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한국사] 한미안보동맹과 기지촌 정화운동

 1  [20세기한국사] 한미안보동맹과 기지촌 정화운동-1
 2  [20세기한국사] 한미안보동맹과 기지촌 정화운동-2
 3  [20세기한국사] 한미안보동맹과 기지촌 정화운동-3
 4  [20세기한국사] 한미안보동맹과 기지촌 정화운동-4
 5  [20세기한국사] 한미안보동맹과 기지촌 정화운동-5
 6  [20세기한국사] 한미안보동맹과 기지촌 정화운동-6
 7  [20세기한국사] 한미안보동맹과 기지촌 정화운동-7
 8  [20세기한국사] 한미안보동맹과 기지촌 정화운동-8
 9  [20세기한국사] 한미안보동맹과 기지촌 정화운동-9
 10  [20세기한국사] 한미안보동맹과 기지촌 정화운동-10
 11  [20세기한국사] 한미안보동맹과 기지촌 정화운동-11
 12  [20세기한국사] 한미안보동맹과 기지촌 정화운동-12
 13  [20세기한국사] 한미안보동맹과 기지촌 정화운동-13
 14  [20세기한국사] 한미안보동맹과 기지촌 정화운동-14
 15  [20세기한국사] 한미안보동맹과 기지촌 정화운동-15
 16  [20세기한국사] 한미안보동맹과 기지촌 정화운동-16
 17  [20세기한국사] 한미안보동맹과 기지촌 정화운동-17
 18  [20세기한국사] 한미안보동맹과 기지촌 정화운동-18
 19  [20세기한국사] 한미안보동맹과 기지촌 정화운동-19
 20  [20세기한국사] 한미안보동맹과 기지촌 정화운동-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20세기한국사] 한미안보동맹과 기지촌 정화운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머리말
Ⅰ. 주한미군의 주둔과 기지촌의 형성
1. 주한미군의 주둔
2. 기지촌의 형성
Ⅱ. 한미동맹관계와 기지촌 정화운동
1. 닉슨 독트린의 선포와 기지촌 정화운동의 배경
2. 기지촌 정화운동의 전개과정
Ⅲ. 기지촌 정화운동과 기지촌 여성
1. 정화운동 추진 세력의 목적
2. 정화운동으로 인한 기지촌 여성들의 예속 심화
맺음말

# 첨부. 열람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지촌’은 단순히 군기지 주변에 형성된 마을만을 가리키지 않는다. 기지촌은 한반도 내의 한국의 땅이지만 ‘미군에게 안전한 휴식과 오락을 제공한다’는 목적 하에 성매매를 기반으로 형성되어 한국과 미국 두 정부에 의해 운영되고 통제되는 공창지역이다. 김현선,「제주도 인권학술회의 발표문 : 주한미군과 여성인권」 2001 참조.
또한 기지촌은 양국의 권력 불균형을 배경으로 각종 미군 범죄가 발생하고 제대로 처리되지 못하는 지역이기도 하다.
기지촌과 군기지 주변의 성매매를 바라보는 관점은 미군 주둔의 당위성과 성매매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 따라 다양하다. 그러나 한국에서 미군 범죄를 비롯한 기지촌 문제를 이슈화하는 데 앞장서고 있는 민족운동진영에서는 기지촌을 한국과 미국의 권력 불균형이 첨예하게 드러나는 곳으로 보고, 이곳에서의 미군의 횡포를 미국의 한국에 대한 횡포로 연결짓는다. 그리하여 기지촌에서의 성매매를 국가 혹은 정부 간의 세력 불균형이 여성의 신체로 이전된 것으로, 즉 약소국의 성판매 여성의 신체가 지배와 통제를 받는 약소국인 것으로 표상한다. 캐서린 문, 정유진, 김은실, 「국가의 안보가 개인의 안보는 아니다 :미국의 군사주의와 기지촌 여성 座談」『당대비평』18, 2002년 봄.
특히 미군에 의한 기지촌 성판매 여성 살해는 미군이 우리나라를 지켜주러 온 것이 아님을 말해주는 사례로 가장 자주 이용된다.
그러나 기지촌에서 미군을 상대로 하는 성판매 여성들은 국적상 한국인이지만 ‘양공주’, ‘양색시’ 등의 경멸적 칭호를 받으며 한국 사회에서 천시되어 왔다. 평소에는 사회적으로 경멸되고 분리되어 있던 미군 상대 기지촌 성판매 여성들은 故 윤금이 씨 사건의 경우처럼 미군에 의해 살해당했을 때야 비로소 ‘한국인’으로 ‘우리의 누이’로 포섭되었던 것이다. 기지촌 여성이 한국인이 아니라 미군에게 살해당한 경우에만 문제를 제기하는 민족운동진영의 시각에 대해서는 ‘죽어야 사는 여성들’이라는 구호로 비판된 바 있다
참고문헌
김영호, 『한미동맹 50년과 대내안보 쟁점』,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03
김일영 · 조성렬, 『주한미군 : 역사, 쟁점, 전망』, 한울아카데미, 2003.
강석률, 「닉슨 독트린과 데탕트 그리고 한미동맹: 억제의 추구와 동맹국간의 갈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구종서, 「주한미군」, 『북한』통권36호 (1974. 12.)
김태서, 「주한미군철수와 북괴전략」 북한연구소 『북한』통권제65호
문화방송 시사제작국 편, 「(MBC 특별기획) 이제는 말할 수 있다; 제61회 섹스동맹과 기지촌 정화운동」, 문화방송 시사제작
신욱희, 김영호, 「전환기의 동맹, 데탕트 시기의 한미 안보관계」(한국정치사 기획학술 회의 발표문) 2000년 4월 7일
오시림, 『신의와 배신』, 성실인쇄사, 1984
이춘근, 「주한미군의 과거, 현재, 미래」, 『전략논단』1, 2004.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