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마당깊은집`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작품분석

 1  [문학] `마당깊은집`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작품분석-1
 2  [문학] `마당깊은집`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작품분석-2
 3  [문학] `마당깊은집`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작품분석-3
 4  [문학] `마당깊은집`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작품분석-4
 5  [문학] `마당깊은집`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작품분석-5
 6  [문학] `마당깊은집`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작품분석-6
 7  [문학] `마당깊은집`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작품분석-7
 8  [문학] `마당깊은집`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작품분석-8
 9  [문학] `마당깊은집`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작품분석-9
 10  [문학] `마당깊은집`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작품분석-10
 11  [문학] `마당깊은집`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작품분석-11
 12  [문학] `마당깊은집`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작품분석-12
 13  [문학] `마당깊은집`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작품분석-13
 14  [문학] `마당깊은집`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작품분석-14
 15  [문학] `마당깊은집`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작품분석-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 `마당깊은집`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작품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작품 전반에 걸친 분석
2. 어머니와 아이
3. 아버지에의 갈망
4. 작가 분석
5. 시점 분석
6. 참고문헌

본문내용
만약 가족구조의 삼각형에서 아버지가 부재(不在)한다면 양상은 달라질 것이다. 부재하는 아버지 대신 어머니가 아버지-가장의 이미지를 가져야만 한다. 어머니는 가족의 리더로써 아이들을 양육해야 하는 실존적 고민에서 그러한 행동을 취할 수밖에 없다. 『마당 깊은 집』의 모자관계 역시 이러한 “변질된” 가족구조에서 성립한다고 본다면, “변질된” 가족구조에서 비롯하는 새로운 권력 체계에 대한 고찰은, 『마당 깊은 집』의 모자간 갈등구조를 이해하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마당 깊은 집』의 부록에 있는「타자화된 자아의 글쓰기」(우찬제 p. 277)라는 해설을 보면 이 소설을 ‘잃어버린 어머니를 찾아 나선 소설’(p. 291)로 규정하고 있다. 한국전쟁 후의 남한이라는 시간적 ․ 공간적 배경에서, 남편을 잃어버린 특수한 상황에 놓인 어머니는 실존적 요구로 인해 가짜 아버지의 이미지를 취해야 하며 동시에 어머니의 자리엔 가짜 어머니가 놓여져야 한다. 이렇게 “변질된” 가족구조의 삼각형 안에서 화자는 그가 바라는 진짜 어머니에 대한 갈망으로 내면적 수난사를 겪는데, 마침내 가출 행위를 통해 진짜 어머니의 실재함을 깨닫고 갈등은 종결된다. 이러한 내면적 수난사를 통해 입은 “Trauma”의 치유를 위해 서술이 기획되었다는 것이 해설의 저자가 갖는 이 소설의 분석이다.
참고문헌
김원일,『마당깊은 집』, 문학과 지성사, 2004.
김형중,『소설과 정신분석』, 푸른사상, 2003.
프로이트 전집,『정신분석 강의』, 열린책들, 2004.
권오룡 엮음,『김원일 깊이 읽기』, 문학과 지성사, 2003.
하응백,「장자의 소설, 소설의 장자」,『김원일 깊이 읽기』, 문학과 지성사, 2003.
정과리,「이데올로기 혹은 짐승의 삶」,『김원일 깊이 읽기』, 문학과 지성사, 2003.
김현,「이야기의 뿌리, 뿌리의 이야기」,『김원일 깊이 읽기』, 문학과 지성사, 2003.
장-이브 타디에,『20세기 문학비평』, 문예출판사, 1998.
조두영,『프로이트와 한국문학』, 일조각, 1999.
막스 밀네르,『프로이트와 문학의 이해』, 문학과 지성사,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