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스의 그룸의 실천적 나눔

 1  토마스의 그룸의 실천적 나눔-1
 2  토마스의 그룸의 실천적 나눔-2
 3  토마스의 그룸의 실천적 나눔-3
 4  토마스의 그룸의 실천적 나눔-4
 5  토마스의 그룸의 실천적 나눔-5
 6  토마스의 그룸의 실천적 나눔-6
 7  토마스의 그룸의 실천적 나눔-7
 8  토마스의 그룸의 실천적 나눔-8
 9  토마스의 그룸의 실천적 나눔-9
 10  토마스의 그룸의 실천적 나눔-10
 11  토마스의 그룸의 실천적 나눔-11
 12  토마스의 그룸의 실천적 나눔-12
 13  토마스의 그룸의 실천적 나눔-13
 14  토마스의 그룸의 실천적 나눔-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토마스의 그룸의 실천적 나눔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토마스 그룸
목 차
I. 토마스 그룸은 누구인가?
II. 신실천적 앎의 방법을 위한 철학적 근거들
1. 철학적 배경
2. 교육적 배경
3. 신학적 배경
III. 몫을 나누어 참여하는 기독교 실천
1. 몫을 나누어 참여하는 실천적 접근의 구성요소
2. 몫을 나누어 참여하는 실천을 사용하는 그들안에서의 결단을 위한 지침
IV. 실천 가운데서의 몫을 나누어 참여하는 실천
1. 다섯가지 행동
2. 몫을 나누어 참여하는 실천의 사용에 대한 몇가지 전반적인 성찰들
V. 결론
1. 공헌점
2. 한계점
3. 발제를 마치며
토마스의 그룸의 실천적 나눔
Ⅰ. 저자 소개
Thomas H. Groome: 그룸은 포덤대학교에서 종교교육을 연구하여 석사학위를 받았고, 뉴욕의 유니온 신학교와 콜럼비아 대학교의 공동 박사과정의 “종교와 교육”을 이수하여 교육학박사를 받았다. 보스턴 대학교 종교교육학 교수였고, 그의 아내 콜린 그리피스박사도 같은 대학교에서 신학과 영성을 가르친다.
그룸의 저서로는 기독교종교교육, 나눔의 신앙, 믿음으로 가는 길 등 토마스 그룸, 김도일역,『생명을 위한 교육』,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1.
이 있다. 그는 해석학적 접근이론을 담고 있는 무게 있는 두 권의 저서가 있다. 하나는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 Sharing Our Story and Vision(1982)이고, 다른 하나는 Sharing Faith-The way of Shared Praxis(1991)이다. 첫 번째 책(1982)에서 그룸은 해석학적 모형인 “Shared Prax-is”를 기독교교육의 교수 - 학습이론으로 정리하여 소개하였고, 두 번째 책(1991)에서는 그의 “Shared Praxis” 이론을 기독교교육과 함께 예배와 설교, 사회봉사, 목회상담 등 교회의 목회적 사역 전반에 관련 지워서 하나의 실천신학적 접근 형태를 취하면서 포괄적인 교육목회이론으로 정리하고 있다.
그룸의 교육사상의 특징을 이루는 “Shared Praxis” 이론 형성의 배경은 그가 1966년 9월 신학교 재학시절 가톨릭 고등학교에서 목회실습과 정으로 일정 기간 동안 종교과목을 가르칠 기회가 있었는데, 거기서 교육 실습을 통해 얻은 가르침의 경험이 그룸 자신이 교육적인 실천 이론을 새롭게 형성하는 씨앗이 되었다. 그 후 대학원에서 교육학적, 신학적, 심리학적, 사회학적, 철학적 학문 탐구를 통해 얻은 그의 지식이 이전의 경험과 상호 작용하여 그의 이론이 체계화되었음을 그의 저서에서 밝히고 있다. 고용수, 『현대기독교교육사상』, 서울: 장로회신학교출판부, p.220
II. 실천적 앎의 방법을 위한 철학적 근거들
“프락시스는 목적적이고 의도적인 그리고 성찰적으로 선택된 윤리적 행위이다”라고 말하는 토마스 그룸의 인식론의 초점은 ‘프락시스’(praxis)라는 말로 대변될 수 있다.
많은 현대의 저술가들이 ‘실행’(practice)에 대한 서구의 정신배경에 있어서 지배적인 이론과 실천 사이의 이분법을 보충하기 위해 실천의 의미로 프락시스를 사용하고 있으나, 그룸은 실천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론과 실행 사이의 이분화가 아닌 그것들을 변증법적으로 연합된 동일한(쌍둥이적인) 활동의 순간들로 보는 의식상의 변천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이론이 실행을 낳는다기보다는 이론은 실천에 있어서 성찰적 순간이 되고 또 그러한 순간으로부터 이론은 미래의 실천을 낳기 위하여 바로 그 실천으로부터 생긴다는 것이다.
1. 철학적 배경: 아리스토텔레스를 중심으로
많은 사람들은 실천이 오로지 마르크스주의 용어라는 잘못된 가정을 하고 있다. 실천이 마르크스의 사상에 핵심을 이루고 있다는 것과 그가 이 관념을 서구철학의 주된 흐름 속에서 환원시킨 것도 사실이나 이 용어는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시작된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유인은 지적으로 삶과 관련을 맺을 수 있는 세 가지 독특한 방법들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았으며, 이를 테오리아(theoria), 프락시스(praxis), 포이에시스(poiesis)라고 불렀다. 그것들이 나타내고 있는 삶의 세 가지 방법들은 사변적인 삶, 실행적인 삶, 생산적인 삶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