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남녀평등과 인간화

 1  사회과학 남녀평등과 인간화-1
 2  사회과학 남녀평등과 인간화-2
 3  사회과학 남녀평등과 인간화-3
 4  사회과학 남녀평등과 인간화-4
 5  사회과학 남녀평등과 인간화-5
 6  사회과학 남녀평등과 인간화-6
 7  사회과학 남녀평등과 인간화-7
 8  사회과학 남녀평등과 인간화-8
 9  사회과학 남녀평등과 인간화-9
 10  사회과학 남녀평등과 인간화-10
 11  사회과학 남녀평등과 인간화-11
 12  사회과학 남녀평등과 인간화-12
 13  사회과학 남녀평등과 인간화-13
 14  사회과학 남녀평등과 인간화-14
 15  사회과학 남녀평등과 인간화-15
 16  사회과학 남녀평등과 인간화-16
 17  사회과학 남녀평등과 인간화-17
 18  사회과학 남녀평등과 인간화-18
 19  사회과학 남녀평등과 인간화-19
 20  사회과학 남녀평등과 인간화-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과학 남녀평등과 인간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Ⅰ. 서론
세계적인 컨설팅 회사 매킨지는 아시아의 여성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아시아 국가의 성쇠는 여성에게 달려 있다. 대규모 잠재력을 지닌 여성을 활용하지 않는 한 아시아는 낙후성을 면치 못할 것이다." 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아시아의 국가들이 여성을 노동시장에 참여시키지 않을 수 없는 객관적인 환경이 만들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2001년엔 노동인구 10명이 1명의 비노동인구를 부양했으나 2021년엔 6명이 1명을, 2051년에는 3명이 1명을 부양하게 된다는 것이다. 줄어드는 노동인구를 보충할 수 있는 것은 여성 인력뿐이라는 게 보고서의 지적이다.
보고서는 여성 인력이 경제성장을 유지할 수 있는 인적 기반이라는 증거로 미국 여성 관련 조사기관 캐털리스트의 2003년 조사 결과를 인용했다. 캐털리스트는 여성 인력이 많은 순서로 100개 기업을 선정해 상위 25개 회사와 하위 25개 회사의 자기자본이익률(ROE)과 주주가치대비수익률(TRS)을 비교했다. 그 결과 여성 인력이 많은 상위 25개 회사가 하위 25개 회사보다 자기자본이익률에서는 4.6%, 주주가치대비수익률에서는 22.4%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렇게 국가 경쟁력의 측면에서의 전문 분야 노동력의 부족과 노동 인구 감소로 여성 노동력의 활용이 사회의 당면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현재 한국의 여성 노동의 현황을 살펴보면 여성은 낮은 경제활동 참가율을 보이고 있고 경제활동에 참가하고 있는 대부분이 열악한 노동환경에 처해 있으며 이러한 환경이 여성의 계속적인 노동을 어렵게 만드는 악순환이 되풀이 되고 있다. 먼저 여성 노동의 현실을 살펴보고 그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여성 고용 비율
2002년 한국노동부여성고용과 과장인 이재응씨의 논문에 따르면 이하의 결과가 나타났다. 그에 따르면 2002년말 현재 한국에서는 생산가능인구(15세이상)는 약 3700만명이고 그 안에서 여성은 약 51.5%의 약 1904만명을 차지하며 유업여성은 약 947만명이다. 여성의 노동력율은 1980년 42.8%에서 2002년에서는 49.7%로 점진적으로 증가해왔지만 아직 5할 전후의 수준이다. 게다가 90년대 IMF위기 이후에는 여성노동력도 사회불안에 의한 노동시장의 환경악화에 크게 영향받았다. 통화/경제위기와 이에 따른 대량실업이 발생했기 때문에 1998년에는 47.1%까지 저하했고 그 후에도 여성 노동 비율은 회복하는 경향이 있지만 여전히 크게 높아지고 있지 않다.
세계 각국을 비교하면 한국 여성의 노동시장참가 비율은 정말로 낮은 수준이다. OECD가맹국에서의 남녀각차를 비교하면 한국 여성고용비율인 56.3%라고 하는 수준은 평균한 약69.0%에도 크게 모자라다. OECD가명국가 안에서는 한국보다 낮은 여성고용수준인 국가는 그리스, 아일란드, 이태리, 스페인밖에 없다.
한국 여성고용비율은 역시 아직 세계적으로도 낮은 수준이며 여성 노동공급은 그 사회의 의식구조, 사회구조, 그리고 산업구조 자체를 복합적으로 반영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기 때문에 한국사회에 구조적인 개혁이 필요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2. 성별 직업(직무)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