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의 연구사와 변천사

 1  교육과정의 연구사와 변천사-1
 2  교육과정의 연구사와 변천사-2
 3  교육과정의 연구사와 변천사-3
 4  교육과정의 연구사와 변천사-4
 5  교육과정의 연구사와 변천사-5
 6  교육과정의 연구사와 변천사-6
 7  교육과정의 연구사와 변천사-7
 8  교육과정의 연구사와 변천사-8
 9  교육과정의 연구사와 변천사-9
 10  교육과정의 연구사와 변천사-10
 11  교육과정의 연구사와 변천사-11
 12  교육과정의 연구사와 변천사-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과정의 연구사와 변천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교육과정의 연구사와 변천사
목차
1. 머리말
2. 연도별 한국어교육 평가 관련 논저 목록
3. 유형별 고찰
3. 1 한국어교육 평가 일반
3. 2 숙달도 평가와 한국어능력시험
3. 3 성취도 평가와 배치 평가
3. 4 영역별 평가
3. 5 외국의 한국어 평가
3. 6 기타 평가
4. 맺음말
교육과정의 연구사와 변천사
1. 머리말
1959년에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에서 선교사들을 대상으로 한국어교육을 시작하여 2005년 현재 50년 가까운 역사를 기록하게 된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다양한 주제로 한국어교육 50년을 정리한다는 것은 매우 뜻 깊은 일이다. 한국어교육기관의 한국어 교육과정의 변천을 살펴본다. 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를 위해서는 ‘교육과정(cuiculum)’의 개념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교육과정이란 ‘교육을 주도하는 기관에서 그 기관의 목표에 따라 체계적으로 개발하여 조직한 교육내용 및 활동’에 관한 계획이나 프로그램을 일컫는다. 한국어 프로그램이 하나의 한국어 교육과정이다. 한국어 교육과정은 교육기관에서 정하고 있는 목표에 따라 혹은 학습자들의 요구에 따라 교육과정에 담고자 하는 내용이 달라진다.
2.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사
2.1 한국어교육 연구 영역 및 동향
2.1.1 한국어교육 연구 영역
10개의 주제 영역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한국어를 비롯한 한국어교육 일반에 관한 논문들이다. 두 번째는 한국어교육에서 다루어지는 교육내용과 관련되는 연구들인데, 문법, 어휘, 화용, 발음 및 억양, 문학, 한자, 문화 등 실제 한국어교육에서 가르치는 내용 중심으로 분류 한 영역이다. 세 번째는 교수법을 비롯한 기능별 교수(teaching), 학습(learning)에 관련된 주제들을 포함하는 한국어 교수 학습(teaching&learning) 영역이다. 네 번째는 한국어 교육과정에 관련되는 연구물들이다. 다섯 번째는 다양한 학습자들의 음운론적, 문법적 오류를 분석한 연구들과 이 오류분석의 자료를 활용한 교재구성과 교수법적 적용을 다룬 연구들이다. 여섯 번째는 한국어 능력 평가영역인데 한국어 능력 평가 기준, 범주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들을 중심으로 언어능력평가 일반에 관련된 연구들이 여기에 속한다. 일곱 번째는 한국어 교재 관련 논문들을 포함하고 있는 주제영역이다. 여덟 번째는 앞으로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주력해야 할 하위분야 중의 하나인 웹기반 인터넷, 컴퓨터 활용 교육에 관련된 연구들이 포함된다. 아홉 번째는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말뭉치 자료와 이를 기초로 한 사전개발에 관련된 연구들이 속한다.
2.1.2 한국어 수업 설계에 관한 연구
1998학년도 이화여자대학교 이연경의 한국어 수업 설계에 관한 연구에는 한국어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가 어떤 분야에서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를 말한다. 내용별로 보면 한국어교재에 대한 논의가 다른 논의에 비해 많고 교수법과 발음지도 방법, 듣기 지도, 문화 교육, 평가 방법, 문법(조사나 문형)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가 있다. 그리고 미국, 일본, 동구권 국가 등을 비롯한 해외에서의 한국어 교육현황과 문제점을 다룬 논의가 있다.
먼저 한국어 교재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에 대한 개선책을 논의한 연구로 고영근(1974), 장석진(1974), 김경식(1986), 유기환(1986), 구장희(1991), 김영기(1991), 백봉자(1991), 이정노(1991), 김정숙(1992) 등이다. 이들 연구에서는 대체로 현재 발간된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거나 실제 사용해 본 경험에 기초하여 해당 교재에 발음 규칙이나 문법에 관한 설명이 부족하다는 점과 어휘나 문항에 있어서 난이도가 고려되지 않은 점, 문장이나 대화의 표현이 진부한 점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어 교재와 관련된 논의로 이영식(1990)의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에 ‘기능 교수요목’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해 언어 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문법이나 상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한국어 교재와 기능을 중심으로 구성된 영어 교재를 비교하여 논의를 전개하고 기능을 중심으로 한 교재의 필요성을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