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학 소논문] 선거와 TV토론에 관한 연구 - 17대국회의원선거 중심

 1  [언론학 소논문] 선거와 TV토론에 관한 연구 - 17대국회의원선거 중심-1
 2  [언론학 소논문] 선거와 TV토론에 관한 연구 - 17대국회의원선거 중심-2
 3  [언론학 소논문] 선거와 TV토론에 관한 연구 - 17대국회의원선거 중심-3
 4  [언론학 소논문] 선거와 TV토론에 관한 연구 - 17대국회의원선거 중심-4
 5  [언론학 소논문] 선거와 TV토론에 관한 연구 - 17대국회의원선거 중심-5
 6  [언론학 소논문] 선거와 TV토론에 관한 연구 - 17대국회의원선거 중심-6
 7  [언론학 소논문] 선거와 TV토론에 관한 연구 - 17대국회의원선거 중심-7
 8  [언론학 소논문] 선거와 TV토론에 관한 연구 - 17대국회의원선거 중심-8
 9  [언론학 소논문] 선거와 TV토론에 관한 연구 - 17대국회의원선거 중심-9
 10  [언론학 소논문] 선거와 TV토론에 관한 연구 - 17대국회의원선거 중심-10
 11  [언론학 소논문] 선거와 TV토론에 관한 연구 - 17대국회의원선거 중심-11
 12  [언론학 소논문] 선거와 TV토론에 관한 연구 - 17대국회의원선거 중심-12
 13  [언론학 소논문] 선거와 TV토론에 관한 연구 - 17대국회의원선거 중심-13
 14  [언론학 소논문] 선거와 TV토론에 관한 연구 - 17대국회의원선거 중심-14
 15  [언론학 소논문] 선거와 TV토론에 관한 연구 - 17대국회의원선거 중심-15
 16  [언론학 소논문] 선거와 TV토론에 관한 연구 - 17대국회의원선거 중심-16
 17  [언론학 소논문] 선거와 TV토론에 관한 연구 - 17대국회의원선거 중심-17
 18  [언론학 소논문] 선거와 TV토론에 관한 연구 - 17대국회의원선거 중심-18
 19  [언론학 소논문] 선거와 TV토론에 관한 연구 - 17대국회의원선거 중심-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언론학 소논문] 선거와 TV토론에 관한 연구 - 17대국회의원선거 중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1. 문제제기 1
2. 연구목적 1

Ⅱ. 이론적 배경2
1. TV토론의 이론적 논의2
1) TV토론의 정의2
2) TV토론의 정치적 속성3
3) 저비용 고효율의 높은 생산성 3
2. 기존 문헌 연구 4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6
1. 연구문제 6
2. 연구방법 6

Ⅳ. 연구분석 7
1. 유권자들의 투표 행태에 정당이 미치는 영향 7
1) 사회적 이슈에 대한 정당별 지지율의 변화 7
2) 15대 총선결과와 16대 총선결과 비교분석7
2. 17대 총선 TV토론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9
1) 방송 3사에서 실시한 TV토론 출연자 분석 9
2) 선거기간 동안 실시된 후보자 간의 TV토론 분석 10
3) 현행 법규상의 문제점 12
4) 국회의원 선거에서 TV토론의 개선방안 13

결론15
1. 결론15
2. 한계 및 제언16
본문내용
Ⅰ. 서 론

1. 문제제기

우리나라에서 TV토론이 논의 된 것은 1987년 대통령 직선제의 부활 이후부터이다. 이 때 선거법 44조(방송시설을 이용한 대담과 토론)에 TV토론이 명문화되었지만, 후보자 간의 TV토론은 성사되지 못하였다. 1992년 대통령 선거에서도 후보자 간의 합의를 이루지 못해 성사되지 못한 TV토론은 1995년 지방 자치단체 선거에서 처음 시도되었다. 지역 방송국과 시민단체들에 의해 100회 이상 실시되었고, 방송 3사가 4차례에 걸쳐 실시한 서울시장 후보 합동 TV토론회는 전국적인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이는 1996년 국회의원 선거를 거쳐 2004년 4월 15일 국회의원 선거에까지 이르렀다(송종길, 2002a).
선거에서, 특히 국회의원 선거에서의 TV토론은 각 선거구 유권자에게 후보자들 간의 정책을 비교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합리적 선택의 기회를 주는 역할을 하여야 한다. 특히 대규모 장외집회가 금지된 지금 후보자의 정책에 대해 유권자가 직접 접할 수 있는 기회는 TV토론이 유일하다 할 수 있다. 하지만 대통령 탄핵이라는 거대한 이슈의 등장으로 정책보다는 이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루었고, 16대 대통령 선거에서 모금한 불법자금이 폭로되고, 탄핵 반대 여론이 거세지자 17대 총선에서 당선 가능성이 높은 후보자들이 의도적으로 토론회에 참석하지 않았던 것도 쟁점이 되었다. 토론회에 나가 상대후보들로부터 뭇매를 맞느니, 차라리 토론회에 출연하지 않고 기존의 지지율을 유지하는 편이 전략상 낫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김경호, 2005). 그리고 지역별 유권자들에게 TV토론을 방영해야 할 지방방송과 케이블 TV, 유선방송에서 시청률을 이유로 TV토론의 방영시간을 심야나 오전에 편성함으로써, TV토론이 그 주된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1. 단행본 및 논문
김경호 (2005). 공직선거후보방송토론의 효율적 운영방안.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세미나 발제문.
김기도 (2003). 『미디어 선거와 마케팅 전략』.
김환열 (2000). 『TV토론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박기태 (1999). 『현대정치와 커뮤니케이션』.
박동수 (1999). 『제15대 대통령 선거 텔레비전 토론에 관한 연구』, 국민대 정치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송종길 (2002a).『대통령후보 TV토론의 법적․제도적 쟁점과 개선방안』. 한국방 송진흥원.
송종길 (2002b).『 2002년 대통령 후보 경선 TV토론』. 한국방송진흥원.
송종길 (2004). 17대 국회의원 선거: 선거방송의 평가와 전망. 한국언론재단 세미 나 발제문.
윤훈열 (1997). 『대통령 선거 후보 TV토론회 효과에 관한 연구: 97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 중앙대 신문방송대학원 석사논문.
이석종 (1997). 『선거 텔레비전 토론 방송의 형식에 관한 연구: 시민사회의 정치참 여 확대 도구로서의 기능을 중심으로』, 동국대 정보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일화 (2003). 『대통령 선거 TV토론의 발전모형 개발에 대한 연구: 2002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석사논문.
이효성 (1997). 『대통령 선거와 텔레비전 토론』, 나남.
정두숙 (2001). 『선거 TV 토론의 역할과 바람직한 모형』, 조선대 대학원 석사학 위 논문.
한국언론연구원 (1998). 『미디어 정시시대 선거보도』.

2. 인터넷 자료
YTN, http://www.ytn.co.kr
국회전자도서관, http://www.nanet.go.kr
뉴시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