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사회의 구조와 변동 요약

 1  제주지역 사회의 구조와 변동 요약-1
 2  제주지역 사회의 구조와 변동 요약-2
 3  제주지역 사회의 구조와 변동 요약-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제주지역 사회의 구조와 변동 요약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제주지역 사회의 구조와 변동 요약
1. 제주 지역사회의 형성배경
제주도는 한반도 최남단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크기는 충청북도의 1/4정도이다. 지질 탓에 하천은 거의 없고 한라산이 섬 가운데 우뚝 솟아있어 국지적으로 일기가 자주 변하고 해안지대, 중산간, 산악지대로 구분된다. 고도에 따라서 다양한 식생, 기후, 생활 조건이 차이가 난다.
제주도는 탐라라는 독립국가 형태를 취하고 있었고 실질적으로 고려 시대까지 독립국가로의 지위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1105년 제주에 지방관이 파견되고 자치권을 상실하였다. 그래도 육지와는 다른 제주만의 특성은 유지하였다.
제주도는 화산섬이고 육지와 멀리 떨어져 있었기에 제주사회의 상대적 고립, 고유성의 유지, 사회관계와 자원이 제한되었다. 그리고 척박한 토지로 인해 생산성이 낮았고 이는 평등사회 지향의 모습으로 드러났다. 삼무, 조냥정신이 이러한 이유에 생겨난 것이다. 그리고 제주도는 육지와 떨어져있어 전국적 중요성이 낮아 중심으로부터 자주 수탈 당해 왔다. 그리고 위치상 외세에 마저 수탈 당했왔었다. 이러한 이유로 제주 사람들은 지역공동체를 중심으로 강하게 결속하였다. 그리고 수탈을 피하기 위해 중산간 마을로 피해가 살고 조선시대의 선박 건조 제한 때문에 어업보다는 농업사회에 기반한 사회였다.
제주에서는 민간신앙이 널리 퍼져있었다. 삶이 힘들었기에 이들이 의지할 수 있던 것은 무교 하나뿐이였고 고려시대 이전까지의 종교라곤 무교 뿐이 였다고 한다. 고려 문종 때 이후 불교가 포교되고 널리 퍼지며 무교와 보완관계를 이루며 공생하였다. 하지만 유교는 그러지 못하고 민중들과 갈등을 빚었다. 유교의 탄압으로 인해 나중에는 절이 모두 사라졌지만 사람들 마음 속이나 여성적 장르에서는 불교적인 면이 남아있었다. 후에 천주교와 개신교가 전파되었다. 하지만 아직도 기독교인 비율이 타 지역에 비해 낮은 이유는 이러한 민간신앙과 종교의 영향이 아직 강한 탓인 듯하다.
2. 제주지역사회의 변동
일제강점기 시절 제주는 일본과 가깝고 변방이라는 이유로 많은 수탈을 당했다. 재일동포 중에서도 제주 출신이 제일 많고 제주도민들 중에서 일본에 친인척이 한둘 없는 도민은 없을 정도로 일본의 수탈을 받았었다. 해방 후에는 4.3을 겪고 제주 사회가 여러 측면에서 극단적으로 양분되고 초토화되었다. 전쟁 후에도 제주는 직접적 피해를 안입었다는 이유로 개발에서 소외되었고 복구 사업역시 제외되었다. 그만큼 경제적으로 힘들었던 것이다. 박정희정권이 들어서면서 개발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개발은 60년대 시작했지만 70년대 관광산업 중심의 개발을 시작한 이후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90년대 이후 세계화가 되고 체제가 바뀌면서 제주도는 제주만의 기후, 지역 등을 내세운 경쟁력을 상실하게 되었고 이는 곧 국제자유도시화로 이어지게 된 것이다.
그 동안 개발이 진행되었다고 해도 제주는 전국 1%에 불과하다. 하지만 그만큼 전국의 민심을 잘 반영하는 곳이다. 선거 총선 등에서 어느지역보다도 전국 평균치에 가깝게 나오는 제주는 작지만 독특한 위상을 가진 곳이다.
3. 제주 지역사회의 부문별 변동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