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우리글] 작가소개, 작품의 시대상, 작품 설명, 감상

 1  [우리말 우리글] 작가소개, 작품의 시대상, 작품 설명, 감상-1
 2  [우리말 우리글] 작가소개, 작품의 시대상, 작품 설명, 감상-2
 3  [우리말 우리글] 작가소개, 작품의 시대상, 작품 설명, 감상-3
 4  [우리말 우리글] 작가소개, 작품의 시대상, 작품 설명, 감상-4
 5  [우리말 우리글] 작가소개, 작품의 시대상, 작품 설명, 감상-5
 6  [우리말 우리글] 작가소개, 작품의 시대상, 작품 설명, 감상-6
 7  [우리말 우리글] 작가소개, 작품의 시대상, 작품 설명, 감상-7
 8  [우리말 우리글] 작가소개, 작품의 시대상, 작품 설명, 감상-8
 9  [우리말 우리글] 작가소개, 작품의 시대상, 작품 설명, 감상-9
 10  [우리말 우리글] 작가소개, 작품의 시대상, 작품 설명, 감상-10
 11  [우리말 우리글] 작가소개, 작품의 시대상, 작품 설명, 감상-11
 12  [우리말 우리글] 작가소개, 작품의 시대상, 작품 설명, 감상-12
 13  [우리말 우리글] 작가소개, 작품의 시대상, 작품 설명, 감상-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레포트 > 독후감
  • 2015.03.29
  • 13페이지 / doc
  • 1,500원
  • 45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우리말 우리글] 작가소개, 작품의 시대상, 작품 설명, 감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우리말 우리글
◎목차
Ⅰ.당신의 방 -이승훈
작가소개
작품의 시대상
작품 설명
감상
Ⅱ.우리가 물이 되어-강은교
작가소개
작품의 시대상
작품 설명
감상
Ⅲ. 엄마 걱정-기형도
작가소개
작가의 시대상과 주변환경
작품 설명
감상
Ⅳ. 저문 강에 삽을 씻고-정희성
작가소개
작품 설명
감상
Ⅴ.껍데기는 가라-신동엽
작가소개
작품과 시대상
작품설명
감상
Ⅵ.참고 문헌
Ⅰ.당신의 방
당신의 방
이승훈
당신의 방엔
천개의 의자와
천개의 들판과
천개의 벼락과 기쁨과
천개의 태양이 있습니다
당신의 방엘 가려면
바람을 타고
가야 합니다
나는 죽을 때까지
아마 당신의 방엔
갈 수 없을 것 같습니다
나는 바람을 타고
날아가는 새는
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작가소개
1942년 강원도 춘천에서 출생했다. 한양대 국문과 및 연세대 대학원 국문과를 졸었했으며 1963년 으로 등단했다. 현대문학상·한국시협상을 수상했다. 시집으로 , , , , , , , , , 등이 있다. 시론집으로는 , , , , , , , , , 등이 있다. 산문집으로는 , , , 등이 있다. 편저로는 등이 있으며 현재 한양대 국문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작품의 시대상
이 작품은 무크지 운동이 눈에 띄게 확산되기 시작하던 83년 경에 발표된 작품이다. 이른바 민중시의 시기였던 83년대에서 이승훈의 시에게 상당히 영향을 줄 수 있었다. 이승훈의 시는 민중시와는 대비되는 시였기 때문이다. 사실 이승훈의 시는 시대상 보다도 그의 가정 사에서 더욱 영향을 받았을 지도 모른다. 그는 강원도 춘천에서 출생하여 맑은 자연 속에서 자랐지만 그의 가정환경은 그다지 밝지 못했다. 그의 아버지는 의사 였지만 항상 정신질환에 시달리고 있었다. 때문에 그는 그 말 못할 고민과 고독을 시로 풀고 시로 표현했다. 이러한 가정환경 때문에 그의 시가 자유롭고 이상적인 냄새를 풍기는 지도 모르겠다.
작품설명
『당신의 방』에서 전체적으로 드러나는 것은 ‘너’에 대한 인식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이승훈의 초기시는 거의 대부분이 인식주체로서의 ‘나’에 대한 관심에 일관된 것이었다. 그러나 이승훈은 이 시집을 간행하면서 ‘나’를 벗어나 탈주관성의 문제, 혹은 자의식에서 벗어나는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이는 인식주체로서의 ‘나’가 있다는 것은 결국 지상에 ‘나’가 살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하지만 인식대상으로서의 ‘너’가 있다는 것을 아는 것역시 ‘나’가 살아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나’가 ‘너’앞에서 사라지는 경우에도 ‘너’는 그대로 있다. 이는 인식주체로서의 ‘나’가 있든 없든 인식주체로서의 ‘너’는 있다는 것이다. 이는 인식주체로서의 ‘나’는 그다지 중요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기 때문에 이승훈은 이 다섯 번째 시집에서부터 ‘나’를 죽이고 ‘너’를 보는 일에 관심을 기울였다. 그리고 그 방식의 하나로 시에 다성적 담론이라는 방법을 도입했다. 다성적 담론이란 이야기 속에 둘 이 상의 목소리가 나올 뿐더러 그 목소리들이 대화적 관계가 있는 것이다. 이때 시속에서 등장하는 인물들은 작가의 꼭두각시가 아니라 독립적인 실체로 드러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는 독백의 양식으로 시가 전개되는 것이 아니라 대화의 양식으로 시가 전개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대화의 양식은 시속에 하나의 상황을 설정하고 그 상황 속에서 그리고 이른바 대화의 양식으로 활용할 때 우리는 전통적인 시 장르의 해체를 경험하게 된다.
개인비평
개인적으로 봤을 때, 이 시는 이상을 동경하고 또한 이상을 두려워 하며 이상에게 다가갈 수 없는 안타까움을 표현한 듯 하다. 시의 전반부가 `당신의 방의 모습을 그리고 있으면서 그곳에 이르고 싶다는 염원을 암시하고 있다면, 후반부는 `날개 대신에 `자의식을 가지고 있는 존재론적인 한계가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순환적인 인식은 인간존재의 비극성을 떠올리게 한다. 어차피 죽게 될 운명의 인간은 그럼에도 언제나 삶에서 영원한 가치를 추구해 왔고 또 추구할 것이기 때문이다.
Ⅱ.우리가 물이 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