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 동아시아 삼국의 불교적세계관 불교의 수용과정을 중심으로

 1  인문어학 동아시아 삼국의 불교적세계관 불교의 수용과정을 중심으로-1
 2  인문어학 동아시아 삼국의 불교적세계관 불교의 수용과정을 중심으로-2
 3  인문어학 동아시아 삼국의 불교적세계관 불교의 수용과정을 중심으로-3
 4  인문어학 동아시아 삼국의 불교적세계관 불교의 수용과정을 중심으로-4
 5  인문어학 동아시아 삼국의 불교적세계관 불교의 수용과정을 중심으로-5
 6  인문어학 동아시아 삼국의 불교적세계관 불교의 수용과정을 중심으로-6
 7  인문어학 동아시아 삼국의 불교적세계관 불교의 수용과정을 중심으로-7
 8  인문어학 동아시아 삼국의 불교적세계관 불교의 수용과정을 중심으로-8
 9  인문어학 동아시아 삼국의 불교적세계관 불교의 수용과정을 중심으로-9
 10  인문어학 동아시아 삼국의 불교적세계관 불교의 수용과정을 중심으로-10
 11  인문어학 동아시아 삼국의 불교적세계관 불교의 수용과정을 중심으로-11
 12  인문어학 동아시아 삼국의 불교적세계관 불교의 수용과정을 중심으로-12
 13  인문어학 동아시아 삼국의 불교적세계관 불교의 수용과정을 중심으로-13
 14  인문어학 동아시아 삼국의 불교적세계관 불교의 수용과정을 중심으로-14
 15  인문어학 동아시아 삼국의 불교적세계관 불교의 수용과정을 중심으로-15
 16  인문어학 동아시아 삼국의 불교적세계관 불교의 수용과정을 중심으로-16
 17  인문어학 동아시아 삼국의 불교적세계관 불교의 수용과정을 중심으로-17
 18  인문어학 동아시아 삼국의 불교적세계관 불교의 수용과정을 중심으로-18
 19  인문어학 동아시아 삼국의 불교적세계관 불교의 수용과정을 중심으로-19
 20  인문어학 동아시아 삼국의 불교적세계관 불교의 수용과정을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어학 동아시아 삼국의 불교적세계관 불교의 수용과정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동아시아 삼국의 불교적세계관
-불교의 수용과정을 중심으로-
◎ 개 요 ◎
1. 머리말
2. 1) 중국 불교의 발전과정
- 중국의 외래 종교 불교(佛敎)
- 불교의 전래
- 중국의 전통
- 불교의 장점과 단점
- 다툼과 화해
- 육조(六朝) 시대의 불교
- 수와 당의 불교
- 송, 명, 청에 이르기까지
- 현대 중국 종교의 현황
2) 한국 불교의 발전과정
- 삼국의 불교수용
- 통일신라의 불교발전
- 고려이후의 불교
3) 일본 불교의 발전과정
- 불교의 전래
- 일본의 전통
- 소가씨(蘇我氏)와 모노노베씨(物部氏)의 다툼
- 나라시대의 불교
- 헤이안시대~ 가마쿠라시대의 신불교의 등장
3. 한중일 불교의 상호관계
- 중국의 불교 수용성격(공존 共存)
- 한국의 불교 수용성격(정통성 正統性)
- 일본의 불교 수용성격 (습함 習合)
4. 동아시아 삼국 불교의 고찰
5. 맺음말
◎참고문헌◎
1. 머리말
동 서간의 문화 교류는 여러 세기 동안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른바 ‘비단길’로 불리는 중앙아시아 육로를 통한 고대에서 중세에 이르는 문물의 전파는 동양과 서양 양쪽에 상당한 문화적 변모를 가져 다 주었다. 특히 불교는 본래 동아시아와 서아시아 사람들을 문화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중요한 고리 역할을 했던 것이 사실이다.
불교(佛敎)란 불(佛: but not, Buddha 란 “알다”,“깨달다”의 뜻을 가지는 어근 budh의 과거 수동분사로서 “안 사람”,“깨달은 사람”의 뜻이다)
불교[佛敎, Buddhism]:석가모니(釋迦牟尼)를 교조로 삼고 그가 설(說)한 교법(敎法)을 종지(宗旨)로 하는 종교.
깨달음의 가르침이다. 깨달음이란 어디까지나 자각, 즉 스스로 깨달음의 체계이기 때문에 불교의 특징은 교주가 없다는 것이다. 불교는 깨달음(悟)에 관한 학문이며, 중생으로 하여금 ‘견성오도’(見性悟道) 자기 본래의 천성을 깨닫고 번뇌에서 해탈하여 불계에 들어갈 수 있는것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종교이다. 불교는 여러 종파들이 분분했지만, 모두 ‘깨달음’을 중시했다.
불교는 기원전 5세기경 인도의 동북부에 있던 한 왕국의 왕자로 태어난 석가모니의 가르침에서 기원하다. 이점을 특정한 한 개인의 가르침으로서의 기독교나 힌두교와 성립 자체가 다른 것이다. 석가모니의 가르침은 인도보다는 동 남북 아시아 지역에서 뿌리를 내려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다. 이런 과정 속에서 불교는 그 지역의 모든 문화적 측면을 반영하게 되었다.
중국(中國)한국(韓國)일본(日本) 동아시아 삼국의 공통점은 이루 다 말할 수 없이 많다. 그 중에 빼 놓을 수 없는 공통점 중 하나가 바로 불교의 존재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불교는 천년이 넘는 세월 동안 각국의 유명 문화유산을 남길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했으며, 사회 전반에 걸쳐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삼국 중 어느 나라를 가더라도 형태를 조금 달리하더라도 꼭 존재하는 것이 절(寺)이며 이것이 오랜 세월 각국의 국민들에게 알게 모르게 많은 영향을 미친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이 불교라는 것은 삼국에게 있어서는 이국(異國) 종교임에 틀림없었다. 때문에 불교를 받아들이는데 있어서 마치 사람에게 장기를 이식할 때 염려하는 거부반응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다. 중국의 경우 불교란 이국의 종교가 중국인 특유의 중화사상(中華思想)과 만나면서 효과적인 돌파구를 생각해 내지 않으면 안되었을 것이다. 신라의 경우에서는 이차돈의 순교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거부 반응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일본도 소가씨(蘇我氏)와 모노노베씨(物部氏)와의 불교 수용을 핵심으로한 알력다툼에서 거부 반응의 존재를 발견할 수 있다.
불교가 이국종교임을 전재로 하여 중국(中國)한국(韓國)일본(日本) 동아시아 삼국에 불교가 전래되는 과정과 그것을 받아들이는 삼국의 모습을 살펴보겠다. 그리고 이 과정을 바탕으로 하여 삼국이 불교에 대처하는 차이점 및 공통점을 알아 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