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찬의 신비 - 칼빈의 성찬론 - 성례전세미나

 1  성찬의 신비 - 칼빈의 성찬론 - 성례전세미나-1
 2  성찬의 신비 - 칼빈의 성찬론 - 성례전세미나-2
 3  성찬의 신비 - 칼빈의 성찬론 - 성례전세미나-3
 4  성찬의 신비 - 칼빈의 성찬론 - 성례전세미나-4
 5  성찬의 신비 - 칼빈의 성찬론 - 성례전세미나-5
 6  성찬의 신비 - 칼빈의 성찬론 - 성례전세미나-6
 7  성찬의 신비 - 칼빈의 성찬론 - 성례전세미나-7
 8  성찬의 신비 - 칼빈의 성찬론 - 성례전세미나-8
 9  성찬의 신비 - 칼빈의 성찬론 - 성례전세미나-9
 10  성찬의 신비 - 칼빈의 성찬론 - 성례전세미나-10
 11  성찬의 신비 - 칼빈의 성찬론 - 성례전세미나-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성찬의 신비 - 칼빈의 성찬론 - 성례전세미나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성찬의 신비

성례전세미나
▶ 역자서문
지금까지 역자는 불행하게도 칼빈의 성찬론이 한국교회에서 잘못 이해 되어온 것 같았는데 이 책을 읽고 번역하는 가운데 이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회복해야할 중요성을 되찾게 되었다. 『성찬의 신비』이 책은 성찬교리, 특히 요한칼빈과 대부분 16세기 개혁주의적 신앙고백을 지닌 자들의 성찬론을 소개하고 설명하고 변호하는 것이다. 쯔빙글리의 견해를 점차적으로 수용한 것은 성찬에 관한 성경적이며, 개혁주의적인 견해로부터 멀어졌다는 것이 이책의 주장이다. 이 책은 칼빈의 성찬론이 성경적 가르침이며 16세기 개혁교회의 기본적 교리로서 오늘날 개혁교회에 의해 재인식되고 선포되어야 할 교리이다. 한국교회가 교회의 모습을 회복하고 예수님의 생명력을 되찾아 활기찬 교회, 예수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부활을 그분이 다시 오실때까지 변함없이 전하는 교회가 되기 위해서 회복해야할 교리가 바로 성찬론이다. 성찬론에 있어서 칼빈의 가르침은 그의 성찬론 전반에 걸쳐 드러나는 성경적 건전성과 개혁신학의 핵심적 가르침에 근거한 교회연합적이며 실천적 모티브 일 것이다.
Ⅰ. 서론
16세기 종교개혁자들의 글과 20세기 이들의 후계자들의 글을 대할 때 발견되는 가장 흥미로운 사실은 성찬에 대한 관심의 차이이다. 종교개혁자들은 수많은 책, 서신, 그리고 짧은 문헌들과 설교들을 이 주제에 할애 했다. 16세기의 성경의 권위와 이시칭의 와 같은 결정적인 교리를 둘러싼 뜨거운 논쟁의 시기였지만, 그 어떤 교리보다도 더 많이 토론된 교리는 바로 성찬론이었다. 그러나 우리 시대에 성찬은 거의 단행본이나 설교의 주제로 자리 잡지 못하였다. 이책의 이차적 목표 가운데 하나는 성례에 관한 무관심에 대해 논하는 것이며 일차적 목표는 성찬교리, 특히 요한칼빈과 대부분 16세기 개혁주의적 신앙고백을 지닌 자들의 성찬론을 소개하고 설명하고 변호하는 것이다. 이것은 오늘날 대부분의 개혁교회에서 가르쳐지는 교리가 아니다. 16세기와 17세기 개혁교회내에서는 성찬에 관한 서로 다른 두 가지견해가 어느 정도 신앙고백적 권위를 지니게 되었다. 츠빙글리의 견해를 점차적으로 수용한 것은 성찬에 관한 성경적이며, 개혁주의적인 견해로부터 멀어졌다는 것이 이책의 주장이다. 이책은 칼빈의 성찬론이 성경적 가르침이며 16세기 개혁교회의 기본적 교리로서 오늘날 개혁교회에 의해 재인식되고 선포되어야 할 교리이다. 칼빈의 주장을 알기위해서는 성만찬을 둘러싼 논쟁이 벌어졌던 16세기의 역사적 상황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책의 1부는 개혁주의적 성찬론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고찰하며, 1장에서는 요한 칼빈의 성찬론, 2장은 다른 종교개혁자들과 신앙고백서에 나타난 가르침, 3장은 17세기와 18세기의 교리적 발전을 다룬다. 4장은 19세기와 20세기에 존 윌리엄슨 네빈(John "Williamson Nevin)과 찰스하지(Charles Hodge)사이에 일어났던 논쟁의 발전과정 가운데 일부가 논의 될 것이다. 제2부는 주제에 적합한 성경본문을 점검하며 5장은 다른 방식으로 성찬을 가리키는 구약의 본문을 다룬다. 6장에서는 가장 중요한 신약의 본문들을 다룰 것이다. 제3부는 성찬에 관한 신학적이고 실천적인 질문들에 대답하며, 7장에서는 츠빙글리안, 루터란, 그리고 로마가톨릭의 성찬론에 대한 비판이 주어진다. 8장은 성찬에 관한 칼빈주의적 입장이 요약적으로 주어진다. 9장은 성례의 시행과 관련되는 몇 가지 실천적 질문들을 언급하는데 이느 성찬의 횟수, 구성요소, 그리고 유아의 성찬참여 등의 내용들을 연구해보고자 한다.
제1부 역사적 상황 키이스A. 매티슨, 『성찬의신비』이신열역, (서울:개혁주의 학술원,2011)4.
요한 칼빈의 성찬론은 풍요롭고 복잡하며 더욱이 우리를 놀랍게 만든다. 칼빈은 로마카톨릭뿐만 아니라 루터란들과 츠빙글리의 후계자들과 지속적으로 대화했다. 비록 칼빈이 그의 사역초기에 이 교리의 핵심적 내용들을 개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사람들과 이렇게 지속되는 논쟁들은 몇 가지 점에 있어서 그의 견해를 더욱 예리하고 분명하게 다듬도록 이끌어 주었다.
제1장 요한칼빈의 성찬론
칼빈이 1530년대 후반에 이 논쟁에 뛰어들기 전에 이 논쟁은 수년간 지속되고 있다. 1520년대에 마틴루터는 그의 책 에서 로마가톨릭의 성례 이해를 강력하게 비판하였다. 루터는 예수그리스도께서 단지 두가지(또는 세가지)성례만을 제정하셨다고 주장함으로써 7가지 성례가 존재한다는 로마가톨릭의 논지를 반박하였다. 그는 또한 로마 가톨릭의 견해가 성례에 잇어서 사제의 역할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엿다. 그는 그의 관심을 로마 교회의 세가지 오류에 집중하였다.
(1) 평신도가 잔을 받지 못하게 하는 행위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