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남자의 탄생 전인권 남자의 탄생 줄거리

 1  독후감 남자의 탄생 전인권 남자의 탄생 줄거리-1
 2  독후감 남자의 탄생 전인권 남자의 탄생 줄거리-2
 3  독후감 남자의 탄생 전인권 남자의 탄생 줄거리-3
 4  독후감 남자의 탄생 전인권 남자의 탄생 줄거리-4
 5  독후감 남자의 탄생 전인권 남자의 탄생 줄거리-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독후감 남자의 탄생 전인권 남자의 탄생 줄거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남자의 탄생] 전인권
내가 이 책을 선택한 이유는 다른 인문, 과학 책들과는 다르게 비교적 읽기에 어려울 것 같지 않았기 때문이다. 표지에 ‘한 아이의 유년기를 통해 보는 한국 남자의 정체성 형성과정’ 이라고 써있는 것을 보고 그렇게 생각한 것이다. 미리 교수님께서 적어주신 목록의 책들을 다 찾아봤지만 모두 어려워 보였다.
우선 저자인 전인권(全寅權)씨는 1958년 강원도 철원에서 태어났다. 성균관대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대학원 정치학과에서 석사박사 과정을 마쳤다. 대학 시절의 대부분을 학생운동으로 보냈으며, 오스트리아 빈대학 정치학과에서 1997~2000년까지 3년 동안 수학했다. 석사논문(1992년)은 ‘포항제철에 관한 정치, 경제학적 연구’, 박사논문(2001년)은 ‘박정희 대통령에 대한 전기적 연구’였다. 현재 성공회대 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서울산업대학과 홍익대에 출강하고 있다. 1997년 《편견 없는 김대중 이야기》를 내놓으면서 정치평론가로서 활동하기도 했고, 1998년 말에는 우연히 기고했던 이 신춘문예에 당선되면서 미술평론가로 데뷔하였다. 그 뒤 이중섭의 예술세계에 담긴 한국적 정신을 끈질기게 탐구하여 《아름다운 사람 이중섭》(문학과 지성사, 2000년)을 출판했다.
앞으로는 지금까지 가져온 경험적 문제의식을 확대하기보다는 이론화하는 데 주력할 생각이라고 한다.
저자는 이 책에서 자신의 유년기(5살부터 12살까지)를 소재로 삼아 한 남자 아이가 한국 남자로 탄생되기까지의 과정을 이야기한다. 그런데 이같이 전체에 해당하는 특성이 이러이러 하다라고 말할 때 개인적 체험만을 가지고 논리를 편다면 분명 한계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저자는 자신의 유년기를 꼼꼼하게 분석하고 공통분모를 찾아내 논리상 무리가 없게 하고 프로이트의 이론과 베이컨의 동굴의 우상론을 적절히 차용해 과학적으로 분석했다. 더구나 내용상 재미있는 어릴 적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논리라서 접근하기도 쉬웠다. 이 책을 통해 동굴 속 황제로 집약될 수 있는 한국 남자의 정체성이 어떤 식으로 형성되었는지를 알 수 있었고 더 나아가 한국 사회의 한 단면까지 읽을 수 있었다. 또한 한국 여자로서 한국 남자를, 딸로서 아버지를, 누나로서 남동생을 이해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던 것 같다. 적어도 한 인간으로 태어나서 나와는 다른 사회/경제/문화적 상황에 놓인 다른 사람들을 상상할 수 있는 감성 정도는 갖추어야 한다고 믿는다. 여성을 대하는 남성의 입장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이 책은 실패한 한 사내의 기록이다. 사회생물학 용어를 빌면 성공한 ‘우두머리 수컷’들의 화려한 자기과시 회고록이 넘쳐나는 시대에, “권위주의와 자기애의 동굴에 갇혀 주위를 제대로 살피지 못한 인생”이라고 고백하는 40대 한국남자의 이야기라니. 그러나 페이지를 넘길수록 그의 고백은 비수가 되어 남성독자의 헐거운 심장을 저민다. 입으로는 학교에서 배운 대로 민주주의와 진보, 자유라는 근대적 가치를 주절거리면서도, 정작 몸은 봉건적인 권위주의와 신분질서에 찌들어있는 이 땅 대부분의 남성들에게 들이대는 메스다.
때로는 자기 과시적이고, 때로는 터무니없이 진지하며, 때로는 소심했던 유년시절의 다층적 자아(自我)가 또아리를 틀고 있다. 그리고 이제 중년이 된 그 사내는 ‘학문의 언어’가 아닌, ‘일기장의 언어’로 자신의 내면을 드러냄으로써 공감의 파장을 증폭시키고 있다. 그는 자신의 유년시절 볼 수 있었던 미시적 사물에 현미경의 초점을 맞추고, 어쩌면 사소할 수도 있는 개인적 경험에 확대경을 들이댄다.
‘족보’와 ‘삼국지’가 가지런히 꽂혀있던 아버지의 책상과 반짇고리, 아이 포대기, 요강 등으로 어지럽던 어머니의 공간, 성(性)과는 유리된 채 메마른 내외(內外)관계를 반복하던 부모님, 이불 빨래에서 호청을 뜯어내거나 빨래터에서 방망이를 두들기는 강도(强度)로 짐작하던 어머니의 스트레스, 그리고 아들이라는 이유로 왕처럼 대접받았던 어린 시절의 추억들.
이 사적(私的)기록들을 따라 읽다보면, 이 땅의 남성들도 “태어나는 게 아니라 만들어진다”라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는 이렇게 자란 평균적 한국 남성들의 행동양태를 ‘동굴속 황제’라는 용어로 정리했다. 보통 때는 인자한 황제처럼 너그럽다가 결정적인 순간 마음에 거슬리는 일이 벌어지면 짜증을 내고 까다롭게 구는 것이다. 그 안에는 ‘나는 남보다 우월한 존재’라는 허영심이 존재하고 있고, 한번 더 뿌리를 파헤쳐 들어가면 “내 아들이 최고”라는 모성(母性)의 동굴을 발견한다. 그가 성장했던 60~70년대와 달리 요즘은 교육환경과 육아환경이 파격적으로 달라졌다. 아버지의 권위는 수직으로 추락했고, 어머니의 목소리는 반비례해 곧추 섰다. 하지만 그 때나 지금이나 다름없는 건 “자신을 이끌어줄 만한 통제장치를 상실한 채, 심리적 영토의 추구라는 황제적 특성만 강화된 아들들”이라는 것이 이 사내의 걱정이다.
그는 ‘동굴 속 황제’의 이중구조를 걷어내고, 칸막이 없는 공간에서 함께 나누고 소통하자고 호소한다. 그리고 그 해결책은 “‘내 안의 아버지, 네 안의 아버지’를 살해하는 것”이라고 설득한다. 물론 그 때의 아버지는 권위주의로 찌들어 있는 남성, 자기 자신의 얼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