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번역 13장 정신분열증 생물심리학적 측면 Brendan A Maher and Patricia J

 1  원서번역 13장 정신분열증 생물심리학적 측면 Brendan A Maher and Patricia J-1
 2  원서번역 13장 정신분열증 생물심리학적 측면 Brendan A Maher and Patricia J-2
 3  원서번역 13장 정신분열증 생물심리학적 측면 Brendan A Maher and Patricia J-3
 4  원서번역 13장 정신분열증 생물심리학적 측면 Brendan A Maher and Patricia J-4
 5  원서번역 13장 정신분열증 생물심리학적 측면 Brendan A Maher and Patricia J-5
 6  원서번역 13장 정신분열증 생물심리학적 측면 Brendan A Maher and Patricia J-6
 7  원서번역 13장 정신분열증 생물심리학적 측면 Brendan A Maher and Patricia J-7
 8  원서번역 13장 정신분열증 생물심리학적 측면 Brendan A Maher and Patricia J-8
 9  원서번역 13장 정신분열증 생물심리학적 측면 Brendan A Maher and Patricia J-9
 10  원서번역 13장 정신분열증 생물심리학적 측면 Brendan A Maher and Patricia J-10
 11  원서번역 13장 정신분열증 생물심리학적 측면 Brendan A Maher and Patricia J-11
 12  원서번역 13장 정신분열증 생물심리학적 측면 Brendan A Maher and Patricia J-12
 13  원서번역 13장 정신분열증 생물심리학적 측면 Brendan A Maher and Patricia J-13
 14  원서번역 13장 정신분열증 생물심리학적 측면 Brendan A Maher and Patricia J-14
 15  원서번역 13장 정신분열증 생물심리학적 측면 Brendan A Maher and Patricia J-15
 16  원서번역 13장 정신분열증 생물심리학적 측면 Brendan A Maher and Patricia J-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레포트 > 독후감
  • 2015.03.29
  • 16페이지 / hwp
  • 1,800원
  • 54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원서번역 13장 정신분열증 생물심리학적 측면 Brendan A Maher and Patricia J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3장
정신분열증: 생물심리학적 측면
Brendan A. Maher and Patricia J. Deldin
개관
정신분열증에 관한 생물심리학적 연구는 가히 기념비적 업적이라 할 수 있겠다. 정신분열증에 관한 모든 설명을 하려면 책 한권을 써도 모자랄 정도이다. 그래서 우리는 이 장에서 현재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정신분열증 환자들의 심리 과정에 대한 생물학적 연구에 대해서만 다룰 것이다. 신경전달 물질 활동에 대한 약물치료 효과라든지 생물학적 변인에 대한 연구와 같이, 순수하게 생화학적 연구들만을 연구대상으로 삼지는 않을 것이고 그렇게 언급할 지면도 없다. 그러므로 이 장에서는 신경심리학과 생리심리학의 일반적인 영역에 대한 연구를 다루게 될 것이다.
1. 정신분열증 연구에서 방법론상의 일반문제들
General Methodological Issues in the Investigation of Schizophrenia
1.1. 이질성 heterogeneity
정신분열증은 이질적인 증상을 보이는 장애이다. “정신분열증”이라는 병명이 생긴 이래로 정신분열증의 이질성은 너무나 잘 알려진 사실이다. Bleuler의 고전적인 Dementia Praecox or the Group of Schizophrenias 가 1911년(영어판 1950년) 최초로 출간됨으로써, 정신분열증의 이질성이 더욱 명백하게 되었는데, 이 책에서 그는 몇 가지 공통적인 증상이나 공통적인 발병 요소를 가진 질병군 a group of diseases 으로 정신분열증을 설명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서 표집 되지 않은 정신분열증 환자집단과, 다른 정신병리 환자집단 혹은 통제 집단간의 차이를 입증하기보다는 오히려 정신 분열증 하위집단간에 이질성을 유발하는 기저 규칙들을 알아내는 것이 더욱 중요한 문제가 되어 버렸다. 정신분열증 하위집단간 차이를 유발하는 기저 규칙을 알아내기란 힘든 일인데, 겉으로 보기에 분명히 다른 이상 행동들(증상들)이 발병원인은 같은가하면, 표면상 유사한 증상들이 발병원인이 다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나타난 결과를 보고 소급해서 원인을 파악하는 일은 이질성을 받아들이는 정신병리학자에겐 늘 힘든 문제꺼리이다.
이질성에 대한 연구는 전통적으로 단일 진단명하에 있는 질병군에 대해서 이루어져 왔는데, 이 질병군 모델에 대해 다소 지나치리만큼 단순한 설명을 하자면 서로 독립적인 병인이 기본적으로 서로 다른 병리를 야기 시킨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점들은 서로 다른 생물학적 병리나 생물학과 환경에 의한 역할비율에서의 차이 때문에 일어날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 차이점들 때문에 바로 전반적인 임상장면에서 공통적으로 보여지고 있는 두드러진 요소들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러한 공통요소들common elements 때문에 환자들을 정신분열증이라는 하나의 단일 진단명으로 분류시킬 수 있게 된다.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이런 요소들은 부분적으로는 서로 다른 병리들에 의해 야기된 장애에 대해 흔히 일어나는 부차적이고 보상적인 반응으로써 일어나고, 또 일부는 서로 다른 병인 요소들이 중추 신경계 내에 어떤 공통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서로 다른 주요 병리를 야기 시켰기 때문에 일어날 수 있다.
1.1.1 병인론적 이질성 Etiological Heterogeneity
표면상 단순한 반응 기저에 있는 복잡한 체계에 대하여 우리는 이미 언급했었다. 이러한 복잡한 체계는 우리가 결함을 신경계적 접근으로 해결해보려고 하게 만든 이유이다. 이미 지적했듯이, 체계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다양한 종류의 손상을 입어 복잡한 체계 complex system가 적절히 작동하는데 실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과 결부시켜 생각해 봤을 때, 뇌는 관심있는 특정영역의 활동과 행동을 동일한 구조로 단순히 연결해 작동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사실인 것 같다. 즉 뇌기능 영역은 생애초기의 환경적인 입력정보input에 대해 반응하면서 발달할 수 있는데, 어떤 뇌 영역이 생애초기에 손상되면 다른 영역이 그 손상된 영역의 기능까지 떠맡을 수도 있다. 그리고 정상적인 뇌 발달에 있어서 남녀간 성차가 있으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뇌가 변화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정신분열증처럼 임상적으로 복잡한 장애를 잘 이해할 수 있는 신경 심리적 병리 모델 개발이 시급함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1.2. 결핍의 개념 The Concept of De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