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DO의 태동과 현실 그리고 미래 Korea Peninsula Energy Development Organizati

 1  KEDO의 태동과 현실 그리고 미래 Korea Peninsula Energy Development Organizati-1
 2  KEDO의 태동과 현실 그리고 미래 Korea Peninsula Energy Development Organizati-2
 3  KEDO의 태동과 현실 그리고 미래 Korea Peninsula Energy Development Organizati-3
 4  KEDO의 태동과 현실 그리고 미래 Korea Peninsula Energy Development Organizati-4
 5  KEDO의 태동과 현실 그리고 미래 Korea Peninsula Energy Development Organizati-5
 6  KEDO의 태동과 현실 그리고 미래 Korea Peninsula Energy Development Organizati-6
 7  KEDO의 태동과 현실 그리고 미래 Korea Peninsula Energy Development Organizati-7
 8  KEDO의 태동과 현실 그리고 미래 Korea Peninsula Energy Development Organizati-8
 9  KEDO의 태동과 현실 그리고 미래 Korea Peninsula Energy Development Organizati-9
 10  KEDO의 태동과 현실 그리고 미래 Korea Peninsula Energy Development Organizati-10
 11  KEDO의 태동과 현실 그리고 미래 Korea Peninsula Energy Development Organizati-11
 12  KEDO의 태동과 현실 그리고 미래 Korea Peninsula Energy Development Organizati-12
 13  KEDO의 태동과 현실 그리고 미래 Korea Peninsula Energy Development Organizati-13
 14  KEDO의 태동과 현실 그리고 미래 Korea Peninsula Energy Development Organizati-14
 15  KEDO의 태동과 현실 그리고 미래 Korea Peninsula Energy Development Organizati-15
 16  KEDO의 태동과 현실 그리고 미래 Korea Peninsula Energy Development Organizati-16
 17  KEDO의 태동과 현실 그리고 미래 Korea Peninsula Energy Development Organizati-17
 18  KEDO의 태동과 현실 그리고 미래 Korea Peninsula Energy Development Organizati-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KEDO의 태동과 현실 그리고 미래 Korea Peninsula Energy Development Organizati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KEDO의 태동과 현실, 그리고 미래...
(Korea Peninsula Energy Development Organization)
국제기구와 국제관계 : KEDO
* 목차
Ⅰ. KEDO의 성립
Ⅱ. KEDO의 의의
Ⅲ. KEDO의 조직구조
Ⅳ. KEDO의 주요 사업/기능
Ⅴ. KEDO의 발전과정
Ⅵ. KEDO의 한계와 문제점
Ⅶ. 북한 핵 보유 추진의 동기
Ⅷ. 6자회담
Ⅸ. 제2차 북한 핵 위기와 KEDO의 결정
Ⅰ. KEDO의 성립
북한의 핵 개발을 저지하기 위해 한, 미, 일 3국 주도하에 북한에 경수로 발전소를 유상으로 공급하기 위해 ‘국제컨소시엄‘을 설립한 것이 KEDO(Korean Peninsula Energy Development Organization : 한반도 에너지 개발기구)이다.
북한의 핵 개발노력은 1950년대의 조소 원자력 협정채결(1956. 3) 이후 1962년 ‘영변 원자력연구 단지’를 설치하고 1963년 소련으로부터 소형연구용 원자로 IRT-2000를 도입하였다. 1987년 5MWe 실험용 원자로의 시험가동 성공을 눈앞에 둔 북한은 1985년 소련의 권유로 ‘핵비확산조약(NPT)’에 가입하고(85. 12. 12) 안전조치협정 서명(92. 1. 30)을 함으로써 IAEA 사찰 수용을 밝혔다. 그러나 IAEA가 북한 핵시설 및 물질에 대한 임시사찰을 실시한 결과, 북한이 신고한 내용과 중대한 불일치를 발견되었다. 즉 북한은 5MWe 실험용 원자로의 사용 후 연료에서 1회 재처리로 소량의 플루토늄을 추출했다고 신고했으나 실제로 수차례에 걸쳐 보다 많은 양을 추출했으며, 북한이 신고한 방사화학실험실은 대규모 재처리 시설로 판명되었다. IAEA는 영변 핵 단지 내의 미신고 시설 2곳을 재처리한 핵폐기물 저장소로 추정하고 특별사찰을 요구하였으나, 북한은 이 시설이 군사시설이라는 이유로 사찰을 거부하였다. 결국, IAEA는 1개월 이내 미신고 시설에 대한 특별사찰 수용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채택(1993. 2. 25)하고 북한은 동년 3월 12일 NPT 탈퇴선언을 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북 핵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 차원 및 IAEA 및 UN안전보장이사회와 같은 국제적 차원의 노력이 진행되었다. 1993년 6월 1단계 북미협상, 이후 위기적 갈등과정을 거쳐 1994년 10월, 북한과 미국은 기본 핵 합의서를 채택함으로써 일단 전쟁위기를 벗어났다. 이에 한, 미, 일 3국은 북한에 경수로발전소를 제공하고 그 공급과 재원조달을 담당할 국제 컨소시엄으로서 KEDO를 성립시킨 것이다(1995. 3. 9) 이후 1994년 10월 제 3단계 북미협상이 합의되자, 대북 경수로공사는 실질적 집행단계로 들어가게 되었다. KEDO와 북한은 한국표준형 경수로의 채택 문제를 둘러싸고 난항을 겪었지만 결국 1995년 12월 15일 KEDO-북한 간 경수로 공급협정을 체결하였다.
ⅰ. 제네바 합의에 따라 미국 및 북한이 이행해야 할 사항
북한
흑연 감속로와 관련 핵시설을 즉각 동결하고 경수로 완공 시 이를 해체
5MWe 실험용 원자로에서 인출한 폐연료봉에 대한 재처리 금지 및 궁극적으로 제3국으로 이전
NPT복귀, IAEA 안전조치협정 이행 및 협력, 경수로 공급협정 체결 시 IAEA 임시 및 일반사찰 실시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 이행조치 및 남북대화 노력
핵심부품 인양 전 IAEA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모든 안전조치이행.(즉 특별사찰 수용)
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