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배유형연구 - 청교도 분리주의자의 예배

 1  예배유형연구 - 청교도 분리주의자의 예배-1
 2  예배유형연구 - 청교도 분리주의자의 예배-2
 3  예배유형연구 - 청교도 분리주의자의 예배-3
 4  예배유형연구 - 청교도 분리주의자의 예배-4
 5  예배유형연구 - 청교도 분리주의자의 예배-5
 6  예배유형연구 - 청교도 분리주의자의 예배-6
 7  예배유형연구 - 청교도 분리주의자의 예배-7
 8  예배유형연구 - 청교도 분리주의자의 예배-8
 9  예배유형연구 - 청교도 분리주의자의 예배-9
 10  예배유형연구 - 청교도 분리주의자의 예배-10
 11  예배유형연구 - 청교도 분리주의자의 예배-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예배유형연구 - 청교도 분리주의자의 예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예배유형연구세미나
청교도 분리주의자의 예배
I. 들어가는 글
영국 청교도의 운동은 다양한 사상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이다. 그러나 주로 청교도의 실제적 운동은 칼빈주의자의 영향을 받은 영국의 개혁가들에 의해 이루어졌기 때문에 칼빈주의적인 성격을 강하게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청교도의 신학적 노선은 주로 칼빈주의의 교리를 따르고 있으며 따라서 청교도의 예배 신학도 칼빈주의 뿌리를 두고 있다. 청교도 신학은 학술적으로 스콜라 철학적 칼빈주의 또는 더 정확하게 성약설(federal) 또는 언약신학(covenant theology)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신학은 윌리암 퍼킨스(William Perkins)와 그의 제자 윌리암 에임스(William Ames) 그리고 에임스의 제자 존 카튼(John Carton)과 같은 영국의 신학자들에 의해서 더욱 발전했고, 장로교인들과 독립교인들의 예배의식 절충은 1664년 웨스트민스터 예배 규칙서(Westminster Directory of Worship)에서 공식화 되었다. Horton Davies, The Worship of the American Puritans, 김석한 역, 『청교도 예배』, (서울: 기독교문서 선교회, 1999), 33.
이러한 사상에 바탕을 둔 청교도운동은 국가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적인 분야에 있어 영향력을 행사한 어떠한 힘이며, 그 힘의 크기로 볼 때 그 위대성 또한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이 추구했던 청교도예배에 관해 살펴봄으로써 그들이 추구한 삶과 예배를 알아보고자 한다.
II. 펴는 글
1. 청교도들의 예배에 대한 이해
제임스 패커(James Packer)는 청교도들이 예배의 참 기능을 경험한 사람들이라고 한다.
예배의 기능이란 우리의 눈을 인간과 인간의 잘못들로부터 조심스럽게 들어 올려 하나님과 하나님의 영광을 응시하는 것으로 세월의 경과에 따라 이 과정은 점점 다듬어지고 다른 어느 것도 줄 수 없는 방법으로 영혼에 위로와 활력을 가져다 주는 것이다. 확실히 이것이 위대한 청교도들의 경험이었다. James Packer, Among Gods giants, 박영호 역, 『청교도 사상』,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2), 343.
초대교회의 예배는 형식적인 면에서 단순하였고, 내용 면에서는 말씀 중심적이면서도 영적이었다. 그러나 예배에 인위적인 요소가 가미되면서 예배가 복잡하게 되고, 형식화되기 시작하였다. 이처럼 중세교회가 성경에 대한 무지 가운데 이교적인 예배로 오염되기 시작하였고, 이를 개혁하고자 했던 프랑스의 피터 발도(Peter Waldo)같은 사람은 오히려 이단으로 정죄를 당하고 100만 명이 넘는 그의 지지자들은 살해당했다. 말씀에 대한 무지는 성인과 성물 숭배를 초래하였으며, 이에 종교개혁자들은 이와 같은 성물 숭배의 허구를 비난하고 성경적 예배의 회복을 주장함으로 무지와 미신으로 오염된 예배를 개혁하고자 앞장섰다. 오덕교, 『언덕위의 도시』, (수원: 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2004), 103.
종교개혁의 양대 산맥인 루터(Luther)와 칼빈(Calvin)은 예배의 형식이나 모습을 정할 때 성경의 역할을 달리 해석했다. 루터(Luther)는 ‘성경이 명백하게 금하지 않았다면 교회가 금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었고 칼빈(Calvin)은 반대로 ‘성경이 명하지 않은 것은 무엇이든지 금한다.’는 명제를 그의 신학 원리로 채택하였다. 청교도들은 후자인 칼빈(Calvin)의 예배 사상을 전수받고 칼빈(Calvin)의 가르침을 따라 성경만을 예배의 규범으로 삼고, 성경적 예배를 고집하면서 인위적인 예배를 배척하였다. 따라서 청교도들은 성경의 지시 없는 인간의 전통을 포함시키지 않은 순수한 예배를 추구했고 하나님이 바라시는 방식으로 예배하기를 원했다. 인간에 의한 예배가 아니라 하나님이 정하신 참된 예배로 참되신 하나님을 예배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청교도 예배는 간소화되었지만 심원한 영성을 불러 일으켰다. 하나님의 말씀의 능력을 존중하고 예배에 신선함을 불어넣었다. 박영호, 『청교도 실천신학』,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02), 403.
청교도들은 참 예배를 드리고자 했던 사람이기에 성경이 말하는 참 예배를 치열하게 연구했던 사람들이다.
2. 청교도들의 예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