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의 한과문화페스티벌과 포천한과박물관 방문기 한과에 대한 배경지식과 경험

 1  삼국지의 한과문화페스티벌과 포천한과박물관 방문기 한과에 대한 배경지식과 경험-1
 2  삼국지의 한과문화페스티벌과 포천한과박물관 방문기 한과에 대한 배경지식과 경험-2
 3  삼국지의 한과문화페스티벌과 포천한과박물관 방문기 한과에 대한 배경지식과 경험-3
 4  삼국지의 한과문화페스티벌과 포천한과박물관 방문기 한과에 대한 배경지식과 경험-4
 5  삼국지의 한과문화페스티벌과 포천한과박물관 방문기 한과에 대한 배경지식과 경험-5
 6  삼국지의 한과문화페스티벌과 포천한과박물관 방문기 한과에 대한 배경지식과 경험-6
 7  삼국지의 한과문화페스티벌과 포천한과박물관 방문기 한과에 대한 배경지식과 경험-7
 8  삼국지의 한과문화페스티벌과 포천한과박물관 방문기 한과에 대한 배경지식과 경험-8
 9  삼국지의 한과문화페스티벌과 포천한과박물관 방문기 한과에 대한 배경지식과 경험-9
 10  삼국지의 한과문화페스티벌과 포천한과박물관 방문기 한과에 대한 배경지식과 경험-10
 11  삼국지의 한과문화페스티벌과 포천한과박물관 방문기 한과에 대한 배경지식과 경험-11
 12  삼국지의 한과문화페스티벌과 포천한과박물관 방문기 한과에 대한 배경지식과 경험-12
 13  삼국지의 한과문화페스티벌과 포천한과박물관 방문기 한과에 대한 배경지식과 경험-13
 14  삼국지의 한과문화페스티벌과 포천한과박물관 방문기 한과에 대한 배경지식과 경험-14
 15  삼국지의 한과문화페스티벌과 포천한과박물관 방문기 한과에 대한 배경지식과 경험-15
 16  삼국지의 한과문화페스티벌과 포천한과박물관 방문기 한과에 대한 배경지식과 경험-16
 17  삼국지의 한과문화페스티벌과 포천한과박물관 방문기 한과에 대한 배경지식과 경험-17
 18  삼국지의 한과문화페스티벌과 포천한과박물관 방문기 한과에 대한 배경지식과 경험-18
 19  삼국지의 한과문화페스티벌과 포천한과박물관 방문기 한과에 대한 배경지식과 경험-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삼국지의 한과문화페스티벌과 포천한과박물관 방문기 한과에 대한 배경지식과 경험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삼국지의 한과문화페스티벌과 포천한과박물관 방문기
-한과에 대한 배경지식과 경험을 통한 한과의 세계화 방향에 대한 연구-
목 차
Ⅰ. 서론
Ⅱ. 한과박물관 방문을 통해 한과를 알아가다
1. About 한과
2. 한과 in 민속
Ⅲ. 한과축제 방문을 통해 한과의 세계화 방향을 생각하다
1. 세계 각국의 과자
2. 각국의 과자와 비교를 통해 얻은 한과의 장점
Ⅳ. 결론
Ⅴ. Appendix
Ⅰ. 서론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일본의 전통음식 ‘스시의 유행을 넘어서 하나의 전 세계적인 하나의 음식문화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세계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요즘과 같은 시대에 각 나라의 음식은 하나의 상품으로써 전 세계적으로 수익뿐만 아니라 자연스럽게 국가의 문화를 알릴 수 있는 효과적인 도구가 되어가고 있다. 이에 우리 정부도 한식의 국제화를 천명하고 본격적으로 한식의 세계화에 나서고 있다. 그리고 최근 이러한 한식 세계화에 대한 관심은 국가를 넘어 전 국민으로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우리 조는 세계한과축제 방문을 시작으로 포천 한과박물관방문 및 한가원 한과만들기 체험까지 경험하면서 한과에 대해 전반적인 이해를 통해 한식 세계화의 새로운 기회요소를 한과에서 찾아 볼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기 위해서 노력했다. 그리고 이 레포트를 통해서 우리조가 자료와 한과박물관 박문을 통해 공부한 한과에 대한 학습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가원 전문가와의 인터뷰와 세계한과축제 방문, 그리고 우리조의 특성에 맞게 중국과 일본을 비롯한 다양한 국가의 과자와의 비교를 통해 가질 수 있었던 한과만이 가지는 장점과 이를 통한 세계화 방향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했다.
Ⅱ. 한과 박물관 방문을 통해 한과를 알아가다
1. About ‘한과’
(1) 한과의 정의
한과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과자를 말하는데 과정류(菓釘類)라고도 하며 외래의 과자와 구별하여 한과류(韓果類)라고도 한다. 또 우리말로는 과줄이라고 하는데 과줄이란 유과 및 유밀과의 한가지를 가리키기도 하지만 유과(산자, 강정류), 다식류, 숙실과, 전과류(정과), 엿강정류, 과편류, 유밀과류 등을 통틀어 우리의 전통과자를 이르는 말로도 쓰였다. 또 여러 가지 곡물로 과일을 본떠서 만들었다고 하여 조과(造菓)라 고도 한다.
(2) 한과의 유래와 역사
우리나라는 농경 문화권으로 일찍이 신석기시대부터 농경이 시작되었다. 한과는 대부분 곡물이 주재료로 이용되기 때문에 곡물 이용 전 한과의 이용도 그 역사가 상당하다고 보여진다. 그러나 한과를 만들기 시작한 시기는 상고시대의 기록이 없어 정확히 알 수 없다. 우리나라 과자의 기원이 과실이 나지 않는 계절에 곡식을 과실의 모양으로 본따 대용 한 것에서 비롯되었다고 전해지고 있어 그 역사는 매우 깊다고 생각된다.
한과의 주재료는 대개 곡물과 꿀과 기름이다. 식품역사상 이 세 가지가 모두 갖추어져 사용되어진 시기는 부족국가 및 삼국시대이다. 부족국가시대에 고구려의 동맹, 부여의 영고, 예의 무천 등의 부락제가 있었다. 이때에는 군중이 모여 음식을 나누고 춤을 추었다고 하는 농경의례와 같은 의식이 있었는데 이때 다른 음식과 함께 한과를 나누었다고 본다. 그리고 삼국시대에 불교가 전래된 점 등으로 추정해 볼 때 한과의 존재를 유추해 볼 수 있다. 그것은 본래 한과류가 차에 곁들이는 음식으로 만들어졌고 음다(飮茶)풍속이 성행된 것은 불교가 융성했던 통일신라시대였기 때문이다. 숭불사조가 고조되었던 통일신라에서 음다풍속과 육식절제풍습이 존중됨에 따라 채식음식의 발달과 함께 곡류를 주재료로 한 한과류의 발달은 쉽게 추측할 수 있는 일이다. 이 시대의 후기로 가면 다과상, 진다례, 다정모임 등의 의례행사가 형성 되는데 이에 따라 한과류도 급진적으로 발달하게 되었다.
고려시대 또한 불교를 호국신앙으로 삼아 살생을 금했던 만큼 육식이 절제됨에 따라 차를 마시는 풍속과 함께 한과류가 한층 더 성행하게 되었다. 고려의 한과류 중에서는 특히 유밀과가 발달되어 불교행사인 연등회, 팔관회 등 크고 작은 행사에 반드시 고임상(高杯床, 큰상)으로 쌓아 올려졌다. 또한 왕의 행차 시에는 고을이나 사원에서 유밀과를 진상하기도 했다. 이 밖에 충렬왕 22년에는 세자와 원나라 공주와의 혼례식에 이 유밀과가 사용됨으로써 폐백음식의 하나로 등장하기에 이른다. 또한 이즈음 외국과의 교역이 빈번해지면 서 유밀과가 고려병이란 이름으로 중국에까지 널리 알려지게 되어 그곳 사람들로부터 절찬을 받았다는 기록도 보인다. 고려시대 유밀과의 과다소비로 유밀과의 재료인 곡물, 꿀, 기름 등을 마구 허비함 에 따라 그 폐해를 막기 위해 명종22년 (1192년)과 명종9년(1179년)에 각각 유밀과의 제조 금지령을 내렸다는 기록이 고려사」에 보인다. 이로 보아 유밀과가 상당히 애용되던 과자였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한과류의 하나인 다식은 고려에서 유밀과처럼 크게 성행하지는 않았으나 국가의 연례, 국가대연회 등에서는 쓰여졌던 것으로 보인다. 「성호사설」에 따르면 이 다식 은 중국에서 대소용단(大小龍團)이 변한 것이며, 국가의 제전(祭典)에 쓰였는데 본래는 제사에 점다(點茶)를 쓰던 것으로부터 시작된 것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