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대문학사] 민촌 이기영 `고향` 작품분석

 1  [한국근대문학사] 민촌 이기영 `고향` 작품분석-1
 2  [한국근대문학사] 민촌 이기영 `고향` 작품분석-2
 3  [한국근대문학사] 민촌 이기영 `고향` 작품분석-3
 4  [한국근대문학사] 민촌 이기영 `고향` 작품분석-4
 5  [한국근대문학사] 민촌 이기영 `고향` 작품분석-5
 6  [한국근대문학사] 민촌 이기영 `고향` 작품분석-6
 7  [한국근대문학사] 민촌 이기영 `고향` 작품분석-7
 8  [한국근대문학사] 민촌 이기영 `고향` 작품분석-8
 9  [한국근대문학사] 민촌 이기영 `고향` 작품분석-9
 10  [한국근대문학사] 민촌 이기영 `고향` 작품분석-10
 11  [한국근대문학사] 민촌 이기영 `고향` 작품분석-11
 12  [한국근대문학사] 민촌 이기영 `고향` 작품분석-12
 13  [한국근대문학사] 민촌 이기영 `고향` 작품분석-13
 14  [한국근대문학사] 민촌 이기영 `고향` 작품분석-14
 15  [한국근대문학사] 민촌 이기영 `고향` 작품분석-15
 16  [한국근대문학사] 민촌 이기영 `고향` 작품분석-16
 17  [한국근대문학사] 민촌 이기영 `고향` 작품분석-17
 18  [한국근대문학사] 민촌 이기영 `고향` 작품분석-18
 19  [한국근대문학사] 민촌 이기영 `고향` 작품분석-19
 20  [한국근대문학사] 민촌 이기영 `고향` 작품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근대문학사] 민촌 이기영 `고향` 작품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땅 다지기 : 들어가며

1. 문단사적 배경
2. 민촌 이기영


Ⅱ. 농사짓기 : 『 고 향 』

1. 「고 향」에 나타난 현실 인식의 모습
(1) 식민지적 근대화
(2) 계층 분화의 시작
(3) 인물을 통해 본 계층 분화 양상
1) 식민지 부르주아의 전형 - 안승학
2) 발전하는 지식인 - 김희준
3) 민중으로서의 농민, 노동자 - 김선달, 인동, 인순, 갑순

2. 농민과 노동자의 시각에서 바라본 「고 향」
(1) 농민 의식의 이중성
1) 초기 농민들의 의식 세계 : 봉건적, 보수적, 소소유자적
2) 농민 의식의 성장 과정 : 등장인물 ‘인동’ 과 ‘두레’를 중심으로
3) 농민 의식의 한계점 : 소소유자적 이기주의
(2) 농민의식의 주체적 각성의 결과물로서의 소작쟁의와 노동쟁의
1) 소작쟁의
2) 노동쟁의

Ⅲ. 거두기 : 나오며

Ⅳ. 씨앗 : 참고문헌
본문내용
신경향파 문학이라는 명칭은 프롤레타리아 문예 운동의 부흥을 꿈꾸며 창건된 카프의 1927년도 제 1차 방향전환기에 박영희에 의해 명명된 것 구체적으로 ‘신경향파’라는 용어가 새로 등장한 것은 당시 박영희(朴英熙)가 잡지 《개벽(開闢)》에 라는 문학론을 발표하였을 때부터이다.

으로 명칭 자체에 신경향파 문학이 지니는 과도적 역사적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원래 경향문학(傾向文學:tendency literature)이라 함은 작품을 통하여 종교적 ·도덕적 ·정치적인 사상을 주장, 민중을 같은 방향으로 유도하려는 데 목적을 둔 문학을 뜻하는데, 이와 같은 개념에 신(新)을 덧붙인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신경향파의 문학론이 식민지 조선의 현실에 대한 격렬한 부정의식에서 출발했고, 그것은 그러한 면에서 1920년대 초기의 낭만주의 문학과 맥을 같이 한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신경향파 문학은 그러한 현실에 대한 부정의식 혹은 현실에 대한 ‘환멸’이 환상에로의 도피가 아니라 현실의 적극적인 개조로 향해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신경향주의에 기반을 두고 카프문인을 중심으로 한 식민지 시대에서의 프로문학의 형성과 발전은 역사적으로 그 필연성을 동반한다. 프로문학론은 단지 몇몇 선진적인 지식인의 관념만의 것이 아니며, 또 운동의 발전과정에서 드러난 많은 좌우편향 그리고 끝내는 대중운동이 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지적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역사적으로 합법칙적이었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식민지 자본주의라는 특수성 속에서 식민지로부터의 민족해방과 근로대중의 자기해방운동에 기반 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이기영, 「고향 상, 하」슬기, 1987.
이기영, 『고향』. 풀빛, 1989.
김윤환, 「한국노동운동사Ⅰ」, 청사, 1982.
김한식. 「이기영 장편소설 『新開地』 연구-『故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한국문학이론과
제18집 (2003년 3월)
이용군. 「이기영의 『고향』 연구-아버지 세대의 극복을 통한 공동체 삶의 대안적 모색」. 우리문학 연구
제15집 (2002년 12월)
이기영. 『고향』. 신원문화사 (1994)
김병구. 「이기영의『故鄕』론」.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9집 (2000년 12월)
이미림, 『월북 작가 소설 연구』, 깊은샘, 1999.
권유, 『민촌 이기영의 작가세계』, 국학자료원, 2002.
임규찬, 한기형. 『작가론 및 작품론』, 태학사, 1990.
김윤식, 정호웅. 「한국 리얼리즘소설 연구」탑 출판사, 1987.
역사문제연구소 문학사연구모임 지음. 「카프문학운동연구」 역사비평사 ,1989.
이상경, 「이기영 : 시대와 문학」풀빛, 1994
김흥식, 「이기영 소설 연구」 서울대학교, 1991
김옥기, 「이기영 농민 소설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198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