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 문학담당층의 확대

 1  인문어학 문학담당층의 확대-1
 2  인문어학 문학담당층의 확대-2
 3  인문어학 문학담당층의 확대-3
 4  인문어학 문학담당층의 확대-4
 5  인문어학 문학담당층의 확대-5
 6  인문어학 문학담당층의 확대-6
 7  인문어학 문학담당층의 확대-7
 8  인문어학 문학담당층의 확대-8
 9  인문어학 문학담당층의 확대-9
 10  인문어학 문학담당층의 확대-10
 11  인문어학 문학담당층의 확대-11
 12  인문어학 문학담당층의 확대-12
 13  인문어학 문학담당층의 확대-13
 14  인문어학 문학담당층의 확대-14
 15  인문어학 문학담당층의 확대-15
 16  인문어학 문학담당층의 확대-16
 17  인문어학 문학담당층의 확대-17
 18  인문어학 문학담당층의 확대-18
 19  인문어학 문학담당층의 확대-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어학 문학담당층의 확대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문학담당층의 확대
【 목 차 】
Ⅰ. 서론
Ⅱ. 본론
1. 시대 배경
2. 여류문학
2-1 사대부 부녀
2-2 기생ㆍ서녀
3. 위항문학
3-1 위항인(委巷人)이란
3-2 상승기의 위항문학
3-3 하강기의 위항문학
4. 전문 가객
4-1 개관
4-2 작가와 작품
5. 판소리 광대
5-1 개관
5-2 작품해설
6. 소설
6-1 소설과 관련된 직업의 출현
6-2 전달자
6-3 세책
6-4 소설의 상업성
6-5 시민문학으로의 성장
Ⅲ. 결론
Ⅰ. 서론
문학에 대한 연구를 함에 있어 작가의 연구는 뗄 수 없는 중요한 사안이다. 문학을 담당하는 작가 층에 따라 문학의 형식과 내용은 큰 변화를 보이기 때문이다. 문학은 작가의 사회적 위치나 사상에 실로 큰 영향을 주고받는다.
조선 전기까지의 문학은 사대부 중심의 한문학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사대부 남성의 한문학만이 문학으로 인정되고 평가받는 시기였다. 그러던 것이 양란을 거치며 사회 경제적 변화와 함께 신분체제의 동요를 겪으면서 조금씩 변화하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문학의 영역이 이제 사대부 남성의 한문학이라는 테두리를 벗어난 것이다.
여항인라고 규정되는 중인들이나 문학과는 별개라고 생각되던 여성들까지도 문학에 적극 합류하게 되고 가객이나 인기를 누리는 판소리 광대도 등장하며 상업화된 소설로 생계를 꾸려나가는 직업까지 형성된다.
따라서 그 이전까지는 문학의 비주류에 속하던 사대부 여류 작가(기생 포함), 위항시인, 전문가객, 판소리광대들이 문학 창작 계층에 전면적으로 등장하면서 우리 근대 문학의 형성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사실이, 우리가 이들에 대해 연구해 보아야 할 이유인 것이다. 본고에서는 조선후기 문학담당층의 확대와 그에 따른 문학 변동양상. 여성과 여항인의 문학참여에 따른 성과를 시대배경의 파악과 함께 작가 층과 작품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시대배경
조선후기 사회는 대체로 중세봉건질서의 붕괴기였음이 많은 연구들을 통해 지적된 바 있다. 이 시기의 사회성격은 첫째, 양란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기반의 동요, 둘째, 중앙 집권층의 벌열화와 지배층의 분열, 셋째, 농업생산력의 증대와 이에 따른 화폐경제의 발달로 인하여 넷째, 구질서가 변질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져 왔다. 한편 이러한 변화는 과거 성장을 차단당했던 중하층민의 성장계기를 마련하였고, 이들 신(新)세력들이 신분상승을 시도하면서 다섯째, 신분체제까지 동요되기에 이르렀다고 파악된다. 이 시기에는 중세사회를 지탱하고 있던 여러 부문들이 동요되면서 중세사회의 구조가 무너지기 시작하였다. 앞의 사회성격에서 말했듯이 사회적 면에서 신분제의 동요, 신분제와 맞물려 중세사회의 물질적인 토대를 이루었던 경제구조의 변화, 유학자들의 주자학적 사유방식에 대한 이반(離反), 정치적인 면에서 붕당정치의 전개 및 향촌사회에서 새로운 세력의 등장 등 사회경제사상정치의 모든 면에서 변화가 일어났다. 이러한 변화를 근원적으로 유발하면서 추동하여 간 것은 경제구조의 변화였다. 농업생산력이 발달하면서 토지를 둘러싼 소유관계와 농민의 부담형태가 변하여갔고, 아울러 농촌사회도 재편되어 갔다. 또한 농업 이외의 상업, 수공업, 광업의 부문도 변하여 가면서 상품화폐경제가 발달하였다. 그리고 농민들이 국가에 대하여 지고 있던 부담형태인 전세, 공물, 신역의 부세 체계도 변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각 부분의 변화를 촉진시켰다. 이와 같이 조선후기는 사회가 전반적으로 동요를 일으키는 시기였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은 문학작품에도 실로 많은 영향을 끼쳤다.
2. 여류 문학
중세의 공식 문학관은 사대부 남성의 한문학만 문학으로 인정하고 평가하여, 여성은 비록 지체가 대단하더라도 문학과는 관련이 없다고 하는 것이 관례였다. 서얼 출신의 실학자인 이덕무(李德懋)가 (士小節)에서, 부녀자들이야 한문의 기본 독해력을 갖추고 족보, 역대 국호, 성현의 이름 정도의 상식이나 얻으면 그만이지 “함부로 시를 지어서 외간에 전파하는 것은 불가하다.”고 못 박은 데 개방의 한계가 명시되어 있다. 여자라고 해서 감회가 없을 수 없고 민요나 설화를 통해서 절실한 사연을 나타내온 내력이야 대단하지만, 그런 것들은 문학으로 인정되지 않았다. 문학은 격식을 갖춘 글로 이루어지고 한문학을 본령으로 삼았기에, 국문을 ‘안글’로 삼아 편지를 쓰고, 제문을 짓고 하는 것 정도는 용인되었다. 여자가 한문학을 하는 것은 긴요하지 않고 어려운 일이지만 그런 전례가 일찍부터 있었다. 신라의 여성 설요(薛瑤)가 당나라에서 지었다는 한시가 전하고 있다. 고려 때에 여류 문인이 있었던가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는 보이지 않으나, 조선 전기에 이르면 황진이(黃眞伊)를 비롯한 몇몇 기녀가 시조뿐만 아니라 한시도 익혀 창작 솜씨를 발휘했다. 신사임당(申師任堂)이나 허초희(許楚姬)처럼 명문 사대부 출신의 여류 문인도 있어서 시가 널리 알려졌다. 그런 예외가 조선 후기에는 좀 더 확대되어 한문학이 사대부 남성의 독점물일 수 없게 하는 데에 한몫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