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계초 중화민족론 형성의 사상적 배경

 1  양계초 중화민족론 형성의 사상적 배경-1
 2  양계초 중화민족론 형성의 사상적 배경-2
 3  양계초 중화민족론 형성의 사상적 배경-3
 4  양계초 중화민족론 형성의 사상적 배경-4
 5  양계초 중화민족론 형성의 사상적 배경-5
 6  양계초 중화민족론 형성의 사상적 배경-6
 7  양계초 중화민족론 형성의 사상적 배경-7
 8  양계초 중화민족론 형성의 사상적 배경-8
 9  양계초 중화민족론 형성의 사상적 배경-9
 10  양계초 중화민족론 형성의 사상적 배경-10
 11  양계초 중화민족론 형성의 사상적 배경-11
 12  양계초 중화민족론 형성의 사상적 배경-12
 13  양계초 중화민족론 형성의 사상적 배경-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양계초 중화민족론 형성의 사상적 배경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양계초 중화민족론 형성의
사상적 배경
1. 서언
2. 양계초의 유기체적 국가관
3. 민족개념의 인식 및 해석
4. 양의 중화민족론
5. 결어
1. 서 론
최근 들어 일본과의 독도 분쟁, 중국의 동북공정 등 동아시아에서 국경분쟁이 최대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따라 역사학계에서도 각국 영역에 대해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상대국 논리의 역사적ㆍ논리적 근거를 밝혀 이에 대응하려는 노력이 전개되고 있다. 고구려사와 관련하여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동북공정의 논리적 기초는 바로 “현재 중국판도 안의 모든 민족은 중화민족”이라는 중화민족론이다. 여기에 따르면 고구려는 중국의 변강민족 중 하나, 즉 중국 영토 안의 국경지대에 거주하는 여러 민족 중 하나가 되고, 고구려사는 중국사의 일부가 되는 것이다. 이 같은 중화민족론은 20세기 초부터 초보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여 중화민국시기에 형성되었고 이것이 신중국에 계승된 것이므로, 그 형성과정을 역사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민족과 국가의 관계에 대해 중국 정부와 대동소이한 의견을 제시하고 있는 王柯의 논리를 통해 중국정부의 민족문제에 대한 생각을 읽을 수 있다. 왕가는 “민족과 국가-중국 다민족통일국가 사상의 계보”라는 글을 통해 중국 다민족통일국가의 역사를 소급하고, 그 계승과 변화를 살펴 근대 민족문제 발생의 원인이 ‘中華思想’때문이 아니라 근대적 민족개념을 중국현실에 강제적으로 적용한 데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그는 글의 서문에서 소위 ‘민족독립’이란 현행 국가구조를 파괴하고 다른 민족의 이익을 침해하는 것으로서, 국제 패권주의가 ‘인권보장’이라는 허울 아래 자신의 말을 듣지 않는 주권국가에 대해 온갖 공격을 감행하거나 무장간섭까지도 서슴지 않는 핑계거리가 되고 있다며 소수민족의 독립요구에 대한 반대의사를 분명히 밝혔다. 그의 저서를 통해 드러나는 중화민족론의 기본 골격을 살펴볼 수 있겠다. 그는 ‘중화’란 다민족 공동 노력의 산물인데, 그 근거를 처음부터 중국과 사이를 포함하고 있는 “천하사상”에서 찾을 수 있다 하였다. 또한 ‘四夷의 中華化’에서도 드러나듯 중국과 사이는 상호간에 전화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중화사상에 의한 민족차별을 부인하고 있다. 그는 천하를 구성한 여러 민족이 중화민족을 이루고, 이들이 바로 중국의 국민이 된다는 논리를 통해 다민족통일국가인 중국은 분리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王柯, 『민족과 국가-중국 다민족통일국가 사상의 계보』, 고구려연구재단, 2005
왕가를 비롯한 이와 같은 다민족통일국가의 논리는 “중화민족론”에서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는데, 중화민족론은 최근에 형성된 논의는 아니다. 중화민족론의 뿌리는 신해혁명 직전 개혁파와 혁명파의 논쟁에서 찾을 수 있다. 압도적인 군사력으로 중국을 공격해오는 서양세력에 대해 기존의 문화적 중화주의를 통해서는 중국의 정체성을 유지하지 못하게 된 정치사상가들은 서양의 근대국민국가 건설을 그 대안으로 삼게 되었다. 근대국민국가를 건설하려면 필연적으로 민족의 개념을 정립해야만 했는데, 이 과정에서 누가 국민에 포함되느냐를 놓고 개혁파와 혁명파 사이에 논쟁이 벌어지게 된 것이다. 개혁파의 대표적 인물인 梁啓超는 처음부터 다민족에 의하여 구성되었다는 ‘중화민족’을 설정하여 “대민족주의”를 부르짖으며 만주족 청조를 포용하는 입장에 서게 된다. 반면 혁명파의 章炳麟은 만주족 지배를 타도한 이후에야 제국주의 역시 타도할 수 있다는 “종족혁명론”을 주장하게 된다. 백영서, 「중국의 국민국가와 민족문제-형성과 변형」, 『동아시아의 귀환』, 창작과 비평사, 2000
이러한 견해 차이에도 불구하고 개혁파이든 혁명파이든 근본적으로는 제국주의의 분열획책을 타파하고 국민국가를 건설하겠다는 열망에 있어서는 동일하였기 때문에, 신해혁명 이후 양 치자오의 大民族主義를 확장시켜 漢ㆍ蠻ㆍ蒙ㆍ回ㆍ藏의 五族을 주체로 하는 “五族共和”를 공식적으로 제기하게 된 것은 필연적인 수순이었다.
양계초의 중화민족론은 당시 중국 내의 종족을 분류함에 있어서조차도 ‘한족’이라는 용어를 쓰지 않고 ‘중화족’이라는 용어를 쓰고 있으며 ‘中華族’의 구분근거로 문화적 동화를 들고 있는 점, 여러 종족이 하나의 중화민족을 이루고 있으며 이들을 국가의 주체로 그리고 있는 점 등에서 오늘날 얘기되고 있는 중화민족론과 크게 다르지 않고, 오히려 중화민족론의 핵심 논리가 이미 양의 중화민족론에서 보여 지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동북공정의 근거가 되는 중화민족론의 논리를 좀 더 명확하게 파악하고 모순되는 부분을 찾아 반박하기 위해서, 오늘날의 중화민족론의 뿌리에 해당하는 량 치자오의 중화민족론을 먼저 살필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먼저, 양이 민족개념을 형성하는데 바탕이 되었을 양의 근대국가관에 대해 살피는데 특히 그러한 국가관이 민족개념의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겠다. 그런 다음 실제 그의 논설 속에서 국민과 민족, 종족의 개념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그가 각각을 어떻게 개념화하고 있으며 각각의 관계를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 알아보겠다. 마지막으로 그의 중화민족론의 기본구조를 간단히 살핀 후 그의 민족개념이 어떤 방식으로 체계화되는지 살피려고 한다. 이 과정에서 양의 논리가 가지는 모순을 드러난다면 양의 중화민족론, 나아가 양의 중화민족론에 뿌리를 두고 있는 오늘날의 중화민족론이 가진 한계가 자연스레 드러날 것이다.
2. 양계초의 유기체적 국가관
양은 블룬츨리의 국가유기체설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는 것은 그의 여러 논설에서 명백히 드러난다. 그는 1901년 9월 논설 을 발표하고 그 가운데 블룬츨리의 중세 국가이념과 근대 국가이념의 대비를 번역하고 있으며, 블룬츨리의 이론적 구조를 사용하여 독자적인 국가사상의 역사적 변천론을 전개하고 있다. 또한 1902년 논설 에서는 블룬츨리의 근대국가사상의 수용을 통해 그의 국가사상을 보충해나가고 있다. 그리고 1903년 10월 논설 을 통해 블룬츨리의 학설 중 일부를 소개하면서, 이에 의거해 자신의 “민족”과 “국민”에 대한 견해를 밝히고 있다. 그러므로 블룬츨리의 국가유기체설이 양에게 어떤 방식으로 수용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블룬츨리의 국가유기체설 중에서 양계초의 국가관에 영향을 미친 특정한 부분들만을 간단하게 살펴보자. 그는 국가를 일종의 유기체로 보고 있는데, 이러한 관점은 그가 국가의 기원에 대해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