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과학 흥부전 작품 분석

 1  인문과학 흥부전 작품 분석-1
 2  인문과학 흥부전 작품 분석-2
 3  인문과학 흥부전 작품 분석-3
 4  인문과학 흥부전 작품 분석-4
 5  인문과학 흥부전 작품 분석-5
 6  인문과학 흥부전 작품 분석-6
 7  인문과학 흥부전 작품 분석-7
 8  인문과학 흥부전 작품 분석-8
 9  인문과학 흥부전 작품 분석-9
 10  인문과학 흥부전 작품 분석-10
 11  인문과학 흥부전 작품 분석-11
 12  인문과학 흥부전 작품 분석-12
 13  인문과학 흥부전 작품 분석-13
 14  인문과학 흥부전 작품 분석-14
 15  인문과학 흥부전 작품 분석-15
 16  인문과학 흥부전 작품 분석-16
 17  인문과학 흥부전 작품 분석-17
 18  인문과학 흥부전 작품 분석-18
 19  인문과학 흥부전 작품 분석-19
 20  인문과학 흥부전 작품 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과학 흥부전 작품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흥부전》 작품 분석
Ⅰ.서론 ‥‥‥‥‥‥‥‥‥‥‥‥‥‥‥‥‥ 2
Ⅱ.본론
1.자료 양상 ‥‥‥‥‥‥‥‥‥‥‥‥‥‥ 3
2.판소리계 소설 ‥‥‥‥‥‥‥‥‥‥‥‥ 7
3.근원 설화 ‥‥‥‥‥‥‥‥‥‥‥‥‥‥ 10
4.줄거리 ‥‥‥‥‥‥‥‥‥‥‥‥‥‥‥ 13
5.인물 ‥‥‥‥‥‥‥‥‥‥‥‥‥‥‥‥ 14
6.사상 ‥‥‥‥‥‥‥‥‥‥‥‥‥‥‥‥ 16
7.사회적 배경 ‥‥‥‥‥‥‥‥‥‥‥‥‥ 17
8.주제 ‥‥‥‥‥‥‥‥‥‥‥‥‥‥‥‥ 18
9.문학사적 의의 ‥‥‥‥‥‥‥‥‥‥‥‥ 20
Ⅲ.결론 ‥‥‥‥‥‥‥‥‥‥‥‥‥‥‥‥ 21
Ⅰ. 서론
은 조선후기의 대표적 판소리계 소설로서 당시 서민들에게 사랑받은 작품이다. 이 작품은 , , , , , , 등의 이름으로 전해진다. 은 , 등과 더불어 판소리 12마당의 대표작 가운데 하나로 판소리계 소설의 특징인 적층성(積層性) 집단성(集團性)을 뚜렷이 지닌 작품이다.
은 현재까지 소설과 판소리로 전승이 이뤄지면서 이본에 따라 작품의 성격이 상당히 큰 작품이다. 대체로 소설본일 경우는 흥부의 가난과 착함, 형제간의 우애가 강조되고 논리적인데 비하여, 판소리는 제비 노정기와 박타는 대목이 강조되는 등 오락적인 성격이 크다. 따라서 의 성격을 간단히 정리하기는 그렇게 쉽지 않고, 해석 또한 참으로 다양하여 종잡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의 주제 해석이나 인물평가가 각기 다른 것은 연구자가 연구대상으로 삼은 대본이 다른 데도 기인하고, 또 접근하기가 만만치 않은 작품의 구조에도 기인할 것이다. 이러한 점들 이외에도 연구자의 접근 시각 또는 연구방법도 문제가 된다. 조동일은 흥부의 인간상에서 비롯되는 표면적 주제와 놀부의 인간상에서 알 수 있는 이면적 주제를 설명하고, 참주제는 후자라 하여 결국 양반인 흥부를 부정하고, 천민인 놀부를 긍정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한다. 이에 대해 임형택은 모순된 현실을 문제 삼으면서 흥부를 긍정하고 놀부를 부정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한다. 한편 이상택은 작품에서 중요한 것은 저들의 귀속신분이 아니라 획득신분임을 지적하여 이들의 의견에 이의를 제기한다. 그러면서 “흥부전의 역사적 함의는 일차적으로는 반도덕적인 수탈계층과 도덕적인 피탈계층 사이의 갈등에서 찾아야 한다”고 하며, 결국 놀부를 부정하고 흥부를 긍정하는 입장을 취했다.
작품 속의 흥부는 획득신분상으로는 하층민에 속하지만, 귀속신분상으로는 상층민에 속한다. 그러므로 흥부는 때로는 하층민을 표상하고, 또 때로는 상층민을 표상하고 있는 양면성을 지닌 인물이다. 이는 놀부 역시 마찬가지다.
따라서 이 작품이 기본적으로 판소리계 소설로서 민중 해학적 세계관에 기반을 둔 소설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고 접근할 때, 작품 속의 인물이나 사건에 관해 한 목소리로만 말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또한 경판본 과 신재효의 을 주대본으로 삼고 연구했음을 밝힌다. 그 이유는 첫째 이 두 이본은 가장 오래된 이본으로서 다른 이본들보다 가치가 크고, 둘째 경판본은 방각본으로 간행되어 널리 보급된 중요한 이본이며, 신재효본은 작가가 확실한 이본으로서 여러 면에서 우수한 작품이기 때문이다.
근원설화 연구는 최남선이 를 거론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김태준과 손진태도 이를 근원설화를 인정한 바 있으며 그 후의 연구자들은 근원설화가 될만한 것들을 추가하는 방향으로 논의를 이어갔다.
본고에서는 그동안의 연구 성과와 고찰 등을 토대로 에서 중요시 되어온 판소리계 소설로서의 특징과 근원설화를 중심으로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작품명은 을 대표 제명으로 하였다. , 등의 이명이 있기도 하지만 이것이 가장 보편적인 제명이라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성현애, 「흥부전연구 - 경판 25장을 중심으로」 판소리학회, Vol.4 1993,
Ⅱ. 본론
1. 〈흥부전(興夫傳)〉의 자료양상
1) 흥부전의 이본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