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교육과] 강릉지역의 매체교육 현황

 1  [국어교육과] 강릉지역의 매체교육 현황-1
 2  [국어교육과] 강릉지역의 매체교육 현황-2
 3  [국어교육과] 강릉지역의 매체교육 현황-3
 4  [국어교육과] 강릉지역의 매체교육 현황-4
 5  [국어교육과] 강릉지역의 매체교육 현황-5
 6  [국어교육과] 강릉지역의 매체교육 현황-6
 7  [국어교육과] 강릉지역의 매체교육 현황-7
 8  [국어교육과] 강릉지역의 매체교육 현황-8
 9  [국어교육과] 강릉지역의 매체교육 현황-9
 10  [국어교육과] 강릉지역의 매체교육 현황-10
 11  [국어교육과] 강릉지역의 매체교육 현황-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교육과] 강릉지역의 매체교육 현황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취지와 목적

Ⅱ. 학생 설문조사

Ⅲ. 학생 면담

Ⅳ. 교사 면담

Ⅴ. 맺는말
본문내용
Ⅰ. 취지와 목적 [홍완선(2003), 국어교사들이 펼치는 매체교육, 한국언론학회 미디어 교육위원회에서 개최한 제2차 미디어교육 국내 심포시엄내용 중 제 4주제] 참고

2000년 전까지 매체를 활용한 수업이 아닌, 매체에 대한 국어수업 혹은 매체를 통한 국어수업은 너무나 낯선 개념이었고, 대학 강단에서도 소수의 연구자가 조심스럽게 제안을 시작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언어 환경의 변화와 문화인식의 변화, 통일의 지향과 교육의 책무를 생각할 때 매체언어는 국어 교육의 중요한 대상이라 할 수 있다.
또 매체언어와 국어교육의 거리를 좁히기 위해서 매체언어가 언어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을 것이라는 점과 학생들이 살아가는 세계와 문화적 환경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 국어교육의 목적이라고 보는 문화 분석의 관점에서도 매체언어는 국어교육의 중요한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97년부터 실시된 교육부의 교단선진화사업으로 교실에 컴퓨터, 비디오 기기, 대형텔레비전이 들어오게 되면서 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이 진행될 수 있는 외적 조건이 만들어지면서 매체 교육은 시작되었다. 하지만 초기의 매체교육이란 매체를 활용한 교육 정도에 지나지 않았다. 그래서 매체는 수업활동을 이끌어내기 위해 서두에 제시하는 자료이거나 매체텍스트를 흥미를 끌기 위한, 본문을 보조할 수 있는 제시자료로써 그치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2000년 이후 매체를 도구의 하나로 받아들이는 매체활용교육의 좁은 테두리에서 벗어나 매체 혹은 매체언어를 교육의 대상(매체에 대한 이해와 의미의 공유로서 제작, 생산, 표현에 이르게 하는)으로 하는 매체교육이 국어교육의 한 영역으로 어느 정도 뿌리를 내리기 시작한다.
매체교육에서 매체는 그 자체가 교육의 대상이 된다. 다양한 매체들이 존재하는 오늘날에는 ‘읽기’라는 용어가 문자로 기록된 텍스트에 국한되어 사용되지는 않는다. 텔레비전 읽기나 영화 읽기 같은 용어들은 이제 일반화되었으며, 나아가 연극, 음악, 건축, 무용, 광고, 신문과 같이 의미를 소통시키는 모든 매체들이 ‘읽기’의 대상이 되고 있다. 물론 이렇게 ‘읽기’라는 행위 범주를 쓸 수 있는 까닭은 그것이 언어적 질서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른 방식이나 형태의 언어로 옮겨질 수 있고, 그것의 ‘이해’라는 것이 근본적으로 언어적 사고에 기반하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조건에서 매체언어교육은 매체교육으로서의 이론적, 실천적 기반을 갖는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교육현황반은 강릉 지역의 중, 고등학교에서 매체 교육이 어떤 수준에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