닥터 이라부를 보고나서

 1  닥터 이라부를 보고나서-1
 2  닥터 이라부를 보고나서-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닥터 이라부를 보고나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관극평
는 오쿠다 히데오의 소설을 원작으로 각색한 연극이다. 이미 몇 년 전에 원작인 ‘공중그네’를 재미있게 읽은 터라 관람 전부터 원작을 어떻게 각색했을지 잔뜩 기대했다. 텍스트인 소설의 내용을 시각적이고 현장성이 있는 연극이 어떤 방식으로 같게, 또 다르게 표현하는가를 파악하면서 연극만이 갖는 매력을 느끼는 것은 각색 연극을 볼 때에 빼놓을 수 없는 재미이다. 연극은 원작 소설의 재현에 충실하였기 때문에 유쾌하고 즐거웠지만 소설에 비해 빼어난 점은 별로 없었다. 소설을 읽지 않은 사람도 병원, 의사, 강박증 환자의 등장이라는 설정만으로도 진행 방향을 예측할 수 있는 쉬운 연극이었다.
연극은 각박한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을 모두 정신병을 앓는 환자로 규정한다. 연극 시작에서부터 관객을 환자로 대하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이다. 병든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들은 모두 병들어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대인들을 대표해서 3명의 강박증환자들을 의사 이라부와 간호사 마유미가 치료한다는 것이 연극의 핵심적인 줄거리다. 3명의 강박증환자들은 각각 선단고포증, 자의식과잉, 음경강직증을 앓고 있다. 연극은 이 환자들이 자신의 고민을 상담하러 병원에 오면서 전개된다. 닥터 이라부와 간호사인 마유미가 이들을 치유하면서 벌어진느 이야기가 총 3편의 에피소드로 진행된다.
강박증을 가진 세 인물이 정신과 의사 이라부의 병원에 치료를 받기 위해 오게 되는데 이라부가 그들을 치료하는 방식이 독특하다. 일반적으로 정신과의가 행하는 정상적인 치료법이 아니라 충격요법이라는 독특하고 기괴하면서도 유쾌한 치료법을 선보인다. 이러한 치유의 과정은 만화처럼 장난스럽고 유쾌하기 때문에 보는 내내 웃음이 터진다. 이러한 이라부의 치료방식을 통해서 세 명의 환자들이 자신의 강박증에 대한 갈등을 해소한다는 것이 의 서사이다.
이상의 세 캐릭터가 치료되는 과정을 유쾌하게 지켜보면서 현대인들- 다시말해 이 세 캐릭터와 다를 것 없이 수많은 강박증에 젖어 있는 관객들 역시 이라부에게 치유 받는 듯한 경험을 하게 된다. 웃음이 보약이란 말이 있듯이, 팍팍하고 바쁘게 살아가는 일상 속에서 웃을 일 없이 살아가기 때문에 병든 것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에서 빼놓을 수 없는 특징은 관객의 참여라는 형식을 연극에 도입하였다는 것이다. 정통 연극과는 달리 관객과의 소통을 적극적으로 시도하였다. 관객을 아예 환자로 설정하고 관객도 닥터 이라부의 치료를 받는다는 가정 하에 극이 전개되고 또 관객들도 그런 설정에 흥미를 느껴 동참하였다. 극 초반에 관객들을 제 1병동, 제 2병동, 제 3병동, 중증병동의 환자들로 나누어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오디션 장면에서 심사위원이 관객석으로 들어와 연기를 하는 등 연극의 무대와 객석의 벽을 허물었다.
이 연극에서 무엇보다 신선했던 것은 무대와 오브제였다. 연극 는 짧은 시간동안에도 많은 장면이 연출되었다. 즉 장면을 전환하기 위해 무대 위 소품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무대가 좁다보니 장면 전환에 있어서 공간 활용이 쉽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나무로 된 벽들을 움직여서 연극 도중에 무대를 변경하거나, 자동차 음향 등을 통해 무대를 변경하는 등 소품의 활용이 돋보였다. 특히 오브제뿐만 아니라 배우의 대사를 통해서도 시공간의 변화를 표현하였다. 배우가 하루가 왜 이렇게 빠른지 모르겠어. 라고 말함으로써 관객에게 시간의 변화를 알려주었다. 이 밖에도 여러 소품을 통해 좁은 무대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는 편안한 재미를 선사하긴 하지만, 다소 재미를 위해 억지스러운 상황을 연출하였다는 생각이 들었다. 대사 하나하나에서 어떠한 페이소스가 담겨있다기보다는 그저 관객을 웃기기 위한 장면도 많았다. 원작 소설이 갖고 있는 병적 사회의 부산물인 현대인의 강박증과 그것을 치료하는 독특한 방식에 대해 깊이 있는 메시지 전달 방식에 대해서는 미흡했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