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교육론] 사회과통합교육에 대한 쟁점

 1  [교과교육론] 사회과통합교육에 대한 쟁점-1
 2  [교과교육론] 사회과통합교육에 대한 쟁점-2
 3  [교과교육론] 사회과통합교육에 대한 쟁점-3
 4  [교과교육론] 사회과통합교육에 대한 쟁점-4
 5  [교과교육론] 사회과통합교육에 대한 쟁점-5
 6  [교과교육론] 사회과통합교육에 대한 쟁점-6
 7  [교과교육론] 사회과통합교육에 대한 쟁점-7
 8  [교과교육론] 사회과통합교육에 대한 쟁점-8
 9  [교과교육론] 사회과통합교육에 대한 쟁점-9
 10  [교과교육론] 사회과통합교육에 대한 쟁점-10
 11  [교과교육론] 사회과통합교육에 대한 쟁점-11
 12  [교과교육론] 사회과통합교육에 대한 쟁점-12
 13  [교과교육론] 사회과통합교육에 대한 쟁점-13
 14  [교과교육론] 사회과통합교육에 대한 쟁점-14
 15  [교과교육론] 사회과통합교육에 대한 쟁점-15
 16  [교과교육론] 사회과통합교육에 대한 쟁점-16
 17  [교과교육론] 사회과통합교육에 대한 쟁점-17
 18  [교과교육론] 사회과통합교육에 대한 쟁점-18
 19  [교과교육론] 사회과통합교육에 대한 쟁점-19
 20  [교과교육론] 사회과통합교육에 대한 쟁점-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과교육론] 사회과통합교육에 대한 쟁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1. 사회교과의 구조와 성격: 특수성
2. 연구문제와 목적
3. 연구방법 및 연구의 제한점

Ⅱ. 우리나라의 통합교육에 대한 논의 및 최근 동향 ----------4
1. 사회과 통합에 대한 사적 고찰
2. 최근의 통합에 대한 논의
3. 최근 연구 동향 : 1995~2005년까지

Ⅲ. 사회과 통합과정의 실태와 문제점 ------------------9
1. 현행 중학교 사회과 통합교육과정의 실태
2. 사회과 통합교육과정의 문제점

Ⅳ. 외국의 사회과 교육과정 ----------------------12
1. 미국의 사회과 교육과정
2. 일본의 사회과 교육과정
3. 싱가포르의 사회과 교육과정
4. 독립교과로 운영하는 국가 - 영국의 사회과 교육과정

Ⅴ. 외국의 사회과 교육과정 비교분석을 통한 시사점 ---------42
1. 미국, 일본의 사회과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통한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
2. 영국의 사회과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통한 시사점

Ⅵ. 효과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제언 ------------------46
1. 통합 수준의 계열적 관리 체계를 수립
2. 중앙 규제의 완화 및 적절한 교과서 개발
3. 통합교과 지도를 위한 교사양성
4. 평가 방안의 개선


참고문헌 ---------------------------------48
본문내용
1. 사회교과의 구조와 성격: 특수성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서에서는 사회과의 성격에 관하여, “사회과는 사회 과학을 비롯한 광범위한 분야의 자원으로부터 학습 요소를 선정한다. 즉, 사회과는 지리학, 역사학,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문화 인류학, 심리학, 철학 등에서 사회과 교육에 필요한 지식과 가치, 학습 방법과 절차, 학습 자료 등에 관한 요소를 선정하여 통합적으로 조직한다.”라고 명시함으로서 광역교과로서의 특수성을 언급하고 있다. 사회과는 다른 교과에 비하여 그 구조 상 특수성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사회과의 성격도 이러한 구조적인 측면으로 설명될 수 있다.
여러 다른 학문들이 들어와 있는 사회과의 독특한 구조는, 사회과를 거시적인 차원과 미시적인 차원으로 나누어서 접근하게 한다. 거시적인 차원이란, 각 학문 간의 관계를 의미하는 말로서 하나의 사회과 안에 경제학, 지리학, 역사학 등이 이루고 있는 구조를 말한다. 미시적인 차원이란 단원이나 수업 수준의 내용구조를 의미한다. 광역교과의 성격을 갖지 않은 다른 교과들은 거시적인 차원 없이 미시적인 차원만 존재한다고 이해하면 쉽겠다.
광역교과로서의 특수성에 덧붙여 사회과는 학습자의 실제 생활 영역에 관한 교과라는 또 다른 특수성을 갖는다. 단적인 예로, 수학이나 과학과 같은 기초 이론적 성격을 갖는 교과와 비교해본다면 이러한 사회과의 특수성은 확연히 드러난다. 학습자가 일상에서 항상 접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나아가 제도교육이 끝난 그 이후부터 학습한 교과내용이 학습자의 ‘생활’이 된다는 점에서, 시사성, 지역성, 실제성, 실용성, 그리고 교과의 정의적인 측면이 강조되어야 하는 필요가 도출된다. 내용의 위와 같은 특성이 사회과교과교육 연구에 주는 의미는, 사회과가 학문적, 지식적 측면에 비중을 두는 만큼, 가치․태도 영역에 관한 부분을 소홀히 할 수 없다는 주장이 다른 교과에 비해서 강하게 제기될 수 있다는 것이다. 교육과정 해설서에서도 “인권존중, 자유, 평등, 사회 정의, 참여, 책임감, 의무, 협동, 충성심 등 사회생활 각 분야의 당위적 가치와 가치 갈등 요소가 포함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참고문헌
이진석(1997). 사회과 통합 교육과정의 국내외 동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제25 권
이명희(2001). 영국의 사회과 교육. 사회과 교육학 연구 통권 제40호.
이명희(2001). 일본의 사회과 교육과정. 사회과 교육학 연구 통권 제40호.
이종원(2001). 싱가포르의 사회과 교육. 사회과 교육학 연구 통권 제40호.
박선미. 지리교육과정의 국제 비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박선미(2004). 통합 교육과정과 학문 중심 교육과정의 화해 가능성 탐색: 중학교 사회과 통 합 방향에 관한 교사 설문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제12권 제2호.
손명철(1999). 지리 환경교육: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통합 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하 나의 대안. 지리 환경 교육 제7권 제1호.
박은자․전숙자(2004).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통합적 내용구성 연 구. 시민교육연구 제36권 제1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0). 사회과교육과정 기초연구 전문가초청세미나 자료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