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방법론] 개교회사 서술의 이론과 실제- 개교회사 실제 분석(새문안교회 100년사)

 1  [역사방법론] 개교회사 서술의 이론과 실제- 개교회사 실제 분석(새문안교회 100년사)-1
 2  [역사방법론] 개교회사 서술의 이론과 실제- 개교회사 실제 분석(새문안교회 100년사)-2
 3  [역사방법론] 개교회사 서술의 이론과 실제- 개교회사 실제 분석(새문안교회 100년사)-3
 4  [역사방법론] 개교회사 서술의 이론과 실제- 개교회사 실제 분석(새문안교회 100년사)-4
 5  [역사방법론] 개교회사 서술의 이론과 실제- 개교회사 실제 분석(새문안교회 100년사)-5
 6  [역사방법론] 개교회사 서술의 이론과 실제- 개교회사 실제 분석(새문안교회 100년사)-6
 7  [역사방법론] 개교회사 서술의 이론과 실제- 개교회사 실제 분석(새문안교회 100년사)-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역사방법론] 개교회사 서술의 이론과 실제- 개교회사 실제 분석(새문안교회 100년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개교회사 서술의 이론과 실제- 개교회사 실제 분석
(새문안교회 100년사)
1. 서 론
오늘날에는 각 개교회들이 자기 교회의 역사성을 입증하고 지나온 역사를 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개교회사를 많이 쓰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개교회사를 보면 교회 홍보책 내지 목사치적을 포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뿐 역사책다운 개교회사는 보기 드물다. 이에 개교회사 서술이 단지 홍보책 내지 목사치적 수단을 넘어 교회의 정체성을 구체적으로 드러내며, 손에 잡히는 실질적인 역사로 우리에게 다가오도록 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본 글에서는 『새문안교회 100년사』의 분석을 통하여 교회사다운 개교회사 서술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미 주지하고 있는 것처럼 새문안교회는 한국 최초의 조직교회로서 일개 교회로서의 역사성을 넘어 한국교회의 모(母)교회라는 상징성이 있는 교회다. 그러기에 새문안교회 100년의 역사를 더듬어 보면 한국교회의 역사도 더듬어 볼 수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새문안교회 100년사 권두언에서 『새문안교회 100년사』는 한국 교회사의 축소판이며, 한국 근대사의 숨결이 깃들어 있다 새문안교회 역사편찬위원회, 『새문안교회 100년사』, 1995, 3
고 밝히고 있듯이 새문안교회의 역사를 보면 한국교회의 역사를 볼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특별히 초기 역사부분은 더욱 그렇다. 이 글에서는 『새문안교회 100년사』를 분석함에 있어서 사관(시점)의 문제, 사료의 문제, 시기(목차)구분의 문제 등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고자 한다.
2. 사관(시점)의 문제
필자는 새문안교회 100년사의 집필목적 및 시점을 아래와 같이 밝히고 있다.
교회사는 일반사와 달라 하나님의 구속과 섭리의 역사가 예수를 구주로 고백한 ‘고백교인’들을 통해 어떻게 역사화 되어갔는가를 추적, 기술하는데 목적이 있다 할 것이다. 필자는 바로 이 점에 유념하여 이 땅에 첫 조직교회로 세움받은 새문안을 통해 하나님의 구속의 역사가 어떻게 현현되어 갔는가를 구체적으로 밝히는데 충실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그 시대 시대마다 우리 민족과 사회가 안고 있던 문제에 대해 새문안은 어떠한 태도와 입장을 취했는지를 객관적 입장에서 구명하고자 하였다. 말하자면 민족사라는 총체적 시각에서 새문안의 역사성을 밝히고자 노력하였다. 한편 일반 교인들 즉 새문안 공동체의 ‘이야기’를 최대한 기술하고자 하였다. 새문안교회 역사편찬위원회, 『새문안교회 100년사』, 1995, 10
위의 주장대로라면 필자는 세 가지의 시점 및 목적을 가지고 글을 전개하려 하였다. 첫째, 하나님의 구속의 역사가 어떻게 구체적으로 현현되어 갔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둘째, 새문안교회는 민족의 문제에 어떻게 반응해 왔는지, 민족사와의 관계성을 서술해 나가고자 하였다. 세 번째, 일반교인들의 이야기를 기술하고자 하였다. 결국 필자는 하나님, 민족, 일반교인들에 대한 기술을 목표로 삼고, 민족사라는 총체적 시각으로 글을 전개해보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새문안교회 100년사 중 특별히 초기 선교사와 민족이 접촉해 가고, 교회를 창립해 가는 초기 교회역사 부분을 보면 민족교회사적 시각보다는 언더우드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역사를 부각시킴으로 선교사관적 시각이 더욱 부각되고 있음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1885년 4월 5일 부활절에 미국북장로회의 파송을 받은 선교사 언더우드 목사가 내한함으로써 본격적인 한국 개신교 선교의 장이 열리기 시작하였다. 또한 그의 도착은 우리 새문안교회의 첫 출발점을 의미하기도 하였다. 새문안교회 역사편찬위원회, 『새문안교회 100년사』, 1995, 75
언더우드의 도착을 새문안의 첫 출발점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새문안 교회의 첫 출발을 한국인에 의한 자생적 교회로 결론내리기 보다는 미국북장로교의 파송을 받은 선교사 언더우드 목사의 내한이 곧 새문안 교회의 첫 출발이었음을 강조하고 있다. 새문안교회 역사편찬위원회, 『새문안교회 100년사』, 1995, 75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