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족과 탈북자 문제 실태와 정책에 대한 보고

 1  조선족과 탈북자 문제 실태와 정책에 대한 보고-1
 2  조선족과 탈북자 문제 실태와 정책에 대한 보고-2
 3  조선족과 탈북자 문제 실태와 정책에 대한 보고-3
 4  조선족과 탈북자 문제 실태와 정책에 대한 보고-4
 5  조선족과 탈북자 문제 실태와 정책에 대한 보고-5
 6  조선족과 탈북자 문제 실태와 정책에 대한 보고-6
 7  조선족과 탈북자 문제 실태와 정책에 대한 보고-7
 8  조선족과 탈북자 문제 실태와 정책에 대한 보고-8
 9  조선족과 탈북자 문제 실태와 정책에 대한 보고-9
 10  조선족과 탈북자 문제 실태와 정책에 대한 보고-10
 11  조선족과 탈북자 문제 실태와 정책에 대한 보고-11
 12  조선족과 탈북자 문제 실태와 정책에 대한 보고-12
 13  조선족과 탈북자 문제 실태와 정책에 대한 보고-13
 14  조선족과 탈북자 문제 실태와 정책에 대한 보고-14
 15  조선족과 탈북자 문제 실태와 정책에 대한 보고-15
 16  조선족과 탈북자 문제 실태와 정책에 대한 보고-16
 17  조선족과 탈북자 문제 실태와 정책에 대한 보고-17
 18  조선족과 탈북자 문제 실태와 정책에 대한 보고-18
 19  조선족과 탈북자 문제 실태와 정책에 대한 보고-19
 20  조선족과 탈북자 문제 실태와 정책에 대한 보고-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선족과 탈북자 문제 실태와 정책에 대한 보고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조선족과 탈북자 문제
실태와 정책에 대한 보고
【목 차】
Part 1. 국내의 조선족 문제
Ⅰ.조선족의 개념
1. 조선족의 정의
2. 조선족의 거주사
Ⅱ. 조선족의 실태
1. 조선족의 유입
2. 한국에서의 생활
3. 조선족이 한국을 바라보는 시각
4. 조선족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
(1) 실태 및 원인
(2) 대안책
Ⅲ. 조선족에 대한 정책
1. 南ㆍ北韓의 法規에서 보이는 교민정책 비교
(1) 北韓의 僑民정책
(2) 南韓의 僑民정책
2. 우리정부의 입장
(1) 재외동포법
1)국내거주 재외동포의 법적 지위
2)재외동포법 개정안
(2) 취업관리제
1)취업관리제의 정의
2)방문동거자의고용관리에관한규정 ”의개정
3)취업관리제에 있어 바뀌는 내용
4)개정된 법규의 효과
(3) 재중동포들의 국적문제
1)한국 국적 취득을 원하는 중국 교포에 대한 정부의 방침
Ⅴ. 대안 및 실행방법
1. 대안
(1)민족정체성 유지사업 강화
(2)권익옹호 및 현지주민 친화사업강화
(3)한민족공동체 형성을 위한 재외동포의 자조노력 지원
(4)지역별 .대상별로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지원사업 개발
2. 실행방법
(1)웹사이트를 통한 사이버교민청 구축
(2)한민족망 확대 구축
(3)재외동포센터 건립
(4)동포 2.3.4세대의 민족정체성 교육지원강화
Part 2. 국내의 탈북자 문제
Ⅰ. 들어가는 말
Ⅱ. 탈북자를 바라보는 시각
1. 국제적 시각
(1) 중국
(2) 미국 -북한인권법안
(3) EU
(4) 러시아, 몽골, 일본, 동남아시아 국가
(5) 유엔과 국제인권단체
2. 국내적 시각
(1) 재외탈북자에 대한 정부 입장
(2) 탈북자를 바라보는 시각 변화
Ⅲ. 탈북자 실태
1. 탈북 원인
2. 북한정부의 탈북자 처벌
3. 국내입국 방법과 경로
(1) 공식적인 방법
(2) 비공식적인 방법
4. 입국현황
5. 탈북자 생활 실태
(1)탈북아동청소년
(2)여성
(3)탈북 남성
(4)탈북 어르신
Ⅳ. 탈북자 지원책
1.정부지원정책
2. NGO의 지원
(1) 국내 NGO의 지원
(2)국제 NGO의 지원
3. 탈북자가 바라는 지원
Ⅴ. 문제점
1. 탈북자 생활상 문제점
(1)탈북아동청소년의 남한 적응문제
(2)탈북 여성
2. 정책상 문제점
Ⅵ. 탈북자 문제 해결을 위한 제안
1.국내의 정착 탈북자
2.국외의 탈북자
3. 대량 탈북시의 국내지원 문제 해결방안
Part 1. 국내의 조선족 문제
Ⅰ.조선족의 개념
1. 조선족의 정의
조선족이란 중국 둥베이[東北] 지방의 랴오닝[遼寧]·지린[吉林]·헤이룽장[黑龍江] 등 삼 성(三省)과 그 밖의 중국땅에 흩어져 거주하고 있는 한족(韓族) 혈통을 지닌 중국 국적의 주민들을 말한다. 2004년 두산 세계대백과사전 인명편 발췌.
2. 조선족의 거주사
한말(韓末)에 외세의 침노로 한국의 국권이 흔들리면서 나라 안팎이 어지러워지자, 새로 운 생활 터전을 찾아 조국을 등지고 둥베이 지방과 러시아의 시베리아로 이주해 가는 한 국교포의 수가 갑자기 늘어났다. 이 유민의 행렬은 나라가 일제에 강점되면서 더욱 늘어 났다. 게다가 토지조사 등의 명목으로 일제가 한국인의 농토를 잠식하고 강제수탈하자 땅을 잃은 농민과 생업을 상실한 유랑민은 더욱 그 수효가 늘어나서 전국에서 만주(滿 洲)로 흘러 들어갔다.
이 유민의 대열에는 조국 광복과 국권회복을 다짐하며, 독립투쟁을 하기 위하여 조국으 로부터 망명해 가는 독립운동가도 많았다. 여러 경로로 만주 땅에 흘러든 이들은, 거기 에서 불모지를 개간하고 산림을 개척하여 어렵게 생활 터전을 닦아 나갔다. 그렇게 해서 마련된 한인 마을에는 독립군이 뿌리를 내리었고, 갖은 고초를 겪으면서 교민들의 개간 생활과 조국광복을 위한 독립투쟁이 연계를 이루고 어울려 이어져 갔다.
일제에 의해 만주사변과 중일전쟁이 일어나고, 만주가 더욱 개척되면서 한국인의 이주는 더더욱 활발해졌다. 한국에서 나는 쌀 약 1,500만 섬 중 1,000만 섬 이상을 일제가 수 탈해 가자 허덕이는 한국 농민은 개간할 황무지가 있는 만주로 몰려갈 수밖에 없었다. 이리하여 8·15광복으로 일제가 패망하였을 때에는 본국에 생활근거가 없는 조선인이, 조 국 귀환을 못하고 만주에 무수히 처져 남게 되었다. 이들이 조선족의 1세대이며 거기서 난 자손이 2세대들이 되었다.
게다가 조국이 3·8선 때문에 남북으로 갈리고, 이념과 체제가 다른 두 개의 정부가 들어서자, 조선족의 일부는 중국정권과 밀착된 북한으로 들어갔고, 상당수의 조선족은 그대로 둥베이 지방을 비롯한 중국 땅에 남겨져서 어렵고 가난한 생활을 해오고 있다. 현재 독립운동가의 유족들을 포함한 약 200만 정도로 추산되는 조선족은 국적이 중국인이므로 모국에의 귀환이 성사되기 어려운 현 상황에서는 중국 땅에 거주하는 소수민족으로서 그곳에 착실하게 정착해 가는 이외에 다른 선택의 여지는 없는 상태로 나날이 중국화 되어 가고 있다.
Ⅱ. 조선족의 실태
1. 조선족의 유입
중국 조선족 사회가 한국과 직접적인 관계를 맺기 시작한 지 10여년, 중국 조선족 사회 는 커다란 변화를 겪고 있다. 그 동안 조선족의 한국 인식은 ‘한국 꿈’이라고 할 수 있는 ‘한국으로의 바람’이 중국 조선족 사회를 강타하고 있다. p.43, 한중수교10년 중국국적 조선족과 탈북난민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