, 『비교문화 문화연구』,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